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94120713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4-01-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이 책을 보는 방법
Start Up_월급날만 다가오면 가슴이 답답해지는 구슬 씨
1장 셀프 재무관리로 재테크 기초 다지기
구슬 씨의 Grow Up 도와줘요 한빛 씨!
01. 왜 다들 종잣돈 종잣돈 하는 걸까요? 재테크 기초 다지기
플러스 지식_종잣돈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요?
02. 재테크의 기본기, 지출관리가 뭐예요? 줄줄 새고 있는 내 돈을 막는 법
03. 지출관리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 내 돈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는 법
플러스 지식_나만의 재무 상태를 분석해볼까요?
04. 돈에도 이름이 있다고요? 있으면 쓰고 싶고 없으면 아끼고 싶은 돈 이야기
05. 통장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요? 돈이 들어오는 통장, 돈이 나가는 통장
06. 자동이체에도 순서가 있다고요? 통장관리의 기술
구슬 씨의 Level Up 통장관리 시스템에 유용한 금융 상품들!
2장 문어발식 통장 확장으로 재테크 뿌리 내리기
구슬 씨의 Grow Up 내게 꼭 맞는 통장, 어디에 있나요?
01. 월급 통장이 달라졌어요! 월급쟁이의 유일한 숨통, 급여 통장 만들기
02.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준다고? 알쏭달쏭 CMA 통장 뽀개기
03.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차이가 뭐에요? 통장 재테크 핵심 중의 핵심, 예적금 통장
플러스 지식_돈에도 가격이 있습니다
04. 저축은행 믿어도 괜찮을까요? 작은 모험을 즐기는 그대에게
플러스 지식_저축은행이 파산했을 때 내 돈은 어떻게 될까요?
05. 통장도 절세가 되나요? 아주 작은 세금도 샐 틈 없이
06. 재형저축 가입해도 괜찮을까요? 서민의 작은 날개, 재형저축 뽀개기
구슬 씨의 Level Up 용어로 알아보는 통장 지식!
3장 푸어의 시대, 빚테크로 재테크 가지치기
구슬 씨의 Grow Up 왜 빚관리가 먼저인가요?
01. 신용대출과 담보대출의 차이가 뭔가요? 호랑이보다 무서운 빚, 알고나 지자
02. 학자금대출 어떻게 빌리고 어떻게 갚나요? 내 인생의 첫 번째 빚 학자금대출 뽀개기
플러스 지식_일반상환 학자금대출 vs 든든 학자금대출
03. 신용카드도 빚인가요? 신용카드 뽀개기
04. 신용카드 얼마나 잘 쓰고 있나요? 신용카드의 불편한 진실
플러스 지식_신용카드 vs 체크카드
05. 마이너스 통장에도 저축이 되나요? 통장의 가면을 쓴 대출
플러스 지식_빚 걱정 탈출하기 프로젝트
구슬 씨의 Level Up 용어로 알아보는 대출 지식!
4장 본격적인 재테크 전쟁의 시작, 저도 투자를 할 수 있을까요?
구슬 씨의 Grow Up 돈! 어떻게 불려야 할까요?
플러스 지식_직접투자와 간접투자
01. 왜 사람들이 복리! 복리! 할까요? 눈덩이처럼 커지는 돈 굴리기의 즐거움
플러스 지식_재테크 할 때 알아두면 좋은 7가지 투자법칙
02. 도대체 주식이 뭔가요? 골치 아픈 주식 뽀개기
플러스 지식_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
03. 어떤 펀드에 가입해야 할까요? 헷갈리는 펀드 뽀개기1
04. 돈 버는 펀드를 고르는 기준은 뭔가요? 헷갈리는 펀드 뽀개기2
05. 분산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계란은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고요?
06. 경제공부가 밥 먹여주나요? 재테크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
구슬 씨의 Level Up 용어로 알아보는 투자 지식
6장 소시민의 평생숙원사업, 월급으로 내 집 마련 가능할까요?
구슬 씨의 Grow Up
01. 청약 통장에 꼭 가입해야 할까요? 내 집 마련의 첫 단추 청약 통장 뽀개기
플러스 지식_청약가점제란?
02. 住테크전략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부족할 수밖에 없는 집값 해결하기
03. 전세대란을 피하는 법은 없을까요? 임대주택 200퍼센트 활용하기
04. 목돈 안 드는 내 집 마련 방법이 없을까요? 내 집 마련 단계별로 접근하기
플러스 지식_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볼까요?
