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처와 영광

상처와 영광

(내 문학 세대의 정신사, 박희진 시론집)

박희진 (지은이)
뿌리깊은나무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상처와 영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처와 영광 (내 문학 세대의 정신사, 박희진 시론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94371047
· 쪽수 : 1156쪽
· 출판일 : 2013-12-11

책 소개

박희진 시론집. 지은이가 일제 강점기 우리 시인들의 저항시를 비교 분석한 논문인 '항일 저항시의 양상'을 필두로 등단 초기부터 최근까지 60여 년간 발표한 34권의 시집의 서문, 후기, 해설 등과 함께 시작 노트, 문학론, 시인론, 시평 등을 모은 책이다.

목차

서문

제1부 항일 저항시의 양상
― 일제(日帝) 식민지 시대를 배경으로 해서
1. 머리말
2. 저항시란 무엇인가 - 왜 시인은 시를 쓰는가
3. 항일 저항시의 양상
4. 적극적 경향
한용운/이상화/심훈/이육사/김광섭/유치환/윤동주
5. 소극적 경향
변영로/박종화/김소월/양주동/청록파의 세 시인―박두진⋅박목월⋅조지훈
6. 맺음말

제2부 비애(悲哀)의 시(詩)
― 일제(日帝) 식민지 시대를 배경으로 해서
1. 머리말
2. 비애의 감정과 시의 관계
3. 비애의 시들
이상4화/김소월/김영랑/정지용/박용철/김광섭/신석정/윤곤강/유치환/신석초/
김광균/장만영/서정주/김용호/윤동주
4. 맺음말

제3부 기간 시집(34).시선집(4).시화집(1).시전집(4)의
서문과 후기, 시작(詩作) 노트, 해설 등의 모음

제1시집 “실내악(室內樂)”(1960)
서(序) | 조지훈
“실내악”(1991)/재판본 후기
제2시집 “청동시대(靑銅時代)”(1965)
생(生)에의 외경 앞에 육체와 영혼―박희진 시집 “청동시대”에 대한 단평 |
신석초.조지훈.김종길.성찬경
제3시집 “미소(微笑)하는 침묵”(1970)/후기
제4시집 “빛과 어둠의 사이”(1976)/후기
제5시집 “서울의 하늘아래”(1979)
자서/민중(民衆)의 시심(詩心)
해설/서민정신(庶民精神)과 휴머니즘―박희진 민요시의 세계 | 오세영
제6시집 “4행시(四行詩) 134편(百三十四篇)”(1982)
후기/4행시에 관하여
제7시집 “가슴 속의 시냇물”(1982)/후기
제8시집 “라일락 속의 연인(戀人)들”(1985)
“라일락 속의 연인들”을 내면서
해설/영원한 결핍, 영원한 존재 근거―박희진 작품론 | 정현기
증보판을 내면서
제9시집 “아이오와에서 꿈에”(1985)
시집을 내면서
후기를 대신해서
아이오와 수기
제10시집 “시인(詩人)아 너는 선지자(先知者) 되라”(1985)/시집을 내면서
제11시집 “산화가(散花歌)”(1988)
자서
나는 왜 신향가집(新鄕歌集)을 썼는가
제12시집 “북한산(北漢山) 진달래”(1990)
자서
후기/본연(本然)의 삶
제13시집 “4행시(四行詩) 300수(三百首)”(1991)
자서
해설/청징(淸澄)과 비상(飛翔)―박희진 시집 “4행시 300수”에 부쳐 | 성찬경
제14시집 “연꽃 속의 부처님”(1993)
자서
몇 가지 자문자답―“연꽃 속의 부처님” 증보판(2002)에 즈음하여
제15시집 “몰운대의 소나무”(1995)
자서
해설/삼재(三才) 원융(圓融)의 시 세계 | 장영우
제16시집 “1행시(一行詩) 700수(七百首)”(1997)
1행시
해설/대긍정(大肯定)과 찬미(讚美)의 세계―1행시에 나타난 박희진의 시심(詩心) | 김규영
제17시집 “문화재, 아아 우리문화재!”(1997)/서문
제18시집 “백사백경(百寺百景)”(1999)
백사백경에 대하여
해설/수연(水然) 박희진(朴喜璡)의 백사백경론(百寺百景論)―‘미(美)의 사제’ 혹은
‘시(詩)의 보살’의 길 | 고영섭
제19시집 “화랑영가(花郞靈歌)”(1999)
자서
부록/풍류도란 무엇인가
제20시집 “동강(東江) 12경(十二景)”(1999)
시인(詩人)의 말
동강 12경을 그리면서 | 이호신
제21시집 “하늘⋅땅⋅사람”(2000)
자서
해설/하늘과 땅에 대한 경외심으로 시를 | 이승하
제22시집 “박희진 세계기행시집”(2001)
머리말
제23시집 “4행시(四行詩) 400수(四百首)”(2002)
개정 증보판을 내면서
제24시집 “1행시 960수와 17자시 730수⋅기타”(2003)
1행시에 대하여
후기/바쇼(芭蕉)에 대하여
제25시집 “꿈꾸는 탐라섬”(2004)
자서
시작(詩作) 노트 1/제주도 이모저모
시작(詩作) 노트 2/내 시 속의 오름
제26시집 “소나무 만다라”(2005)/ 노송과 나, 우리는 서로 지기
제27시집 “섬들은 외롭지 않다”(2006)/ 섬과 나
제28시집 “이승에서 영원을 사는 섬들”(2006)/ 섬의 매력
제29시집 “이집트 그리스 시편”(2007)/ 기행시에 대하여
제30시집 “포르투갈 모로코 스페인 시편”(2007)
김억선(金億善) 선생에게―그는 스페인 마드리드에 거주하고 있다
제32시집 “산.폭포.정자.소나무”(2010)/ 자서
제33시집 “까치와 시인”(2011)/ 자서
제34시집 “4행시와 17자시”(2012)
시인의 말
평설/인(人).사(事).물(物)을 기리는 소박한 위대함 | 조환수
17자시에 대한 단평 | 최동호
시선집 1 “꿈꾸는 빛바다”(1986)
자서
해설/극기와 집중의 구도자적 시학 | 최동호
시선집 2 “바다 만세 바다”(1987)
나의 독자들에게
나의 시론(詩論)/삶의 적극적인 긍정과 찬미로
나의 시(詩)에 관하여
시선집 3 “한 방울의 만남”(1991)
서시
해설/박희진 시 서설(序說)―구도와 찬미 | 성찬경
시선집 4 “미래의 시인에게”(2008)
시인의 말
평설/현대의 고전을 빚어내는 영혼의 울림 | 조환수
시화집 “내 사랑 소나무”(2004)
재출간에 즈음하여
1991년판 머리말/시인의 말
1991년판 머리말/화가의 말 | 이호중
박희진 전집 1 “초기시집”(2004)/ 자서
박희진 전집 2 “중기시집”(2005)
머리말
평설/시대와 함께한 대자유인의 거대한 진폭―사회 참여에서 상상력의 극한까지 | 조환수
박희진 전집 3 “후기시집Ⅰ”(2005)
머리말
평설/우이동 시대의 두 화두, ‘자연’ 그리고 ‘풍류도’ | 조환수
박희진 전집 4 “후기시집Ⅱ”(2005)
평설/천.지.인 삼재가 어우러진 생명의 우주적 변주 | 조환수

