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왜 학교는 불행한가

왜 학교는 불행한가

(전 거창고 교장 전성은,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전성은 (지은이)
메디치미디어
11,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5개 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050원 -10% 400원 6,840원 >

책 이미지

왜 학교는 불행한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왜 학교는 불행한가 (전 거창고 교장 전성은,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88994612072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1-05-16

책 소개

우리나라 학교 중 대표적인 ‘행복학교’로 꼽히는 거창고등학교에서 정년퇴직한 전(前) 교장 전성은 선생의 학교교육의 본질과 역할에 관한 글이다. ‘참여정부’ 당시 교육혁신위원장을 맡아 교육혁신을 하고자 했으나 여러 가지 벽에 부딪혀 끝내 이루지 못한 대한민국 교육혁신의 방향을 책에 담았다.

목차

들어가는 말 :
‘생각이 없는’ 민족은 망한다│12

제1부 학교란 무엇인가

1장 학교는 어떻게 태어나고 자라왔는가
고위 관료 양성 교육이 국가의 목적 │33
철저히 국가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학교 │38
국가는 한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48

2장 국가의 학교교육 정책과 학교교육의 성격은 무엇인가
국가의 학교교육 정책 │52
교육의 기능이 어떻게 목적이 되었나 │58
학교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나 │63
- 경쟁심만 키우는 학교 문화가 문제
- 이공계 중시하며 인문계 천대한 독재 권력

3장 학교교육 이념에 대한 두 가지 신화
인재 양성론의 허구│74
허상뿐인 도덕교육론 │80
- 관공립 학교 세우며 교훈도 일괄적으로 제정
- 국가주의 도덕이 히틀러유겐트와 가미가제 특공대 낳아
학교교육에서 인격이 길러질 수 있을까 │94
- 학교교육만으로 인격을 변화시키긴 힘들어

제2부 학교교육의 목적

1장 평화는 교육의 목표
학교교육과 교육은 분명 다르다 │105
증오는 이데올로기 교육이자 세뇌 교육 │109

2장 학교교육에서의 평화는 무엇인가
평화는 평등, 자유, 공존의 세상 │113
- 언제나 존중받아야 할 인간의 존엄성
공존하는 삶의 의미 │121
- 이데올로기나 종교 갈등 많아
주체적인 삶이란 │128
- 문화는 다를 뿐 우열로 나누면 안 돼
다양하게 산다는 것 │139
- 대학은 아이들의 재능과 소질을 최대화시켜주는 곳
- 온 국민의 과거시험 준비는 그만둬야

제3부 평화를 위한 학교교육 제도

1장 교육 행정은 ‘평등과 자율’
국가 차원에서의 제도 문제 중요 │151
- 제도의 개선으로 해야 하는 이유

2장 학교교육의 운영 원칙
학교는 통제보다 자율권 보장이 중요 │167
- 자율은 권리가 아닌 의무 체계
- 학생들 스스로 만드는 예술제, 이것이 자율권

제4부 교사의 길 학생의 길

1장 교육에서 사랑이란 무엇인가
교사와 학생의 만남은 인연이다 │185
- 교사는 학생의 ‘참된 이익’에 봉사해야
교사와 학생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선결과제 │193
- 사상, 신앙을 주입하지 않아야 한다
- 좋은 것이 독이 될 수도 있다?
- 편애하면 안 된다
- 끊임없이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
- 교사로서 받는 월급으로 만족해야 한다

글을 마치며:
‘옳은 교육’을 위해서는 국가의 통제 벗어나야│200

저자소개

전성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부터 거창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이후 2006년까지 41년간 거창고를 비롯해 같은 재단인 샛별초등학교, 샛별중학교 등에서 교사와 교장을 역임했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교육혁신위원회 위원장을 2년간 맡아 학교교육을 혁신하기 위해 노력했다. 저서로는 ‘교육론’ 3부작인 《왜 학교는 불행한가》, 《왜 교육은 인간을 불행하게 하는가》, 《왜 교육정책은 역사를 불행하게 하는가》와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이 있다. 이 책 《왜 부모는 자녀를 불행하게 만드는가》에서 저자는 다양한 에피소드와 함께 ‘부모 십계명’과 ‘부모와 자녀를 위한 행복론’을 풀어놓는다.
펼치기

책속에서

학교는 그들이 만들어낸 신분계급제도가 하늘이 정한 질서(도덕)라는 이데올로기를 만들어내고 퍼뜨리며 가르치는 일을 담당하는 기관이 되었다. 교사는 그 일을 담당하는 대가로 지배계급이 되는 특권을 누리게 되었다.


20세기의 경제, 정치, 사회가 법률적 평등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학교의 기능은 국가 지배 계층의 유지, 강화를 위해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는 일에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길러내는 일로 바뀌었다. 그러면서 이 변화에 따라 대학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대학을 졸업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에 사회 ?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으로 상하의 계층이 형성되었다. 다시 말해 학력에 따른 직업군이 형성되고 그 직업군이 갖는 사회 ? 경제적 힘의 크기에 따라 새로운 계급이 형성된 것이다.


오늘날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행해지고 있는 입시제도는 경쟁이다. 네가 들어가면 내가 못 들어간다. 경쟁을 수단으로 국민을 통제하던 고대국가와 식민지 국가에서 하던 정책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는 전근대적이고 비인간적인 제도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7066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