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9401342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1-10-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당신의 램프를 찾아라
1부 나는 왜 나를 뛰어넘지 못하는가
1장 커버 밴드는 기억되지 않는다
크리에이티브는 명사다 | 멋진 해결책은 주문 생산되지 않는다| 생산성과 천재성, 그리고 건강 | 생산성+천재성+건강=꾸준히 탁월한 결과 |생산성+ 천재성 - 건강 = 탈진 | 천재성 + 건강 - 생산성 = 불신 | 생산성 + 건강 - 천재성 = 해고 |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착각 | 아모스는 왜 도약하지 못하는가 | 리드미컬한 도약을 위한 준비 |가능성 vs 현실성
2장 평범한 사람들은 평범한 결과에 집착한다
협업의 장점과 단점 | 상반되는 기대치 | 시간과 가치의 갈등 | 일관성과 주기성의 갈등 | 결정과 과정의 갈등
3장 성장과 도약의 발목을 붙잡는 자객들
자객 1_불협화음 | 자객 2_두려움의 벽 | 자객 3_기대치의 함정
2부 평범한 나를 넘어 최고의 나를 향하여
4장 가장 핵심적인 곳을 공략하라
잘못된 추측 | 핑 | 표류형, 돌진형, 그리고 개발형 | 도전과제를 설정하라 | 빅3를 정하라 | 빅3가 최고의 성과를 창출한다 | 유사한 업무별로 묶어라
5장 정상에 서고 싶다면 사람을 얻어라
함께 나눌 때 창조성이 증진된다 | 타인의 양동이를 채워주어라 | 인간관계의 질을 높이는 3가지 전략 | 정예부대 구축
6장 보이지 않는 지원군, 에너지를 관리하라
적재적소에 에너지를 공급하라 | 인생은 분류되지 않는다 | 분류의 오류 | 인생을 계획하는 3가지 방법 | 가지치기가 놀라운 성과를 만든다 | 가지는 언제 쳐야 하는가 | 가지치기는 고통스러울 수도 있다 | 레드 존 활동을 시작하라
7장 천재적 성과의 첨병, 자극
평범함에 숨어 있는 탁월한 자극을 찾아라 | 학습 계획이 자극을 활성화시킨다 | 최고의 자극 관리는 메모다 | 주변 세계를 발로 뛰며 탐색하라
8장 불필요한 창조의 시간을 확보하라
1분이라고 다 똑같은 1분이 아니다 | 창조적 성과는 우연이 아니라 확률이다 | 아이디어 타임이 천재를 만든다 | 아이디어 타임에 무엇을 할 것인가 | 반대편으로 건너가라 | 불필요한 창조를 즐겨라
9장 자신의 리듬을 점검하라
잠깐 멈춰서서 점검하라 | 주간 점검 | 주간 점검 포인트 | 월간 점검 |월간 점검 포인트 |분기 점검 |분기 점검 포인트 |점검은 능동적인 삶을 선물한다
10장 다 비우고 죽어라
비버에게서 얻은 교훈 | 부름받는 삶을 살아라 | 직업과 소명을 분별하라 | 위대함의 정의가 당신의 모습을 규정한다
리뷰
책속에서
알라딘의 램프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인생은 힘겨워진다. 그래도 당신은 그 힘겨움을 숙명처럼 받아들인다. 무모한 모험보다는 적당한 선에서 포기하고 안주하는 삶이 덜 힘겹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알라딘의 램프 따위는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분명 존재하는 것이 있다. 바로 ‘당신의 램프’다. 그 램프는 바로 당신의 마음속에 있다. 다만 당신은 램프를 문질러 거인을 불러내는 방법을 모를 뿐이다. 한 번도 불러내보지 못했기에 멋진 인생을 선물하는 그 거인의 정체 또한 모른다. 그 거인은 바로 ‘당신 자신’이다. _‘당신의 램프를 찾아라’ 중에서
브리검영 대학의 제프 다이어 교수와 인시아드(INSEAD) 경영대학원의 홀 그레거슨 교수,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는 8년간 75개국 600명 이상의 발명가들과 5,000명이 넘는 CEO들을 대상으로 ‘혁신 DNA’에 관한 공동연구를 벌였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을 뛰어넘는 혁신이란 적극적인 노력이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애플의 구호 ‘다르게 생각하라’는 분명 영감을 준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불완전하다. 혁신가라면 다르게 생각하기 위해 반드시 다르게 행동해야 한다.” _‘커버 밴드는 기억되지 않는다’ 중에서
시도 때도 없이 엄습하는 불안감의 원인에는 현재 맡고 있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압박도 물론 있다. 하지만 단지 회사에서 인정받는 생산력이 뛰어난 직원이 되고픈 마음 때문만은 아니다. 우리는 우리가 하고 있는 일에 ‘가치’가 있음을 느끼고 싶어 한다. 당장 내일 죽더라도 누군가는 나의 존재가치를 알아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가치를 창출해냄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존재를 입증하고 싶어 한다. 그래야만 우리는 우리 자신을 뛰어넘었다고 받아들인다. _‘평범한 사람들은 평범한 결과에 집착한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