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9495581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2-04-22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머리말
중한사전의 표제자|신상현
1. 머리말
2. 중국의 한자 규범정책 개괄
3. 기존 중한사전의 표제자 처리 검토
4. 중한사전 표제자 처리의 방향
5. 맺음말
중한사전의 문법 정보|김현철
1. 머리말
2. 문법 정보의 중요성
3. 문법 정보 오류 현상 분석
4. 맺음말
중한사전의 품사 체계|범기혜
1. 머리말
2. 현대 중국어의 품사 체계
3. 중한사전의 품사 체계와 문제점
4. 중한사전 품사 체계의 개선 방향
5. 맺음말
중한사전의 뜻풀이 정보|도원영
1. 머리말
2. 중한사전의 사전학적 특징과 뜻풀이의 정보화
3. 중한사전의 뜻풀이 검토
4. 뜻풀이 정보의 개정 방향
5. 맺음말
중한사전의 용례 정보|도원영?범기혜
1. 머리말
2. 용례의 사전학적 특징
3. 중한사전의 용례 분석
4. 맺음말
중한사전의 다품사어와 용례 처리|장선우
1. 머리말
2. 중국어 품사 및 사전 용례
3. 중한사전 다품사어 용례 분석
4. 맺음말 241
《中??典》?????典|?冬梅
1.引言
2.收??多
3.???多
4.配例?少, 且缺乏典型性
5.配例不能?好地表???的色彩?
6.余?
?번역문 : <중한사전>과 학습 사전|조동매
1. 머리말
2. 과다한 표제어 수
3. 과다한 의항 수
4. 용례의 부족 및 전형성의 결여
5. 연상 의미를 잘 나타내지 못하는 용례
6. 맺음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989년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中韓辭典>을 편찬한 것은 우리나라의 중국학 연구 역량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후 <中韓辭典>은 중국어를 배우려는 수많은 독자들로부터 깊은 사랑을 받아 왔다. 또한 우리나라의 중국학을 비롯한 동양학 분야의 연구를 한 단계 더 향상시키는 데에 이바지하였고, 국내의 <中韓辭典> 편찬 역량 또한 강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중국과 대만 등 해외 한국학 연구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후에도 <中韓辭典>은 급변하는 중국의 언어 변화 양상을 시기적절하게 반영하고, 사전을 이용하는 독자들에게 좀더 유용한 어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어휘와 예문을 추가하였으며, 한어 병음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수정하는 등 개정과 증보 작업에 착수하여 세 차례에 걸쳐 개정판을 간행하였다. 그리고 2004년에는 5만 6천 개 표제어를 수록한 <韓中辭典>을 간행하여 <中韓辭典>과 견줄 수 있도록 하였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