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93799415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11-08-1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우리말의 힘과 생산성_ 최 봉영
1. 논의에 들어가며
2. 한국사람과 한국말
3. 한국말의 힘
4. 한국말의 생산성
첫째 벼리: 한국말의 위기와 대응
한국어가 아무 소리 없이 학문어의 자리에서 사라져가고 있다_ 유 재원
한국말을 살리는 길_ 김 정수
1. 훈민정음 살리기
2. 말소리 바로 알기
3. 낱말 맨드리 되살리기
4. 표준말 규정 버리기
5. 국어 교육 바루기
6. 국어학 세우기
학교 문법 품사 이름 및 용어 통합의 과정과 현재의 문제점_ 성 낙수
1. 머리말
2. ‘학교 문법’의 품사 이름과 문법 용어 통합의 과정
3. 맺는말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한국말의 개념 문제_ 신 운용
1. 들어가는 말
2. 말과 글 그리고 사람과 소통
3. 하늘과 백성 그리고 정치
4. 나오는 말
요약(要約)은 줄이기이다_ 구 연상
1. 요약의 뜻
2. 글줄이기의 목적과 방법
3. 글줄이기의 갈래
4. 끝맺기
둘째 벼리: 막힘과 뚫림
오염된 말, 염색된 글_ 이 부영
1. 머리말
2. 5.16군사쿠데타 이후
3. 70년대 유신시대의 말과 글
4. 1980년대 -광주학살과 87년의 6월 항쟁
5. 1987년 6월 항쟁 이후 현재까지
6. 맺는말
갇힘과 가둠에 대하여, 셋 -민화집 속에 들어 있는 왕권과 백성 얘기_ 정 현기
1. 모든 나날 속에 갇힌 우리 얘기
2. 마음속의 왕과 왕비 그리고 왕자와 공주
3. 왕과 권력
4. 맺는말
바리데기 노래를 따라서 -모심과 섬김의 노래_ 김 융희
1. 바리데기 노래풀이
2. 버려진 아이
3. 길 떠남
4. 물과 꽃
5. 섬김과 모심을 배우며
아름-다운 삶(well Being)과 아름-다운 죽음(well Dying)_ 이 은주
1. 길을 나서며
2. 하이데거에서 존재의 문제
3. 잘-살이(삶)와 아름-다움
4. 하이데거의 죽음 분석과 ‘아름-다운 죽음’
5. 아직도 길 위에서
필담(筆談)을 통한 조일의원(朝日醫員) 간 소통의 방식 -1764년 계미사행(癸未使行)의 필담을 중심으로_ 김 형태
1. 머리말
2. 서지(書誌)사항
3. 미지(未知)와의 조우(遭遇)
4. 대립과 갈등
5. 교류와 협력
6. 맺음말
저자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참소통은 그 나랏사람의 삶과 역사를 담은 말과 글이 있을 때만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것도 모든 사람이 쉽게 배우고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글이 만들어질 때 계급 사이의 참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글이 모든 말을 쉽게 표현할 수 있을 때만이 나랏사람들 사이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말을 담을 수 없는 글, 자기의 생각을 손쉽게 드러낼 수 없는 말은 소통을 막고 나랏사람들 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불러오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나랏사람들의 삶과 생각을 담아내고 풀어낼 수 있는 쉬운 말과 글은 소통의 물줄기가 되는 것이다.
우리가 세계를 온통 ‘그것’으로 만들어버릴 때 나를 제외한 내 바깥의 세계는 모두 버려진 세계가 된다. 이편의 세계가 아니라 저편의 세계가 온통 죽은 세계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오늘날의 저쪽 세계는 비단 귀신과 신령의 세계뿐만이 아니다. 마음의 경계, 제도의 경계, 개념의 경계에 갇혀 알지 못하고 바라보지 못하는 세계는 모두 저쪽 세계이다. 일종의 저승인 셈이다. 그러나 세계를 ‘그것’으로 바라보기만 했던 오구대왕이 불치의 병에 걸리는 것처럼 ‘그것’으로만 보는 자는 스스로는 절대로 치유할 수 없는 병을 앓게 되어 있다. 그 병을 낫게 하는 것은 그가 버린 아이가 버려진 세계에서 가져온 물과 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