제4부 육십년대사화집
“육십년대사화집(六十年代詞華集)” 동인의 백서
“육십년대사화집” 종간사(終刊辭)
동인지시절 회고/실험 의식과 작품 의식
어느 날의 “육십년대사화집” 동인들

제5부 공간시낭독회(空間詩朗讀會)
왜 시낭독 운동을 하는가
시낭독 운동의 의의
공간시낭독회
시의 공연화(公演化)/생명의 교류, 동시적 체험의 기쁨
공간시낭독회와 나/시 낭독에서 시 낭송으로
약사(略史)/공간시낭독회
공간시낭독회 400회를 맞이하여

제6부 시집 서문(序文)
호영송 시집 “호영송시집”(1965)/서문
김홍성 시집 “먼지 속에 꽃씨 하나”(1990)/서(序)
배아송 시.임경숙 글 “천권의 책을 읽으면 아송이처럼 시인이 된다”(2005)/추천사
이현이 시집 “꽃잎 따는 강아지”(2007)/시집 발간에 부쳐
이인평 인물시 제1집 “명인별곡”(2011)/서문

제7부 스승의 프로필
미완(未完)의 사사(謝辭)
장미, 오 순수한 모순(矛盾)―릴케의 죽음
불전(佛典)과 릴케―내가 영향 받은 작가
윤곤강(尹崑崗) 선생 편모(片貌)
잊을 수 없는 사람/피난 시절에 만난 조지훈(趙芝薰) 선생
지훈 선생의 이모저모
지훈(芝薰)의 인상
조지훈 시 ‘화체개현(花體開顯)’ 감상
달빛의 마술성(魔術性)―조지훈의 ‘월광곡(月光曲)’
내가 뵌 공초(空超) 선생
화안애어(和顔愛語).외유내강(外柔內剛)의 구상(具常) 시인
편운(片雲) 선생과 나
김규영(金奎榮) 스승과의 운명적인 만남
내 문학 속의 스승, 김규영

제8부 성찬경(成贊慶)의 인간과 시
마음속에 남는 사람/ 누릴 줄 아는 사람, 성찬경
인간 성찬경
인연의 매듭/나에게 성찬경은 누구인가
내가 만난 성찬경/지성의 섬광과 열정의 불길―10대 후반의 성찬경
성찬경 첫 시집 “화형둔주곡(火刑遁走曲)” 평
성찬경 시집 “반투명”/반투명(半透明)의 의미
성찬경 시선 “영혼의 눈 육체의 눈”(1986) 해설/ 인식(認識)과 찬미(讚美)―성찬경의 시 세계
성찬경 시선 “소나무를 기림”(1991) 해설/성찬경론
성찬경 소네트 시집 “바스락 바스락 작업을 한다”(2012) 평설/존재와 인생은 끝없는 신비의 심연
무사(無邪)의 마음, 대화의 묘법(妙法)
고 성찬경 형을 추모하며

