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감독/배우
· ISBN : 9788995513309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04-05-12
책 소개
목차
제1부
정수완_오즈 야스지로의 무성영화에 나타난 희극성; 근대와 전통의 충돌을 중심으로
박성수_<늦봄> 이후에 나타난 오즈의 영화미학
홍성남_오즈적 세계와 그 가상적 설계도의 어떤 단면에 대하여
이경숙_오즈 야스지로 영화에서 드러난 가족관계
정성일_오즈의 주변, 혹은 그 이후 우리들은 오즈로부터 무엇을 훔쳤는가?
민병록_오즈 야스지로의 작품세계
제2부
이상용_아이들과 어른들의 변증법, <태어나기는 했지만>
김지훈_<외아들>
데이비드 보드웰_<도다가의 형제자매들>
데이비드 보드웰_<셋방살이의 기록>
유운성_여자가 계단에서 떨어질 때, <바람속의 암탉>
심영섭_근원적인 삶의 비애를 초혼하는 만가, <늦봄>
김지훈_<초여름>
데이비드 보드웰_<오차즈케의 맛>
이상용_인간과 시대의 표정을 담은 영화, <동경이야기>
강소원_결혼은 했지만, 그러나... <이른 봄>
데이비드 보드웰_<동경의 황혼>
심영섭_가을 벼랑에 핀 부성애, <피안화>
강소원_조용한 유머, 언어의 패러독스, <안녕하세요>
유운성_그 해 여름, 떠도는 아버지가 있었다, <부초>
김의찬_불안전함이라는 우주, ,가을 햇살>
김영진_늙는다는 것, <고하야가와가을 가을>
김영진_비어있다는 것, <꽁치의 맛>
제3부
사토 다다오_ 국경을 초월하는 영화 테크닉
데이비드 보드웰_ 일관적 형식미의 반복과 변주
감독연보
작품연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데이비드 보드웰을 비롯한 서구의 많은 영화학자들은 오즈의 영화를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 규범에 도전하는 모더니즘적 작품으로 언급해왔다. 중심적 이야기들이 주변부의 이야기를 포섭하는 선형적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중심과 주변의 이야기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순환되는 '탈중심적 구조' 를 이루고 있다는 데에 오즈 영화의 독특함이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감독들과 영화학자들 역시 오즈의 영화 세계를 재평가하고자 노력하면서 그의 영화의 현재적 의미를 되새기는 작업을 계속해오고 있다. 오즈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오즈 영화를 다시 이야기하려는 이유는 분명하다. 비록 무덤에는 '無' 라는 한 글자만을 남겼지만, 오즈가 세계 영화계에 남긴 것은 결코 '無' 가 될 수 없는 무엇이기 때문이다. (이용관,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