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93958768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4-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내용개요_중국 고대의 운명론
Ⅰ 들어가는 말
1. 명론命論과 관련된 문제들
2. 맹자와 장자의 명론에 대한 기존 학자들의 견해
1) ‘『맹자』의 명命’에 대한 견해
2) ‘『장자』의 명命’에 대한 견해
3. 논의의 전개 및 용어 정의
Ⅱ 명론의 등장 및 학문적 담론화
1. 명론의 등장과 변용
1) 복서卜筮의 체계화: 『역경』
2) 도덕적 천명론天命論의 탄생: 『서경』
3) 도덕적 천명론天命論에 대한 회의: 『시경』
4) 명命과 천명天命의 의미 변화: 『좌전』
2. 명론의 학문적 주제화: 공자의 지명론知命論
1) 덕德과 명命의 근원: 천天
2) 운명의運命義로서의 명命
3) 운명에 대응하는 공자의 덕: 지명知命
4) 지명知命의 철학적 함의 및 위상
3. 유가 명론에 대한 반격: 묵자의 비명론非命論
1) 도덕적 의지를 가진 인격신: 천天
2) 유가 운명론에 대한 비판
3) 비명非命의 철학적 함의 및 위상
4. 소결
Ⅲ 지명론의 계승 및 발전:맹자의 입명론 159
1. 맹자 명론의 성립 배경
2. 성性과 명命의 근원: 천天
1) 『맹자』에 나타나는 천天의 다층성
2) 도덕천과 운명천의 모순성 해소
3. 인력人力을 넘어선 사태의 귀속대상으로서의 명命
1) 명命에 대한 맹자의 인식
2) 운명의 존재여부에 대한 맹자의 긍정과 부정
4. 명命에 대응하는 덕: 입명立命
1) 운명에 대한 바른 대응: 중성경명重性輕命
2) 비명非命의 부정
3) 중성경명重性輕命의 근거
4) 인생의 가장 큰 즐거움
5. 입명立命의 철학적 함의 및 위상
1) ‘입명立命’의 철학적 함의
2) 맹자학에서 ‘입명’의 위상
6. 소결
Ⅳ 지명론의 변용 및 확대 : 장자의 안명론
1. 장자 명론의 성립 배경
2. 명命의 근원: 도道?천天
1) 도道: 장자의 형이상자形而上者
2) 천天: 도道의 대위물
3. 만물萬物 변화의 귀속대상으로서의 명命
1) 명命에 대한 장자의 인식
2) 장자의 문제의식
4. 명命에 대응하는 덕: 안명安命
1) 안시처순安時處順
2) 수덕修德의 방법: 제물齊物 및 무기无己
3) 마음의 온전함 및 소요逍遙
5. 안명의 철학적 함의 및 위상
1) 안명의 철학적 함의
2) 장자학에서 안명의 위상
6. 소결
Ⅴ 맹자와 장자의 명론 비교검토
1. 운명론의 근원 및 전개
2. 운명의 개념
3. 운명의 주재자와 피주재자
4. 운명에 대한 대응론
5. 운명론의 철학적 함의와 학문적 위상
6. 맺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