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경영 사상가 20인] > 폴 크루그먼
· ISBN : 9788996222620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9-10-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옮긴이의 말/ 들어가기에 앞서/ 머리말
제1부 경제적 복지의 뿌리
제1장 생산성 증가
생산성과 경쟁력
제2장 소득 분배
제3장 고용과 실업
제2부 만성 질환과 통증
제4장 무역적자
무역적자를 걱정하는 이유
무역적자가 생기는 원인
무역적자와 환율절하
무역적자 해소는 가능한가
제5장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의 비용
인플레이션 해소의 비용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제3부 정책문제
제6장 의료보험
의료보험 문제
값비싼 의료보험상품
의료보험 개혁하기
문제 해결의 전망
제7장 재정적자
왜 재정적자가 문제인가
국민저축
재정적자 옹호론
예산고갈 문제
교착상태
제8장 동네북 된 미국중앙은행
미국중앙은행의 권한
통화주의자, 황금 벌레, 합리적 기대 이론
볼커의 승리
판단착오
인색한 중앙은행
제9장 환율정책
미국정부와 무역적자 해소
환율정책
달러화 가치
달러화 가치의 하락
제10장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주의
보호무역주의의 정치학
보호무역주의의 (제한적) 폐해
무역 분쟁의 비용
보호무역과 무역적자
보호무역을 옹호하는 경제학적 논거
자유무역을 가로막는 벽
제11장 일본
너무도 다른 일본
일본이 온다 !
기업세금과 외국인직접투자
일본이 미국에 끼치는 손실
일본문제를 대처하는 방법
일본의 자멸
제4부 금융사고
제12장 저축대부업체 부실문제
위기의 근원
도박에 빠진 저축대부업체
누구 책임인가
무기력한 미국정부
상업은행 부실문제
제13장 런던로이즈와 스미토모
모든 것을 잃은 런던로이즈와 회원들
스미토모금속과 ‘미스터 구리’ 하마나카
제14장 글로벌 금융
글로벌 시장은 얼마나 글로벌한가
제3세계 채무
채무연기 vs. 채무감면
G7과 국제정책공조
유럽의 통화 고민
제5부 미국의 전망
제15장 해피엔딩
생산성 부흥
생산성 붐의 결과
제16장 경착륙
대공황의 가능성
위기를 부르는 성장주의
정부 부채 위기
제17장 현상유지
현상유지
너무도 작아진 기대
기대감소 시대의 끝자락
리뷰
책속에서
소득불평등 심화는 국가 전체의 복지수준을 떨어뜨린다. 그렇게 볼 근거는 많다. 우선, 수천 달러의 소득 증감은 가구소득이 수십만 달러에 달하는 부유한 가정보다는 가난한 가정에 절실하게 다가간다. 대다수 국민은 다른 사람이 자신보다 얼마나 부유한지 비교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마련이다. 그리고 소득분배는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한다. 빈부격차가 작은 사회일수록 빈부격차가 심각한 사회보다 살기 좋은 곳이다. 장기적으로 볼 때는 소득분배보다 생산성이 경제적 복지에 더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지난 세대 동안 상위 10%에 속하는 부유층은 생산성 증가라기보다는 소득분배의 불평등 덕분에 부의 증가를 누렸다. 원인이 무엇이든 소득불균형을 해결하고, 기대감소의 시대를 벗어날 수 있는 해법은 없을까. 지난 10년 간 나타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개선할 방법은 어디에도 없는 것일까.
실업률이 높을수록 국가경제에 손실이다. 또한 높은 실업률은 만성 빈곤층을 확대한다. 국가의 일자리 창출 능력은 사회건전성을 유지하는 열쇠다. 젊은이들이 졸업 후 어김없이 취업해 오랫동안 일하면서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사회는 많은 사람들이 취업을 하늘의 별따기처럼 여기는 사회보다 분명 살기 좋은 곳이다.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일자리가 풍부한 사회가 일자리가 부족한 사회보다 살기 좋은 곳이라고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적어도 미국인 대다수는 이에 동의할 것이다.
규제완화는 1980년대에 가장 큰 재앙을 초래한 정책 실패다. 저축대부업체 규제완화로 1980년에 150억 달러 규모의 문제가 1989년에는 1,500억 달러 규모로 커졌다. 이런 피해가 생긴 이유는 단순히 규제완화 때문이 아니라, 무책임한 정책을 ‘경제적 자유’라는 명분으로 추진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