05. 깡통아파트가 뭔가요? 부담백배 전세대출 뽀개기
구슬 씨의 Level Up 용어로 알아보는 부동산 지식!
6장 들까말까 애매한 보험 건강하면 보험 가입이 손해인가요?
구슬 씨의 Grow Up 보험, 꼭 필요한가요?
01. 지금 제게 필요한 보험이 뭔가요? 애매모호 보험 뽀개기1
플러스 지식_이런 보험들도 있어요?
02. 보험을 들어야 하는 이유가 뭔가요? 위기탈출SOS, 위험관리로 탈출하기
03. 내 나이에 딱 맞는 보험이 뭔가요? 위험천만 대한민국에서 살아남기
04. 매년 돌아오는 자동차보험료가 너무 아까워요! 천차만별 자동차보험료의 진실
05. 보험에 대한 오해와 진실 애매모호 보험 뽀개기2
구슬 씨의 Level Up 용어로 알아보는 보험 지식!
7장 막막하기만 한 은퇴 준비 내게 꼭 맞는 연금을 찾아라!
구슬 씨의 Grow Up 은퇴 준비, 생각은 있는데 잘 안 되는 이유가 뭘까요?
플러스 지식_은퇴 준비를 막는 리스크, 무엇이 있을까요?
01. 은퇴 자금, 도대체 얼마나 필요한가요? 안정된 노후를 위해 필요한 돈이 얼마?!
02. 노후 준비, 어떻게 해야 할까요? 평균수명 100세시대를 살아가는 법
플러스 지식_노후를 위한 3층 보장체계
03. 부동산만 있어도 은퇴 준비가 가능할까요? 집 하나만 믿고 있는 당신을 위한
04. 국민연금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없으면 불안 있으면 불만 국민연금 뽀개기
플러스 지식_국민연금에 대한 오해와 진샐
05. 불안한 내 노후는 누가 지켜주지? 국민연금+@, 개인연금 뽀개기
구슬 씨의 Level Up 용어로 알아보는 연금 지식!
8장 재테크 고수가 되기 위한 끝판왕 세테크로 새는 돈을 막아라!
구슬 씨의 Grow Up 성실납세자 구슬 씨의 하루
플러스 지식_30억대 자산가와 연봉 1억 원의 월급쟁이 중 누가 더 부자일까요?
01. 어떻게 하면 연말정산 잘하는 걸까요?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뽀개기
02. 세테크 금융 상품들은 뭐가 있나요? 여기저기 달라붙은 세금 떼어내기
03. 자식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것들 미리미리 상속세&증여세 뽀개기
구슬 씨의 Level Up 용어로 알아보는 연금 지식
인덱스
별책부록
1 월급쟁이를 위한 연말정산 포켓북
2 생초보를 위한 용어 정리 노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대부분이 재테크에 실패하는 이유도 이 종잣돈 만들기에 실패하기 때문입니다. 100만 원을 모으는 것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200만 원, 300만 원을 모으는 것도 쉽습니다. 하지만 1,000만 원 만드는 것은 그리 녹록지 않습니다. 1,000만 원을 모으려면 한 달에 100만 원씩 모아도 거의 1년을 모아야 하는 돈입니다. 맞벌이부부나 고액연봉자에겐 쉬운 미션이겠지만, 일반 미혼 월급쟁이가 1년에 1,000만 원 이상 모으려면 꽤 높은 인내심과 통제력이 요구됩니다. 처음 한두 달은 허리띠 졸라매기에 성공하지만 돈이 모이는 속도는 더디기만 하고, 그 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쉽게 지치기 마련입니다. 하물며 1억 원 정도 되는 큰 종잣돈 만들기란 결코 쉽지 않은 미션입니다._1장 재테크 기초 다지기 01 왜 다들 종잣돈 종잣돈 하는 걸까요?
단언컨대 10퍼센트 수입을 올리는 것보다는 10퍼센트 절약을 하는 것이 몇 배 더 쉽습니다. 더군다나 절약에는 어떠한 리스크도 없으며, 지출은 기본적으로 100퍼센트 자신의 힘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투자라고 하는 것은 워낙 변수가 많아 고수익의 이면에는 항상 위험이 뒤따르며, 많은 것이 나의 통제영역 밖에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운이 좋아 10~20퍼센트의 수익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내년에는 30퍼센트의 손해를 볼 수도 있는 것이 바로 투자의 세계입니다._1장 재테크 기초 다지기 02 재테크의 기본기, 지출관리가 뭐예요?
