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94844626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9-08-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조선 철학의 태두: 퇴계‧율곡‧남명
제1장 매화를 사랑한 조선 철학의 태두, 퇴계 이황
- 퇴계 이황의 심학과 정신주의 철학
제2장 영원한 철인정치가, 율곡 이이
-율곡 이이의 이기묘합의 철학과 무실의 경세론
제3장 지리산을 사랑한 야성의 철학자, 남명 조식
-남명 조식의 의(義)의 철학과 수양론
2부. 퇴계학파의 전개
제4장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조선의 명재상, 서애 류성룡
-서애 류성룡의 심학적 철학과 경세론
제5장 최고의 강사(國士)로 불린 예학의 권위자, 우복 정경세
-우복 정경세의 주리 철학과 경세론
3부. 우주여행을 상상한 독창적 사상가, 여헌 장현광
제6장 여헌 장현광의 현실 의식과 경위 철학
제7장 여헌 장현광의 여행의 철학과 수분의 윤리학
4부. 율곡학파의 전개와 조선 후기 최대의 철학 논쟁(호락논변)
제8장 조선의 최고 철학적 논객을 길러낸 학자, 수암 권상하
-수암 권상하의 황강학파와 그 사상
제9장 조선 후기 최대의 철학 논쟁: 인물성동이논쟁과 환경 윤리
제10장 조선을 뒤흔든 호락논쟁의 주인공, 남당 한원진
-퇴계학 비판을 통해 본 남당 한원진의 철학
5부. 의병장이 된 화서학파의 철학자, 의암 유인석
제11장 의암 유인석의 역사관과 동서 문화론
6부. 조선 후기 실학의 도전과 조선 최고의 지식인, 다산 정약용
제12장 이익, 홍대용, 정약용, 최한기의 마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제13장 다산 정약용의 실용적 학문관과 교육관
제14장 동서 사상의 만남과 다산 정약용의 작위적 인간관
제15장 다산 정약용의 행사의 윤리학
제16장 다산 정약용의 민주적 정치사상
맺음말: 조선의 선비 문화와 일본의 무사 문화-그 빛과 그림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