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96147503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08-09-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경제학은 왜 거짓말을 할까?
1장 거짓말 경제학 깨뜨리기
1.막이 오르자 복고극이 시작되었다
2.지루하고 답답한 100일 야화
3.탈진 직전의 무대
4.기왕이면 성공작을 표절하라
5.MB노믹스,흥행의 플롯부터 다시 짜라
2장 위선의 경제학 걷어차기
1.우물 안에서 고래 찾기
2.황금시대의 자기당착 : 장하준의 국가개입주의는 유효한가?
3.비관주의의 부메랑에 뒤통수 얻어맞기 : 우석훈의 비관주의
4.일자리 창출의 딜레마
5.무능한 경제학을 버려라
6.성장의 콘텐츠로 승부하라
3장 경제사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1.숨은 영웅 찾기,엔리코 카르도수
2.나초 이코노미 혹은 탱고 이코노미
3.미국과 영국 vs 일본과 독일,그리고 신자유주의
4.아일랜드 Theory
4장 대한민국,위기의 경제 사극
1.위기의 어두운 그림자
2.그림자 벗어나기
3.잊혀진 세 번의 경제위기 사극 관람기
5장 명품 경제학 강의
1.마라톤 경제학
2.비만의 원인,패스트푸드 경제학
3.저수지만 판다고 풍년이 올까?
4.화성에 태극기를 꽂으면 선진국일까?
5.쌍둥이 경제 서커스의 실패
6.당신의 경제학은 리콜이 필요하다
6장 바보들의 경제학 탈출하기
1.명품은 세일로 유혹하지 않는다
2.신은 하늘로 돌려보내라
3.문제는 정책이야! 바보들아
4.바보들의 불행한 착각놀이
7장 명품 대한민국을 위한 2018 부국 프로젝트
1.앞으로 10년이 100년을 결정한다
2.국가의 생명력
3.한국형 '중성자탄'잭을 기다리며
4.두바이의 기적 체험하기
5.타짜는 결정적 패를 만든다
6.2조 5천억 달러 유혹하기
7.파이를 키우는 Tax Economy
에필로그 - 거짓말에 속지 않는 경제판단력을 키우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최근 정책당국은 2008년 물가상승률을 3%대에서 4.5% 내외로 상향조정했다. 이것이 과연 현실에 부합하는 목표일까? 물가상승률 4.5% 내외는 어느 경우에도 지켜지기 어려운 목표다. 설령 석유가격이 2007년 연말 수준인 90달러 대로 떨어지더라도 물가상승이 이미 걷잡을 수 없는 악순환 과정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의 상승률 격차가 무려 6% 이상에 이른다는 사실이 현 사태의 심각성을 대변한다. 이 격차가 지금처럼 컸던 때가 1974년과 1980년과 1998년 모두 세 차례였는데, 그때마다 심각한 경제난을 겪었다. 이명박 정권은 이런 상황을 지금 또 재현하려는 셈이다.
- 1장「지루하고 답답한 100일 야화」중에서
심각한 물가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현재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하고 유력한 정책방안은 환율을 점진적으로 떨어뜨리는 일이다. 필자의 추정으로는, 1개월 안에는 950원대, 그 뒤 6개월 동안에는 900원대, 그 뒤 2~3년 동안에 800원대까지 인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속도를 유지한다면 1년 안에 성장률은 6% 이상에 이를 수 있고, 고용도 연간 30만 명 이상이 추가로 이뤄질 것이며, 물가는 4% 내에서 억제할 수 있다. …… 환율인하는 극약에 가까운 처방이라 부작용을 완화시킬 정책이 필수적이다. 그런 보완정책 중 가장 대표적이고 바람직한 것은 이자율의 점진적 인하이다.
- 1장「MB노믹스, 흥행의 플롯부터 다시 짜라」중에서
장하준 교수는‘시장의 실패’를 강조하고 또 강조한다. 그러나‘시장의 실패’가 곧‘정부의 성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정부의 실패’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으며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장 교수가 주장하는‘시장의 실패’가 현실에 존재하는 시장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시장의 실패’는 신고전파 경제학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는‘완전경쟁 시장’의 실패일 뿐이다. ……만약 장하준 교수의 주장대로 국가개입주의 정책들이 성공적이었고, 그에 따라‘자본주의 황금시대’가 열렸다면 왜 지속되지 못했을까? 당연히“유럽과 북미의 전후 장기호황이 막을 내렸기”때문이다. 그럼 유럽과 북미의 호황은 왜 막을 내렸을까? ……세계대전 중에 산업시설의 피해가 거의 없었던 영국과 미국은 세계대전 직후 한동안 경쟁할 만한 상대가 없었고 이에 따라 소위‘자본주의의 황금시대’를 만끽한 것이다. 그렇다면 자본주의의 황금시대는 국가개입주의가 부른 것이 결코 아니라고 해야 한다. 실제로 독일과 일본 등이 산업시설 복구에 성공한 뒤 영국과 미국은 심각한 경제적 도전을 받아 경기침체를 겪었다.
- 2장「황금시대의 자가당착」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