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어 어휘론

한국어 어휘론

최경봉, 도원영, 황화상, 김일환, 이지영 (지은이)
한국문화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1,100원
20,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000원 -10% 1100원 18,700원 >

책 이미지

한국어 어휘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어 어휘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88968178320
· 쪽수 : 341쪽
· 출판일 : 2020-01-10

책 소개

언어가 인간의 마음과 세상의 모습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언어 연구의 핵심은 어휘를 연구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어휘에 대한 탐구의 중요성은 특별히 강조할 필요가 있다. 독자들이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어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기를 바란다.

목차

감사의 글

1. 총론
1.1. 어휘론의 연구 대상
1.2. 이 책의 구성과 개요

2. 어휘의 유형
2.1. 품사에 따른 어휘 유형
2.2. 기원에 따른 어휘 유형
2.3. 사용역에 따른 어휘 유형
2.3.1. 방언
2.3.2. 전문어
2.3.3. 은어
2.3.4. 속어
2.3.5. 금기어와 완곡어
2.3.6. 존칭어와 비칭어
2.4. 형식에 따른 어휘 유형
2.4.1. 복합어
2.4.2. 관용어

3. 어휘의 의미
3.1. 어휘장
3.1.1. 어휘장의 구조: 계열적 어휘장과 결합적 어휘장
3.1.2. 어휘장의 의미 분절과 빈자리
3.2. 어휘의 분류 체계
3.2.1. 어휘 부류와 분류 체계
3.2.2. 어휘의 부류와 의미 작용
3.2.3. 어휘 분류 체계의 응용
3.3. 어휘의 의미 관계
3.3.1. 의미 관계의 유형화
3.3.2. 유의 관계
3.3.3. 반의 관계
3.3.4. 상하의 관계와 부분?전체 관계
3.3.5. 동음 관계
3.4. 어휘 체계의 복잡성과 의미망의 모색
3.4.1. 분류 체계의 복잡성과 의미망
3.4.2. 의미 관계의 복잡성과 의미망

4. 어휘의 변화
4.1. 어휘 변화의 유형
4.1.1. 형태 변화
4.1.2. 의미 변화
4.1.3. 범주 변화
4.2. 어휘 변화의 요인
4.2.1. 언어적 요인
4.2.2. 지시 대상의 변화
4.2.3. 인식의 변화
4.3. 국어 어휘 체계 변화의 주요 특징
4.3.1. 국어 어휘 체계 변화의 서술 방법
4.3.2. 한자의 수용과 한자어의 확산
4.3.3. 언어 접촉에 따른 외국어의 차용

5. 어휘의 조사
5.1. 어휘 조사의 필요성과 역사
5.1.1. 어휘 조사의 필요성
5.1.2. 어휘 조사의 역사
5.2. 어휘 조사의 방법
5.2.1. 컴퓨터를 이용한 어휘 조사 방법
5.2.2. 어휘 조사에 활용되는 코퍼스
5.3. 어휘 조사의 실제
5.3.1. 빈도와 어휘 조사
5.3.2. 어휘 조사 결과의 분석
5.4. 어휘의 평정(評定)
5.4.1. 어휘 평정의 절차와 방법
5.4.2. 기초 어휘의 선정

6. 어휘와 사전
6.1. 사전의 개념
6.1.1. 사전과 어휘의 관계
6.1.2. 사전의 성격과 역할
6.2. 사전의 종류
6.2.1. 규모에 따른 사전의 종류
6.2.2. 용도에 따른 사전의 종류
6.2.3. 성격에 따른 사전의 종류
6.2.4. 시간에 따른 사전의 종류
6.2.5. 사용 언어에 따른 사전의 종류
6.3. 사전의 구조와 정보
6.3.1. 표제어
6.3.2. 미시 구조
6.3.3. 어휘 부류별 정보
6.4. 사전의 변화와 활용
6.4.1. 사전의 변화
6.4.2. 사전의 활용
6.5. 우리말 사전의 역사
6.5.1. 해방 이전 사전
6.5.2. 해방 이후 사전
6.5.3. 최근의 사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경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휘의미론, 국어사전학, 국어학사, 국어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하면서,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어휘의미론』,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우리말 강화(講話)』,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을 저술하였다. 같이 쓴 책으로는 『우리말의 수수께끼』,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한글과 과학문명』,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한국어 어휘론』,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등이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펼치기
황화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1994)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96)와 박사 학위(2001)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기계번역실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영한?한영 기계번역기 개발에 참여했다.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부교수로 있었고,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문법 분야의 강의를 하고 있다. E-mail: hshwang@sogang.ac.kr 주요 논저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2001) 한국어 전산 형태론(2004) 국어 조사의 문법(2012)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2010)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과 형성」(2013) 「어근 분리의 공시론과 통시론」(2016) 「접미 한자어의 형태와 의미」(2017) 「접사의 지배적 기능에 대하여」(2018) 「‘하다’ 없이 나타나는 ‘않다’에 대하여」(2021) 등
펼치기
도원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어사전, 중국어사전, 테툼어사전 등 평생 사전을 편찬하고 연구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다. 틈틈이 대학생들에게 유쾌하고 즐거운 언어생활을 위한 강의를 계속해 온 덕분에 이 책을 기획하게 되었다. 여러 전문가와 함께 《디지털 시대의 사전》, 《한국어 어휘론》, 《열려라, 말》 등을 썼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교수이다.
펼치기
김일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200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1998~2017). 미국 일리노이대학 방문학자(2003).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2018~ ). 저서로는 『한국어 어휘론』(공저, 2020),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미래』(공저, 2018), 『키워드, 공기어 그리고 네트워크』(공저, 2017), 『‘물결21’ 코퍼스의 구축과 활용』(공저, 2017), 『신문의 언어 사용 통계』(공저,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2008) 「종결형의 변화와 근대적 문체」(2019) 「‘–기를’ 인용구문의 발달과 인용구문 유형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2017) 「‘–은지’와 ‘–을지’의 통시적 변화」(2008) 「근대국어 이후 반사실적 가정 표현의 발달」(2002)
펼치기

