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친일 영화의 해부학 (왜 그들은 친일 영화를 만들었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9444528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2-08-15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9444528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2-08-15
책 소개
일제강점기 만들어진 친일 영화가 어떤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특히 조선의 영화인들이 일본의 전쟁을 위해 목숨을 바쳐야 한다고 극단적으로 선전한 친일 영화를 왜 만들었는지, 그들의 상황과 심리 분석에 많은 부분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 나는 민족주의자인가?
제1장 왜 친일 영화인가?
1. 국가주의와 파시즘의 선전 수단 / 2. ‘내적 논리’라는 방법론 / 3. 영화 ‘담론’에 주목하는 이유
제2장 1930년대 중.후반의 영화 담론
1. 조선 영화인의 담론 연구-1. 새로운 세대의 등장 / 2. 조선 영화계의 현실 / 3. 조선 영화 부진의 원인 분석 / 4. 조선 영화 진흥의 담론 창출
제3장 친일로의 방향 선회와 친일 담론의 창출
1. 조선영화령 옹호의 논리
제4장 극단적 친일 담론의 형성
1. 극단적 친일로의 전환 / 2. 조선, 만주, 일본을 잇는 영화협동체 / 3. ‘담론적 실천’으로서의 친일
제5장 징병제 선포 전의 친일 영화
1. 〈군용열차〉, 중일전쟁과 근대화 / 2. 〈지원병〉, 동양 평화와 군국주의 전쟁 동원 / 3. 〈집 없는 천사〉, 천황제 가족주의 재현 / 4. 〈반도의 봄〉, 조선영화령을 선전하는 멜로드라마 / 5. 〈그대와 나〉, 내선일체와 황군 된 영광
제6장 징병제 선포 후의 친일 영화
1. 〈조선해협〉, 징병제와 총후부인 그리고 가족주의 / 2. 〈거경전〉, 해양 일본의 전력 증강 / 3. 〈병정님〉, 자발적 전투 요원 육성 / 4. 〈사랑과 맹세〉, 내선일체형 가족과 가미카제 찬가
제7장 해방 후 지배 담론과 권력의 결합
제8장 역사는 과거를 통제하는 것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