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경제사
· ISBN : 978899398585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2-09-21
책 소개
목차
서문 7 | 머리말 10
Lesson 1 자본주의 이전 유럽의 이데올로기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노예제 19 | 봉건주의 20 | 기독교 가부장 윤리 23 | 봉건 이데올로기의 반자본주의적 성격 27 | 요약 30
Lesson 2 초기 자본주의 이행과 중상주의의 기원
자본주의의 정의 33 | 기술 변화 36 | 원거리 무역의 증대 37 | 노동 계급과 자본주의 산업의 탄생 39 | 장원 체제의 쇠퇴 40 | 노동 계급의 형성 44 | 자본주의 이행의 다른 요인들 46 | 중상주의 ? 초기 자본주의의 봉건적 가부장주의 49 | 요약 52
Lesson 3 중상주의 사상의 모순
중상주의 정책의 중세적 기원 56 | 교회 기능의 세속화 57 | 개인주의의 대두 60 | 프로테스탄티즘과 개인주의 윤리 62 | 개인주의의 경제 정책 65 | 요약 67
Lesson 4 고전적 자유주의와 산업자본주의의 승리
산업혁명 69 | 고전적 자유주의의 대두 73 | 고전적 자유주의와 산업화 85 | 요약 86 | 부록 87
Lesson 5 산업혁명과 사회주의의 이의 제기
산업혁명의 사회적 대가 101 | 자유주의 사회 입법 106 | 고전적 자유주의 전통 안의 사회주의 108 | 윌리엄 톰프슨과 고전적 자유주의의 거부 111 | 로버트 오언의 가부장적 사회주의 114 | 그밖에 중요한 마르크스 이전 사회주의자들 117 | 요약 126
Lesson 6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개념
역사유물론 129 | 시장 133 | 자본주의의 계급 구조 137 | 사적 소유에 관한 마르크스의 견해 142 | 자본에 관한 마르크스의 견해 148 | 요약 153
Lesson 7 마르크스의 사회 이론과 경제 이론
소외 155 | 가치와 잉여가치에 관한 노동 이론 160 | 자본의 축적 162 | 부문들 사이의 불균형과 경제 위기 164 | 경제 집중 166 | 프롤레타리아트의 궁핍화 167 | 자본주의 국가 168 | 사회주의 혁명 170 | 요약 171
Lesson 8 법인 자본주의의 대두와 이데올로기적 옹호
법인 권력의 집중 174 | 소득의 집중 177 | 고전적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재부상 179 | 신고전파의 효용과 소비 이론 180 | 신고전파의 생산 이론 182 | 자유방임 182 | 신고전파 이론의 수정 184 | 자유방임과 사회다윈주의자들 186 | 자유방임과 기업가 이데올로기 187 | 새로운 기독교 가부장 윤리 189 | 새로운 윤리를 위한 사이먼 패튼의 경제적 토대 192 | 새로운 가부장주의와 뉴딜 195 | 요약 197 | 부록 199
Lesson 9 독점 권력의 강화와 베블런
산업 전쟁이 된 경쟁 217 | 기업 결탁과 정부 규제 219 | 자본주의 구조의 변화 222 | 자본주의의 적대적 이분법 224 | 사적 소유, 계급 분화 사회, 자본주의 225 | 정부와 계급 투쟁 229 | 자본주의적 제국주의 230 | 금전 문화의 사회적 관습 233 | 요약 237
Lesson 10 경제 번영과 점진적 사회주의
노동 계급이 경제와 정치에서 얻은 성과 239 | 페이비언 사회주의자 241 | 독일의 수정주의자 246 | 점진적 사회주의의 운명 249 | 요약 250
Lesson 11 제국주의와 혁명적 사회주의
유럽 제국주의 251 | 미국 제국주의 256 | 제국주의와 점진적 사회주의 258 | 로자 룩셈부르크의 제국주의 분석 260 | 레닌의 제국주의 분석 264 | 요약 265
Lesson 12 케인스 경제학과 대공황
대공황 268 | 케인스의 경제학 271 | 케인스 경제학과 이데올로기 277| 케인스 경제 정책의 효력 278 | 전쟁 경제 280 | 요약 284
Lesson 13 현대 미국 자본주의와 그 옹호자들
현대의 고전적 자유주의 이데올로기 294 | 고전적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변종들 297 | 현대 기업 윤리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300 |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구실을 하는 반공주의 304 | 현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310 | 요약 320
Lesson 14 현대 미국 자본주의와 급진적 비판자들
민권 운동 323 | 베트남 전쟁 326 | 여성 해방 운동 329 | 현대 미국 자본주의 비판자들 335 | 자본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적 비판 대 급진적 비판 354 | 1960, 1970, 1980, 1990년대의 급진 정치 운동들 358 | 요약 363
옮기고 나서 366 | 찾아보기 370
리뷰
책속에서
우리가 실제로 가르치는 사람이 되면, 어떻게 마르크스의 경제 사상을 학생들에게 쉬우면서도 정확하게 설명하고 또 오늘 날의 시대적 의미까지 전달할 수 있을까요? 신고전파 경제학을 해설한 교재는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그러나 마르크스 경제학을 설명하면서 신고전파가 내놓은 대안도 공정하게 다루는 교과서는 한 권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스위지는 곧바로 답을 내놓았다. “헌트와 셔먼의 책을 찾아서 읽어볼 필요가 있겠군요.”
노동자는 이제 완제품을 상인에게 파는 존재가 아니었다. 그 대신 노동자 자신의 노동력만을 팔았다. …… 한편 상인-자본가는 임금과 기타 비용을 지불하고도 이윤이 남는 가격에 노동자가 생산한 물건을 팔아야 했다. 결국 자본가가 생산 과정까지 통제하게 됐다. 이런 변화와 함께 자본을 전혀 또는 거의 갖지 못한 채 자신의 노동력을 팔 수밖에 없는 노동자 집단이 생겨났다. 이 두 특징은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모습을 뚜렷이 보여준다. …… 시장과 금전적 이익의 추구가 관습과 전통을 밀어냈으며, 누가 어떤 일을 수행하고 그 일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그리고 노동자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지가 시장을 통해 결정됐다. 이렇게 되자 비로소 자본주의 체제가 형성됐다.
스미스는 원시 수렵 단계를 넘어선 모든 경제 체제는 강력한 특권 엘리트 집단을 뒷받침하는 정부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목축 체제나 농경 체제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 각 체제는 개인 재산에 토대를 뒀고, 개인 재산 때문에 특권과 권력을 보호하는 제도를 수립할 필요가 생겨났다. …… 스미스는 여러 사회적 배경에서 일부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제도적 또는 강제적으로 복종하게 되는 몇 가지 특수한 사정을 분석했는데, 모든 사례에서 공통되는 중요한 점을 하나 발견했다. “정부가 재산의 안전을 위해 형성하는 한, 실제로는 가난한 사람에 맞서 부자를 지키기 위한, 또는 재산을 전혀 갖지 못한 사람에 맞서 어느 정도의 재산을 가진 사람을 지키기 위한 것에 다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