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88995178768
· 쪽수 : 345쪽
· 출판일 : 2004-03-01
목차
머리말
차례
책 머리에
제1장 전통음악의 특징
1. 적혀있는 음악과 마음속에 있는 음악
2. 농담과 여백의 정악
3. 죄고 푸는 산조
제2장 전통음악의 멋
1. 세련미의 극치 - 정읍
1) 정읍의 역사
2) 정읍의 형식
3) 정읍의 조
4) 정읍의 연주형태
5) 정읍의 아름다움
2. 유장미의 극치 - 가곡
1) 가곡의 역사
2) 연주형태와 남녀창의 순서
3) 가곡과 시조와의 구분
4) 가곡의 아름다움
5) 가곡의미래
3. 진정제로서의 음악 -영산회상
1) 영산회상의 역사
2) 영산회상의 구성
3) 영산회상의 장단
4) 영산회상의 종류
5) 선비음악으로서의 영산회상
4. 가곡·영산회상의 교육적 효과
1) 북방계와 남방계
2) 북방계와 남방계의 음악
3) 가곡의 변주와 체질인류학적 고찰
4) 느린 음악의 교육적 효과
5. 세종대왕이 작곡한 음악 - 여민락
1) 여민락
2) 세종대왕이 남긴 교훈
6. 절제의 선비음악 - 거문고 정악
7. 오랜 전통과 화사함 - 가야고 음악
1) 가야고의 유래
2) 가야고의 종류
3) 가야고 음악의 미래
8. 외래음악의 수용 - 보허자
9. 음양오행의 음악 - 문묘악
1) 악(樂)의 의미
2) 오행사상과 음악
3) 문묘악
10. 서민적 삶의 지혜 - 판소리
1) 판소리와 오페라
판소리의 발생과 전승
명창이란?
판소리의 현재와 미래
판소리의 현대적 의미
판소리 전승의 문제
11. 화합의 음악 - 농악
1) 농악의 기능
2) 농악의 구성
3) 농악의 미래
11. 사물놀이
1) 사물놀이의 역사
2) 사물놀이의 구조
3) 사물놀이의 네 악기
4) 사물놀이의 연주 곡목
5) 사물놀이의 음악의 배경
6) 사물놀이의 아름다움
7) 사물놀이의 미래
제3장 전통음악의 미래
1. 우리 민족의 음악성
2. 국악의 대중화 운동
3. 한국악기와 서양악기의 만남
1) 국악기와 양악기의 만남은 필요한 것인가?
2) 다른 나라의 형편은 어떠한가?
3) 만남의 장점과 단점
4)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까?
4. 남북 전통음악의 만남
1) 북한의 문화정책
2) 북한의 음악
3) 남북음악의 만남
4) 앞으로의 전망
5. 교회 음악과 전통음악
6. 동양음악의 연구와 전통음악
1) 인도의 생활과 음악
2) 동양음악의 연구는 왜 필요한가?
7. 우리 나라의 삼대악성
8. 한국 음악계의 과제
부록
한국음악의 선법
1. 왜 한국음악은 선법을 알기가 어려운가?
2. 시대와 더불어 변한 평조와 계면조 이론
3. 국악계의 다양한 선법 분류법
4. 교육용 선법이론은 이렇게 쓰자.
한국음악의 장단
1. 영산회상 장단의 형성
2. 산조 장단의 형성
3. 한국 음악 장단은 인도에서
* 한국 음악 장단의 길고 짧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