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건강/환경
· ISBN : 9788995564141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5-12-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추천의 글
감사의 글
프롤로그
책의 구성
PART Ⅰ
1장 예방접종은 진짜 안전할까?
2장 수은이 접종된다.
3장 자폐증을 일으키는 예방접종
4장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예방접종
5장 아는 것이 힘이다.
PART Ⅱ
6장 B형간염백신
7장 DTP?DTaP백신(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8장 소아마비백신
9장 MMR백신(홍역, 볼거리, 풍진)
10장 수두백신
11장 Hib(뇌수막염)백신
12장 선택접종백신
PART Ⅲ
13장 미래의 백신
14장 예방접종을 거부할 권리와 피해보상
15장 예방접종부작용을 줄이는 방법
PART Ⅳ
- 대한민국 예방접종은 괜찮습니까?
- 용어설명
- 참고문헌
- 권장도서 및 논문
리뷰
책속에서
1957년부터 3년간 325,000명의 부룬디, 콩고, 르완다의 아이들에게 에이즈 바이러스에 오염된 경구용 소아마비백신이 접종됐으며, 현재 그 지역은 에이즈의 중심지로 간주된다. ... 북아메리카의 동성애 남성들에게 생기는 에이즈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1992년에 밝혀졌다.
1970년대 후반에 경구용 소아마비백신이 종종 생식기 포진에 대한 치료제로 동성애 남성들에게 처방됐다는 것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 치료제는 소아마비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던 백신보다 훨씬 더 강력하게 만들어졌다.
소아마비 바이러스는 대번으로부터 전염될 수 있다. 경구용 소아마비백신에 있는 소아마비 바이러스들도 대변으로 전염되기 때문에 항문을 통한 동성애 남자의 성교 행동으로 전염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문 165, 16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