책속에서

1. 총론
1.1. 어휘론의 연구 대상

어휘론은 ‘어휘(語彙)’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다. 어휘론의 연구 대상이 이처럼 분명함에도, 그간 어휘론이란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합의된 바가 없다. 왜 그랬을까? ‘어휘’라는 용어를 이해하는 관점의 차이 때문이다. ‘어휘’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어휘론의 연구 대상과 범위가 달라졌던 것이다. 어휘의 정의와 관련한 관점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어휘’의 정의와 어휘론의 연구 대상(1)
어휘의 정의와 관련한 첫 번째 관점은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으로 규정하고 이를 ‘단어’와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처럼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으로 규정하면, 어휘론 연구는 두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첫째는 어휘의 수량적 구성을 파악하는 연구이며, 둘째는 집합을 이루는 단어들을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거나 단어들 간의 관계망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첫째는 ‘어휘의 계량’에 대한 연구로, 둘째는 ‘어휘의 체계’에 대한 연구로 부를 수 있다. 따라서 개별 단어의 구성과 생성 규칙, 또는 단어의 의미 변이나 의미 변화 등은 어휘론의 연구 대상에서 제외된다.
어휘의 계량과 관련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어휘량 및 출현 빈도를 파악하는 조사 연구’, ‘기초 어휘 및 기본 어휘를 선정하는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어휘의 체계와 관련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어종(語種)이나 사용역(使用域, register)에 따라 어휘를 유형화하는 연구’, ‘문법적 기능 혹은 개념에 따라 어휘를 분류하는 연구’, ‘어휘군 내에서의 단어 간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어휘의 유형, 분류, 관계 등에 대한 정보는 상호 관련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도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어휘의 유형화와 분류 그리고 어휘 간 관계 설정을 위한 연구는 결국 어휘를 정리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휘론의 연구 대상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어휘론의 연구 대상(1)
1. 어휘의 계량 : 1) 어휘량 및 출현 빈도, 2) 기초 어휘 및 기본 어휘
2. 어휘의 체계
1) 어휘의 유형: 어종에 따른 유형(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 사용역에 따른 유형(높임말, 비속어, 완곡어, 은어, 방언, 전문어 ...)
2) 어휘의 분류: 문법적 기능에 따른 분류(품사 분류), 개념에 따른 분류(의미 분류)
3) 어휘의 관계: 어휘장,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의 관계 ...

? ‘어휘’의 정의와 어휘론의 연구 대상(2)
어휘의 정의와 관련한 두 번째 관점은 단어의 의미가 그와 관련된 단어들의 관계망 속에서 결정된다고 보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관점과 상통한다.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와의 관계 속에서 결정되는 것이라면, 한 단어의 존재는 ‘집합으로서의 어휘’를 전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는 개체로서의 ‘단어’와 집합으로서의 ‘어휘’를 구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단어’와 ‘어휘’를 굳이 구분하지 않고 이를 통칭하는 말로 ‘어휘’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걸 보면, 이러한 관점은 언어 관습에도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어휘’를 폭넓게 정의하게 되면, 자연히 어휘론의 연구 대상도 달라진다. 첫 번째 관점에서 제외하였던 부분, 즉 개별 단어의 구성과 생성 규칙, 단어의 의미 변이나 의미 변화 등을 어휘 집합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휘론은 ‘단어의 형성’, ‘품사’, ‘어휘의 계량’, ‘어휘 유형’, ‘의미 관계’, ‘단어의 의미 변이’, ‘단어의 의미 변화’ 등과 관련한 문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게 된다. 특히 단어의 의미 변이와 의미 변화가 어휘 체계와 연관되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개체로서의 단어를 어휘론적 관점에서 살펴야 할 필요성은 분명해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어휘론의 연구 대상을 재설정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어휘론의 연구 대상(2)
1. 개체로서의 단어
1) 단어의 형태: 단어의 구성, 단어의 형성
2) 단어의 의미: 단어의 의미 변이와 의미 변화
2. 집합으로서의 어휘
1) 어휘의 계량: 어휘량 및 출현 빈도, 기초 어휘 및 기본 어휘
2) 어휘의 체계
① 어휘의 유형: 어종에 따른 유형(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 사용역에 따른 유형(높임말, 비속어, 완곡어, 은어, 방언, 전문어 ...)
② 어휘의 분류: 문법적 기능에 따른 분류(품사 분류), 개념에 따른 분류(어휘의 의미 부류와 분류 체계)
③ 어휘의 관계: 어휘장,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의 관계, 부분?전체 관계 ...

위에 제시한 ‘어휘론의 연구 대상’을 보면, 어휘론은 단어 혹은 어휘의 생성과 저장 그리고 사용과 관련한 모든 사항을 연구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어휘론은 ‘머릿속 사전(mental lexicon)’ 혹은 ‘어휘부(lexicon)’에 대한 연구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어휘론이 ‘머릿속 사전(mental lexicon)’ 혹은 ‘어휘부(lexicon)’에 대한 연구라는 관점에서 어휘론의 연구 대상을 구체화하고 이와 관련한 연구 내용을 설명할 것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8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