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굿바이 티베트

굿바이 티베트

(눈보라를 헤치고 히말라야를 넘으며)

마리아 블루멘크론 (지은이), 김화경 (옮긴이)
하얀연꽃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굿바이 티베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굿바이 티베트 (눈보라를 헤치고 히말라야를 넘으며)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88995577752
· 쪽수 : 382쪽
· 출판일 : 2010-08-21

책 소개

마리아 블루멘크론이 티베트 망명자들과 함께 티베트와 네팔 사이에 위치한 국경을 넘으며 쓴 두 번째 책이다. 해발 6,000미터 이상 되는 가파르고 험한 길을 국경수비대 눈을 피해 넘나든 피 말리는 기록이다. 세계적인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마리아의 첫 번째 작품『히말라야를 넘는 아이들』의 완결이자 뒷이야기가 담겨 있다.

목차

여는 말

1부. 전설적인 피란민 가이드 켈상 직메
1949 - 1997

프롤로그
티베트, 1997년 12월 - 중국 사탕 세 개 ┃ 티베트, 1949년 - 켈상의 어머니
티베트, 1997년 12월 - 작별 ┃티베트, 1951년 - 쇠로 만든 새
티베트, 1997년 12월 - 분리주의자들 ┃티베트, 1955년에서 1956년 - <밀짚모자들>이 도착하다 ┃티베트, 1997년 12월 - 켈상 아저씨를 위한 여자┃티베트, 1957년 - 겐치 파치티베트, 1997년 12월 - 설원 ┃티베트, 1959년 - 삼촌
1997년 12월의 티베트와 네팔 - 국경을 넘는 길 ┃ 티베트, 1967년 - 라모 돌마
네팔, 1997년 12월 - 자삼파 ┃티베트, 1967년 - 사촌 왕두
네팔, 1997년 12월 - 좁은 길┃ 티베트, 1967년 - 타시 진파
네팔, 1997년 12월 - 캄파 여인의 노래 ┃ 티베트, 1967년 - 늙은 중매쟁이
네팔, 1997년 12월 - 빙하 바닥에서 들려오던 목소리
티베트, 1968년 - 동고로부터의 탈출┃네팔, 1997년 12월 - 위태로운 산등성이 길
티베트, 1968년 - 왕두의 제안 ┃ 네팔, 1997년 12월 - 눈 덮인 산등성이
티베트, 1968년 - 켈상의 결혼 ┃ 네팔, 1997년 12월 - 얼어 죽은 아이들
티베트, 1974년 - 아내의 땋은 머리채 ┃ 네팔, 1997년 12월 - 루낙
티베트, 1974년 - 이혼 ┃ 네팔, 1997년 12월 - 책임
티베트, 1976년 - 네 번째 아이 ┃ 네팔, 1997년 12월 - 틴레가 죽다
티베트, 1976년 - 네 아들들을 데리고 떠나라
네팔, 1997년 12월 - 눈 속에 남겨진 세 번째 아이

2부. 서양에서 온 여인 마리아 블루멘크론
1998 - 2000

프롤로그
카트만두, 1999년 가을 ┃ 카트만두, 1999년 늦가을 ┃ 카트만두, 1999년 11월
라사, 1999년 12월 ┃ 시가체, 1999년 12월 13일과 14일 ┃ 티베트, 1999년 12월 17일
티베트, 1999년 12월 23일과 24일 ┃ 1999년 12월 25일 아침
시가체, 1999년 12월 25일 ┃ 세 시간 후 ┃ 미니버스 ┃ 시가체, 1999년 12월 26일
어두운 구름 ┃ 선과 악 ┃추적자 ┃ 라르체와 코다리 사이, 1999년 12월 26일과 27일
펠바르, 12월 26일에서 27일로 넘어가는 밤 ┃ 같은 시간 국경 근처 코다리에서
펠바르, 12월 26일에서 27일로 넘어가는 밤 ┃ 카트만두, 1999년 12월 30일
시가체 경찰서, 1999년 12월 27일 ┃ 네팔, 1999년 12월 31일 ┃같은 시각 티베트에서
네팔, 2000년 1월 2일 ┃ 같은 시각 티베트에서 ┃ 네팔, 2000년 1월 7일
버드나무 안의 남자 ┃ 펨파네 오두막

3부. 어린 피란민 치메의 탈출 이야기
2000 - 2005

프롤로그
티베트 소녀의 회상 ┃ 작별 ┃ 니마 삼촌 ┃ 리틀 페마 ┃ 수쟈 ┃ 돈둡
서양에서 온 여인 ┃ 베를린, 2001년 5월 2일 ┃ 여섯 ┃ 베를린, 2001년 5월 2일
티베트, 2002년 봄 ┃ 쾰른, 2002년 3월 3일 ┃ 티베트, 2002년 4월 - 티베트 의사
그라츠, 2003년 12월 - 침묵에 사로잡히다 ┃ 티베트, 2004년 3월 - 굿바이 티베트
인도, 2004년 9월 - 켈상과 재회 ┃ 에필로그

