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인물
· ISBN : 9788993629705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1-11-30
책 소개
목차
축사 보선스님(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회 의장, 대흥사 회주)
추천의 글 김광식 동국대 연구교수
시작하는 말
1장
1 지암의 탄생과 출가 인연
2 구도 수행기
1899년의 경허선사와 백범 김구
13년간의 강원 공부와 비구계 수지
한국불교계 첫 근대학교 명진학교 입학
개화당에 참가한 몽성스님의 법을 잇다
2장
3 월정사 수호와 교육 활동
4 3ㆍ1 운동 참여와 상해임시정부 운동
불교계의 3ㆍ1 독립만세운동
지암의 3ㆍ1 운동과 27결사대 참여
지암 불교계대표로 한성임시정부수립 참여
상해임시정부 참여와 눈부신 활동
청년외교단 및 애국부인회, 대한적십자사를 조직하다
대동단 총재 김가진과 의친왕 이강공 탈출사건
상해임시정부의 연통제 조직 책임자가 되다
불교계의 상해임시정부 지원활동
대한승려연합회 불교선언서와 임시의용승군헌제 및 기밀부 조직 추진
불교계의 임시정부 독립자금 모금운동 전개
지암의 체포와 함흥형무소에서 3년 옥고
5 다시 월정사를 구하다.
지암의 감옥생활 중 교계 상황
오대산 월정사에 닥친 또 다른 위기
지암의 출소와 귀사
독립운동보다 월정사를 지키는 원력 세우다
한암스님을 오대산 조실로 모셔오다
지암의 번민과 갈등, 그리고 일제협력
지피지기를 위해 일본어를 배우다
일제 총독부를 찾아가 위원회를 만들다.
석존정골탑찬앙회를 만들다
월정사 강원 재건
지암의 고뇌와 파계, 대처
강원도 三本山연합수련소를 통한 인재 양성
사제 영암스님에게 월정사 운영을 맡기다
월정사를 다시 안정시키고 중앙으로 나아가다
3장
6 총본산건설운동과 조계사 대웅전 건립
조선불교선교양종 승려대회와 종헌실행운동
지암, 의장과 교무원 서무부장에 선출되다
총본산건설운동 주도와 태고사(조계사) 창건
7 조선불교 조계종의 출범
총본산을 ‘태고사’라 하다
‘조계종’ 종명의 채택
조계종 종정에 한암스님 추대
지암 한국불교 중흥의 초석을 놓다.
4장
8 일제 말기 지암의 친일과 항일
일제 말기 기독교계의 동향
일제 말기 천주교의 동향
불교계의 일제 협력
조선불교조계종과 일제 협력
일제 말기 지암의 항일비밀결사 참여
지암의 항일운동의 자금 모집과 지원
"강원도의 항일지사 지암 이종욱"
월정사 보국대로 청년승려들을 지키다
학병을 거부한 건봉사 학승을 지원하다.
9 8ㆍ15 광복과 한국전쟁기
8ㆍ15 광복과 종무총장의 사임
승려대회에서 부일혐의 징계와 복권
초발심자경문 보조법어 첫 한글번역
해방 정국의 혼란과 지암의 활동
미군정의 기독교 편향정책과 불교계의 내분
남한 단독정부 수립과 이승만정권의 기독교
편향정책
해방 이후 정치 및 불교계의 혼란, 그리고 지암의 입장
새로운 불교시민운동을 조직하다
이시영 부통령 사임과 정치에 대한 실망
종정 한암스님 입적, 잿더미가 된 월정사
5장
10 다시 총무원장이 되어 사찰 토지를 되찾다
다시 총무원장에 선출되다.
지암이 지도력을 발휘하여 난국을 타개하다.
지암, 사찰의 농지를 되찾다.
종립 동국대학을 종합대학교로 승격시키다.
지암의 인품과 도량을 보여준 일화
11 종단 정화와 통합종단의 출범
선승들의 움직임과 승단 정화운동의 촉발
교단이름을 “조선불교”에서 “조계종”으로
총무원장에서 물러나다
정화로 월정사를 떠나다
12 아름다운 회향
지암의 마지막 원력 주문진에 포교당 열다
지암의 말년 수행
독립운동가들의 초혼문 짓고 천도재 봉행
종단에서 지암의 입적처로 화엄사 배려
1969년 화엄사에서 지암 입적하다
지암의 다비, 사리를 남기다.
● 부록
지암 이종욱 스님 연보
이종욱 스님의 글(국내 三一運動의 回顧 /
’동국60년’ 前史-명진학교에서 중앙학림에 이르기까지 / 爲國先烈招魂百衆薦度)
智庵大宗師舍利塔碑文
지암스님이 제자들에게 당부하신 말씀
지암 이종욱스님에 대한 재심요청 공문사본
공적사항확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