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93690705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0-01-31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서장: 지금, 무엇을 하려는가
1 “너 자신을 알라”
2 ‘뜻’으로 본 ‘한국철학사’란 무엇인가
3 한국철학이 되기 위한 시작으로의 ‘돌아봄’
4 한국철학사는 무엇을 담을 것인가
제1장 한국철학의 기초 다지기: 한국철학의 기본 요소
1 ‘한국’이라는 조건
2 이 땅 민중의 언어
3 대학은 철학의 공간인가
제2장 한국철학의 회임과 출산: 한국철학의 등장
1 조선으로부터 한국으로
2 한국철학의 회임
3 한국철학의 출산
4 한국철학은 무엇인가
제3장 한국철학의 주변: 일본과 중국의 사정
1 일본의 유럽화와 일본철학의 등장
2 난학, 양학, 무사도, 그리고 조선
3 일본철학과 한국
4 청일전쟁 이후 동아시아
5 ‘타자’의 변두리에 선 한국
제4장 한국철학의 역사
1 ‘진짜’ 한국철학과 ‘거짓’ 한국철학
2 제도 속 한국철학의 계보
제5장 ‘뜻’으로 본 한국철학
1 식민지 조선의 초라한 지식인
2 윤동주의 도덕존재론, 부끄러움의 철학
3 함석헌의 ‘고난’의 형이상학
4 다석 류영모의 ‘씨?’의 형이상학
5 문익환의 ‘사랑으로 하나 됨’의 형이상학
6 무위당 장일순의 ‘나락 한 알’의 형이상학
7 권정생의 ‘자기 내어줌’의 형이상학
제6장 다음을 향한 첫걸음: ‘서로주체성’과 ‘더불어 있음’의 형이상학
1 전체와 모두 그리고 나
2 홀로 있는 ‘나’
3 ‘너’와 더불어 ‘우리’ 가운데 있는 ‘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조선 시대 민중은 철학적으로 잠든 상태였다. 그러나 모두가 하느님 아래 한 형제자매라는 서학의 가르침과 모든 인간은 서로 남이 아니며 한울님을 품고 있다는 동학의 가르침은 민중들에게 자신의 존재가 얼마나 성스럽고 고귀한지 일깨워주었다. 서학에 의해 ‘한국철학의 회임’이 가능했고, 동학에 의해 ‘한국철학의 출산’이 가능했으며, 그 이후 한국이란 조건 속에서 온전히 ‘한국철학의 성장’이 가능할 수 있었다. 1919년은 온전한 의미에서 대한민국철학이 시작된 날이다.
말은 따로따로 있던 이들을 하나로 만들고 글은 말에 발을 달아 더 멀리 떨어진 이들도 다 같이 하나가 되게 한다. 결국 한국말과 한글이 한국인을 한국인으로 만들었다는 말이 된다. 이렇게 민중은 ‘나’의 삶 속 ‘나’의 고난 앞에서 ‘나’의 생각을 ‘나’의 말과 글로 담아내면서 드디어 ‘나’의 철학을 준비하게 되었다. 서서히 민중은 자기 자신의 철학적 고향을 그리워하기 시작했다. 바로 ‘철학의 회임’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철학은 ‘한국’이란 이름으로 서술되는 모든 민중의 아픔, 그 보편적 아픔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는 몸부림이어야 한다. 동학과 같이 말이다. 동학과 같이 고난 속 아픔에 대한 ‘눈물’이어야 하고 ‘분노’여야 한다. 감성적인 말이 아니다. 슬픔만으로 철학이 될 순 없다. 그러나 “철학은 슬픔 속에서만 살아 움직일 수 있다.” 사실 “슬픔에 대해 말한다는 것, 정말 그것은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 하지만 슬픔을 피하지 말아야 한다. 한국철학은 한국의 슬픔을 피하지 말아야 한다. 그 철학의 자리가 한국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