제9부 자작시(自作詩) 해설
한 편의 시가 써지기까지
시의 오브제/회색의 염주초(念珠抄)
내 마음의 시/‘지상(地上)의 소나무는……’
시인의 겨울 산문/앙상한 뼈만으로 견디어 보자
나는 이 시를 이렇게 썼다/난초와 나
나는 이 시를 이렇게 썼다/진달래 정토(淨土)길
시가 있는 산문/달력 사진에서 취재한 시 2편
최두환 교수님께

제10부 자서적(自敍的) 스케치
나의 습작기/외로운 구도(求道)의 길
역사의 혼란기에 문우들과 교류하며
작가의 고향/설다뽕과 술여울의 노래
문학.문학인/시작(詩作)과 구도(求道)
늙는다는 일과 시 쓰는 일
“현대시학” 작품상 수상소감
제1회 녹색문학상 수상소감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시는 나의 생명, 존재의 핵심
시인들의 노년, 노년의 시와 삶
내가 시마(詩魔)에 사로잡힌 순간/ 장시(長詩) ‘안중근’을 쓰던 무렵

제11부 내 문학 세대의 정신사
당선 소감/시치(詩痴)의 변
단상(斷想)
나의 시작편력(詩作遍歷)/“실내악”과 “청동시대”
비극적 생명의 돌파구
한국어의 가능성
1950년대 시(詩)/상처와 영광
내 길에 서 있는 6.25/공산주의라는 망령의 극복
문학(文學)이 이데올로기의 도구로 전락해서야
혼돈과 창조

제12부 시(詩)와 시인(詩人)
시(詩).시인(詩人).독자(讀者)―침체와 위기의 극복을 위한 대화
정신의 연금술―시의 제작 과정
오늘날 시를 죽이는 건 시인들이다
나의 시론(詩論)/시(詩)의 음악성(音樂性)
고전(古典)의 현대화/가능성을 위한 반성과 전망―동양 고전과 나의 시작(詩作)
편상삼제(片想三題)
시(詩)의 첫 행은 어떻게 시작되나
시와 시인―시인의 입장에서
오늘의 시(詩)와 자연(自然)은 어떻게 만나야 할 것인가
시(詩)와 생활(生活)―실감(實感)에서 감동(感動)으로
제6회 동서문학 신인작품상 시부문 심사평/ 좋은 시를 쓰자면 좋은 시인이 돼야 한다
한국시협상 심사경과 보고
서평/박성룡 시집 “가을에 잃어버린 것들”
서평/이창대 시집 “무서운 유희”
서평/박재삼 시집 “춘향(春香)이 마음”
서평/전봉건 시집 “돌”- 돌의 미학
서평/구상(具常) 시선 “말씀의 실상(實相)”
가슴이 따뜻한 시인, 정대구(鄭大九)
박용래(朴龍來) 시인의 편지
호영송의 시 세계/젊은 날의 호영송의 인상과 시
서평/“파우스트 : 하나의 비극”―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최두환 옮김, 시와 진실
북한산(北漢山)과 진달래꽃제(祭)
창작교실 참가기/시(詩)의 나라, 시인(詩人)의 나라―해변시인학교
해변시인학교 인상기/소감(所感) 몇 마디

연보

저자소개

박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 경기도 연천에서 태어나 2015년 3월 서울에서 별세하였다. 보성 중학교(6년제)를 거쳐 고려 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였고, 1955년 이한직·조지훈 선생 추천으로 『문학예술』지를 통해 시단에 나왔다. 1961년 시동인지 『육십년대사화집』을 출범시켜 1967년 종간호까지 주도적으로 이끌며 한국 시단에 새로운 지성적 바람을 불러일으켰으며, 1975년에는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 ‘국제창작계획’ 과정에 참가하여 수개월간 세계 각지에서 초청돼 온 유수 문인들과 교류하며 한국 문학과 자신의 시세계를 소개하였다. 시 낭독에 남다른 열정을 지녔던 그는 1965년에 신문회관 강당에서 단독 자작시 낭독회를 연 이래 1970년에는 명동의 카페 떼아뜨르에서 ‘박희진·성찬경 2인 시낭독회’를 열었고 1979년 4월에는 구상·성찬경 시인과 함께 ‘공간시낭독회’를 창립해 작고할 때까지 상임시인으로 참여해 왔다. 월탄문학상, 현대시학상, 한국시인협회상, 상화시인상, 펜문학상, 제1회 녹색문학상 등을 받았으며, 1999년에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7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평생 수도자처럼 독신 생활을 고수하며 문학에 몰두하여 단행본 시집 36권, 수필집 3권, 1천 쪽이 넘는 시론집을 포함해 50권에 육박하는 책을 내었다(연보 참조). 영어, 독일어, 일본어로 번역·출간된 시집들이 현지 시인과 비평가들한테서 크게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