지혜로운 경제생활의 출발은 돈에 이름을 붙이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돈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 뭐 그리 큰 효과가 있겠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그 효과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큽니다. 이왕이면 똑같은 돈이라도 ‘공돈’이나 ‘여윳돈’이라고 이름 붙이는 것보다는 ‘자녀교육비로 사용할 돈’, ‘2년 뒤 전세금 올려줄 돈’, ‘은퇴 후 소득이 없을 때 쓸 돈’ 식으로 보다 발전적인 의미와 연결시키는 것이 좋겠죠._1장 재테크 기초 다지기 04 돈에도 이름이 있다고요?
사실 재형저축의 가장 큰 장점은 우대금리를 포함해 최고 4퍼센트 후반으로 제공되는 높은 금리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중 일반 예적금 상품보다 1퍼센트 이상 높은 금리 수준입니다. 두 번째 장점은 세제 혜택입니다. 사실 비과세 상품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는데, 엄밀히 말해 전액 비과세 상품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이자에 대해 14퍼센트의 소득세와 1.4퍼센트의 주민세를 더해 총 15.4퍼센트의 세금을 원천징수하는데, 재형저축은 이중 14퍼센트의 이자소득세가 면제되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 결코 무시할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세제 혜택을 감안할 경우 4.5퍼센트짜리 재형저축 상품에 가입하면 5.2퍼센트짜리 예적금 상품에 가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_2장 재테크 뿌리 내리기
모기지론은 담보, 저당을 의미하는 ‘Mortgage’와 일반적인 대출을 의미하는 ‘Loan’이라는 단어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담보대출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대출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 단어에는 조금 더 깊은 뜻이 숨어있습니다. 모기지라는 단어가 실은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는데, ‘Mortgage’의 ‘Mort’는 프랑스어로 죽음을 뜻하며, ‘gage’는 ‘저당’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어원대로 해석하자면 모기지론은 일종의 ‘죽음의 계약’이 되는 셈입니다. 그 숨은 뜻을 알고 나니 왠지 섬뜩한 기분이 들지 않으세요?_3장 빚테크로 재테크 가지치기
신용카드 소득공제 최대한도에도 비밀이 있습니다. 연봉 3,000만 원인 김 대리가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인 300만 원을 모두 채우려면 얼마를 사용해야 할까요? 신용카드로만 2,750만 원을 사용해야 300만 원 소득공제 혜택을 모두 누릴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세금 및 4대 보험 등의 공제금액을 빼고 번 돈을 모도리 카드사에 헌납해야 가능하다는 것입니다._3장 빚테크로 재테크 가지치기 04 신용카드 얼마나 잘 쓰고 있나요?
누구나 ‘부자’라는 달콤한 꿈을 꾸지만 그 희망사항을 위해서 과연 지금 얼마나 노력을 하느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개를 떨구거나 얼버무리기 일쑤입니다. 10년 안에 10억 원을 모으려는 목표를 세우고 새벽마다 일어나서 신문 스크랩을 하는 사람과 막연하게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 둘 다 미래에 대한 희망사항은 똑같이 부자겠지만 먼 미래에 그 차이는 반드시 나타나기 마련입니다._4장 저도 투자를 할 수 있을까요? 06 경제 공부가 밥 먹여주나요?
왜 대출금과 보증금이 주택가격의 70퍼센트를 넘으면 깡통주택이라고 하는 것일까요? 만약 집주인이 대출금을 갚지 못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주택은 경매에 넘어가게 됩니다. 일단 경매에 넘어가게 되면 주택의 경우 매각가율(감정가 대비 매각가 비율)은 대게 가격의 70~80퍼센트대에서 형성됩니다. 요즘 같은 불경기에는 70퍼센트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경우 은행보다 후순위채권을 갖는 세입자들은 보증금 일부를 떼일 처지에 놓이게 됩니다._5장 월급으로 내 집 마련 가능할까요? 05 깡통아파트가 도대체 뭔가요?
사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정작 우리의 고민은 보험이 필요한가 아닌가의 문제가 아닐지 모릅니다. 오히려 살면서 만나는 다양한 위험을 모두 보험으로 해결하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죠. 위에서 잠깐 언급한 것처럼, 보험이 필요 없을 만큼 여유자산을 가진 사람도 거의 없지만, 반대로 모든 위험을 보험으로 충당할 만큼 많은 자산을 가진 사람 역시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_6장 건강하면 보험 가입이 손해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