4부. 히말라야에서 가장 어린 가이드 소년 켈상
2006 - 2007

프롤로그
티베트, 2007년 1월 - 소년 켈상 ┃ 네팔, 2007년 1월 - 주사위를 던지며
티베트, 2007년 2월 - 사촌 동생 ┃ 같은 시각 네팔에서는 - 대설
그 사이 티베트에서는 - 염소 치는 노인의 경고 ┃ 그동안 네팔에서는
같은 시각 티베트에서 - 굶주린 암호랑이 ┃ 그동안 네팔에서는 - 밍마의 게스트하우스
같은 시각 티베트에서 - 암호랑이의 집 ┃ 그동안 네팔에서 - 어린 여승 세 명
같은 시각 티베트에서 - 국경을 향하여 ┃ 치질 ┃ 같은 시각 국경에서
펨파네 오두막 - 담배 피는 산 ┃ 만남 ┃ <캄파> 다섯 명 ┃ 4,300미터 고도의 병상
시간과의 경주 ┃ 랍걀의 심장 ┃시인 로텐 ┃ 걱정 ┃ 2001년 3월 21일 - 중도中道
루낙 - 그곳에 서린 추억 ┃ 2007년 3월 22일 - 버너가 숨을 거두다
2007년 3월 23일 - 국경 부근 ┃ 2007년 3월 23일 네팔과 티베트 - 틴레가 웃다
에필로그 - 끝나지 않는 이야기

맺는 말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마리아 블루멘크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가이며 다큐멘터리 제작자인 마리아는 본디 배우였다. 1965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태어나 빈 예술학교에서 드라마를 공부했다. 뮌헨 영화학교에서 작가과정을 수료한 후 연극배우로 무대에 섰고 주로 TV 탤런트로 일했다. 한가롭게 뉴스를 보다가 히말라야에서 얼어 죽은 어린 티베트 망명자 사진을 보고 독일국영방송에 다큐멘터리 기획안을 제출했다. 1999년 12월, 무작정 중국 점령하에 있는 티베트로 건너가 다큐멘터리를 찍기 시작했다. 중국 공안에 체포되어 추방을 당했으나 뜻을 꺾지 않고 2000년 3월, 무단 월경한 여섯 명의 아이들이 히말라야를 넘는 과정을 다큐멘터리로 담았다. 첫 번째 작품 「히말라야를 넘는 아이들」은 이렇게 탄생했다. 이 작품으로 2001년 독일의 젊은 저널리스트에게 주는 악셀 슈프링어 프라이스Axel-Springer-Preis 대상을 받았다. 2003년 같은 제목으로 책을 내어 세계 출판계의 화제가 되었다. 티베트 피란민 어린이들과 만난 후 아동 인권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뭄바이에서 만난 거리의 아이들」이란 다큐멘터리 영화 각본을 쓰기도 했다. 책과 영화, 방송과 낭독회를 통해 티베트 현실을 널리 알리기 위해 줄곧 노력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후원단체인 <Shelter108 e.V.(www.shelter108.de)>를 설립해 티베트 망명자를 돕고 있다. 현재 가족과 함께 쾰른에 살면서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과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히말라야를 넘는 아이들 Flucht ?ber den Himalaya』,『상트 페테르부르그의 기적Das Wunder von St. petersburg』등이 있다.
펼치기
김화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독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뒤셀도르프 대학교에서 폰타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독일어문화권연구소 연구부장을 거쳐 2013년 지금은 가천대에서 글로벌교양학부 강의전담교수로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쓴 책으로 『폰타네의 소설에 나타난 괴테의 흔적』(독문), 옮긴 책으로 『굿바이 티베트』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이들을 데리고 국경을 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여러 날 동안 아이들을 따뜻하게 보 살피고 먹여야 합니다. 피곤해 하면 업어 주고 특히 아이들 신발이 눈에 젖지 않도록 살 펴야 합니다. 부모 생각이 나서 울면 다독거려야 합니다. 밤이면 바지에 오줌 싸지 않도 록 신경을 써야 합니다. 아이들이 내딛는 한 걸음 한 걸음을 잘 지켜봐야 합니다. 힘들지 만 수입은 거의 없기 때문에 이 일은 좋아해야만 할 수 있습니다. -켈상 직메-


나는 인생 대부분을 산에서 지내거나 감옥에서 보냈습니다. 그리고 별빛 아래서 고독한 밤들을 보냈습니다. 산을 잘 타는 삼촌의 엄격함 덕분입니다. 삼촌은 승려가 되겠다는 서약을 할 때 영원히 말을 타지 않겠다고 맹세를 했기에 다시는 말에 오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어린 시절 나는 모든 여정을 삼촌의 손을 잡고 걸어서 다녔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말을 타고 가는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더 빨리 목적지에 도착했습니다.
삼촌은 “빨리 걷는 비결은 속도에 있는 아니라 걸음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 데 있지.”라고 항상 말했습니다. 나중에 나는 안전하고 빠른 이 방법으로 피란민들을 국경 너머로 데려 갔습니다. -켈상 직메-


나는 어린 피란민들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찍고 싶었다. 그래서 라사에서 히말라야를 넘어 네팔로 온 다음 망명지인 인도까지 가는 피란민들의 길을 동행하려고 했다. 집에서는 나를 미친 사람 취급을 하고 있다. 나 스스로도 무엇이 나를 이 무모한 생각으로 몰고 가는지 잘 모르겠다.
텔레비전 채널을 돌리다가 우연히 맞닥뜨린 동사한 티베트 아이들 사진이 원인이었다. 그 아이들 가운데 한 여자아이는 외투도 신발도 장갑도 모자도 걸치고 있지 않았다. 며칠 동안 이 여자아이 사진은 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다. 밤이면 꿈에서도 그 사진을 보았다. 마침내 나는 티베트에서 넘어오는 피란민 대부분이 도착하는 네팔로 떠났다. 그리고 티베트 출신 가이드와 접촉해 보려고 애쓰고 있었다. -마리아 블루멘크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