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93952605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02-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지식인의 계보를 따라가며 500년 조선의 역사와 만나다
프롤로그 조선의 지식계보는 어떻게 형성되었나?
지식계보학의 네 가지 관점 | 제도와 정신의 혁명으로 완성된 나라
제1부 지식국가 조선의 탄생
1장 마상의 건국
기로에 선 형제 | 용들의 노래 | 이자춘, 고려의 정치에 나가다 |
변방의 하급 무사, 개경에 등장하다 | 회군과 제왕의 꿈
2장 제도의 건국
혁명의 동반자를 찾아서 | 정도전과 정몽주 | 유배지에서 만난 사람들 |
천명의 소재 | 왜곡된 출생의 비밀과 악연 | 윤이와 이초의 밀고 사건 |
승자의 기록 | 정도전의 신념
3장 경복과 근정의 나라
정도전이 꿈꾼 나라 | 제도적 청사진 | 돌아올 수 없는 길
제2부 사화와 반정 그리고 조선 지식인의 상징
4장 폭정의 기원과 그늘
후견정치의 극복과 대간의 성장 | 정희대비와 수렴청정
한명회와 청주 한씨 세력 | 원상제도 | 능상의 풍조 |
연산군과 대간의 논쟁 | 김종직의 ‘조의제문’과 김일손의 사초 |
설원과 폭정의 시작 | 연산군의 역공 | 왕권 회복과 왕토사상 |
연산군의 추락
5장 반정의 상징을 찾아서
충성의 길, 반역의 길 | 정몽주와 이성계의 분열 | 초혼 |
정몽주의 충성과 반역 | 문묘 종사의 자격 | 불교에 아첨한 안향의 후예들 |
고려인 정몽주의 부상 | 성삼문과 박팽년 | 새로운 대안, 김굉필 |
지식계보의 탄생
제3부 지식권력의 시대
6장 지식권력의 국가 공인
사화의 희생자들 | 조광조의 정치 원칙 | 정국공신 개정을 둘러싼 갈등 |
조선인 지식권력의 국가 공인 | 불만스러운 이언적의 행보 | 논의의 재개
7장 지식권력과 왕권의 길항
5현의 종사, 내분 속에 이룬 성취 | 정인홍의 공격 |
이이와 성혼, 서인 지식권력의 상징 | 왕권에 맞서는 지식권력 |
예송으로 왕권의 정통성을 논란하다 | 왕권의 벽에 부딪히다 |
환국정치에 편승한 서인 지식권력
에필로그 지식권력 시대의 종언
송시열과 송준길 | 노론 지식권력의 독주 | 동국 18현과 도통의 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