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95625910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7-03-18
목차
머리말
제1장 원대 궁인들의 농정인식과 농서편찬
1. 서론
2. 쿠빌라이 초기의 안민책과 중국지배
3. 원대 농정의 조직과 둔전
1) 권농조직과 촌사
(1) 권농조직과 대사농사
(2) 촌사와 촌장
2) 세조의 둔전장려책
(1) 몽원시기 둔전의 배경과 보급
(2) 둔전의 확대와 그 성격변화
4. 원대 삼대농서 편찬의 경위
1) 원대의 시각으로 본『제민요술』과 당송시대의 농서
2) 원대 농서의 발간 배경
5. 『농상집요』의 편찬과 보급
1) 송대 이전 농상체계의 확립과정과『농상집요』
2)『농상집요』의 편찬자와 이념
3)『농상집요』의 출판과 신첨
4)『농상집요』의 구성과 내용상의 특징
6. 원대 상품작물의 발달과 물자유통
1)『농상집요』의 상품작물의 실태
2) 원대 농업·잠상업의 발달과 물자유통
(1) 곡물 생산량과 유통
(2) 사직업의 발달과 교역
7. 려원간의 생활문화 교류
1) 물자교류와 목면
2) 식생활문화의 영향과『음선정요』
3)『농상집요』와 이암
8. 결론
제2장 한국 중세의 농정과 이암의 『농상집요』도입
1. 머리말
2. 중세의 농정
1) 권농정책의 전개
2) 농서류의 도입 간행
3.『농상집요』의 간본과 도입
1) 간본
2) 도입시기와 인물
4.『농상집요』의 간행과 계승
1)『농상집요』의 간행
2)『농상집요』농학의 계승
5. 맺음말
제3장 고려후기 고성 이대 가계와 혼인관계를 통한 인적 관계망
1. 머리말
2. 이존비의 선대 가계
3. 이암의 가계와 혼인관계
4. 이교의 가계와 혼인관계
5. 맺음말
참고 문헌
찾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