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95919491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4-01-25
목차
서문
소개문
제1편
1. 전통
2. 진아와 인성
3. 인성의 정화
4. 초의식 명상의 체계
5. 준비, 문제점 그리고 결과
6. 명상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생각
7. 명상을 깊게 하는 방법
8. 명상법
제2편
1. 초의식 명상 1
2. 초의식 명상 2
3. 초의식 명상 3
4. 초의식 명상 4
5. 초의식 명상 5
6. 초의식 명상 6
7. 초의식 명상 7
8. 초의식 명상 8
책속에서
진아와 인성
명상의 궁극적 목적은 자아 실현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우리는 명상 지도자들과 서양의 일반 학생들 사이에서 계속되는 의미의 문제를 분명히 하기 위해 자아 실현이라는 용어를 반드시 정의해야 한다. 학생들은 자아라는 말을 전체 인성을 내포하는, 특히 신체적 특성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나 자신’ ‘너 자신’이라 말할 때 우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양에서는 나의 몸, 신경, 뇌, 감정, 생각 등을 의미한다. 몸이 아프면 “나 아프다.”라고 말하며, 신경이 긴장되면 “나 불안해.”라고 말하며, 뇌가 혼란스러우면 “나 심란해.”라고 말한다. 이런 것들과 동떨어진 자아라는 개념은 받아들이기가 지성적으로도, 감정적으로도, 영적으로도 어렵다. 사람들이 너무도 많은 정체성 혼란을 겪기 때문에 그렇다. 처한 환경의 변화, 외모 변화, 감정적 느낌과 지적사고의 변화가 정체성의 변화를 가져오는 듯하다. 그러므로 정체성은 사람들과 관계를 갖는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그 개인의 역할에 따라 달라진다.
명상철학에서는 자아가 형성되는 단계, 경험, 반응 중 어느 것도 인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아 실현이라는 말이 사용될 때, 서양식으로는 인성이 가진 가능성의 완전한 구현이라는 개념을 뜻한다. 여기서 인성이 뜻하는 정확한 의미는 위대한 철학자들의 고찰 주제이지만, 극소수의 사람도 일상 중에 인성을 정의하면서 자신의 인성은 어디서 시작되고 어디서 끝나는지 의문을 갖는다. 이런 의문은 답을 찾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아 실현이라는 궁극의 목표를 두고 명상을 시작하면서, 전통을 지키는 스승들은 관심도 두지 않는 결과물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 결과물 중 일부가 명상수행의 부산물일지라도, 궁극의 목표는 아니다. 신체건강, 이완, 집중과 기억의 증진 ? 다른 염력도 마찬가지로 ? 등은 모두 선지자들이 진정으로 추구하는게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요가전통은 분석과 영적 체험 두 가지와 관련해서 대단히 신중하게 자아 실현이란 개념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문제에 관한 논의에 중점을 둔 방대한 양의 산스크리트 철학서가 있다. 자아 실현이란 용어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면, 명상이라는 용어의 의미 파악에서도 많은 혼란을 느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