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95641330
· 쪽수 : 469쪽
· 출판일 : 2005-11-04
목차
- 머리말
제1장 전환기의 한국사회
1. 현재 한국사회의 어려움과 동요
2.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3. 개발독재 경제개발의 특징과 성격
4. 개발독재의 성과와 폐해
5. 박정희와 전두환
6. 근대국가 건설단계로서의 개발독재
7. 개발독제체제의 청산과 자유주의
제2장 자본주의 경제의 이해
1.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2. 자본주의 경제의 효율성
3. 시장과 자본주의의 성공과 실패
4. 정부와 국가의 성공과 실패
5. 자유방임주의와 개입주의
제3장 자본주의 경제정책의 역사적 변천
1. 중상주의
2. 고전적 자유주의(자유방임주의)
3. 사회적 자유주의
4. 질서자유주의
5. 복지국가의 등장
6. 현대의 신자유주의
7. 개입주의와 자유방임주의의 교대
제4장 자유주의란 무엇인가
1. 자유주의의 의미
2. 자유주의의 인간관 - 불완전한 인간
3. 자유주의의 기본 원리
4. 자유주의의 진보성과 반동성
5. 정치적 자유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
제5장 자유주의의 사회질서
1. 민주주의
2. 효율적인 자본주의 경제
3. 법치주의
4. 세 질서의 상호보완
제6장 자유주의의 한계와 상생의 원리
1. 자유주의 비판
2. 공동의 문제
3. 상생의 원리
4. 상생의 갈등과 적대적 갈등
5. 상생 원리의 적용
6. 노사화합과 기업공동체 형성
제7장 상생적 자유주의와 한국
]1. 상생적 자유주의
2. 한국의 당면과제와 상생적 자유주의
3. 신자유주의와 우리나라
4. 경제에서의 바람직한 정부의 역할
5. 새로운 삼권분립
제8장 사회발전의 의미와 방법
1. 사회발전의 의미와 요인
2. 이념 탈피
3. 이성 - 올바른 사실판단력과 가치판단력의 결합
4. 사회진화론
5. 이성적 사회발전
제9장 요약과 맺는 말
1.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2. 기본적으로 자유주의가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3. 정치적 자유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를 구분해야 한다
4. 상생적 원리로 자유주의를 보완해야 한다
5. 상생적 자유주의가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6. 이성적 개혁이 올바른 개혁방법이다
- 맺는 말
- 부록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