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60년, 러시아의 항구 도시 타간로크에서 태어났다. 1867년, 타간로크의 김나지야에 입학하지만 수학 및 지리 성적이 부진하여 낙제하고, 13세 무렵 오펜바흐의 오페레타와 「햄릿」, 「검찰관」 등의 연극을 관람하며 예술에 흥미를 느낀다. 1876년 4월, 식료품 가게를 경영하던 아버지가 파산하며 일가족은 모스크바의 빈민가로 이주하게 된다. 그러나 안톤 체호프는 계속 고향에 남아 고학으로 김나지야를 마친다. 1879년, 모스크바 대학교 의학부에 입학하면서부터 잡지 등에 글을 투고하기 시작하고, 1882년부터 오 년에 걸쳐 주간지 《오스콜키》에 약 300여 편의 소품을 기고한다. 1884년, 의사로 개업한 뒤 본격적으로 창작 활동에 매진한다. 정부의 검열과 잡지사의 무리한 요구 등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관리의 죽음」(1883), 「카멜레온」(1884), 「거울」(1885) 등 풍자적 유머와 애수가 담긴 뛰어난 단편을 잇따라 발표한다. 1886년 두 번째 객혈과 1888년 소설가 가르신의 자살 등 힘겨운 사건을 겪으며 고통스러운 세월을 보낸다. 그럼에도 체호프는 1890년 사회적 참여와 영감을 얻기 위해 사할린섬으로 떠나고, 이태 만에 모스크바로 돌아온 뒤 멜리호보라는 마을에 정착한다.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체호프는 문학적 원숙기에 접어들고, 1899년 결핵 요양을 위해 크림반도의 얄타 교외로 옮겨 갈 때까지 소설 「결투」(1892),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1899) 등을 비롯해, 그의 4대 희곡 중 첫 작품 「갈매기」(1896)를 발표한다. 그 뒤로 「바냐 아저씨」(1897), 「세 자매」(1900), 「벚꽃 동산」(1903) 등 여러 걸작들을 연이어 집필한다. 1904년, 기나긴 숙환 탓에 44세의 젊은 나이로 운명한다.
펼치기
전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에서 연출을 전공, 졸업하고 러시아 국립 쉐프킨 연극대학교에서 연기실기 석사 학위(MFA)를 받았다. 유학 생활 이후 작가 겸 연출가로 데뷔했으며 서울종합예술전문학교 연기예술학부 학부장으로, 서울예술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했다. 동국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 외 다수 대학에서 사실주의 극작과 연출, 연기법을 가르치며 후진을 양성했고 다수 영화와 TV 드라마의 액팅 코치로 활동했다. 어린 시절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사는 게 최고”라는 집안 분위기 안에서 진로를 강요받거나 남과 비교당하는 일 없이 자랐던 그는 그러한 환경이 자유로운 사고와 표현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믿는다. 현재 극단 애플씨어터와 안똔 체홉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알리고자 설립한 안똔체홉학회를 독자적으로 이끌고 있다. 체홉의 명작과 자신의 창작극을 무대 위에 올리는 한편 학회에서 연기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연기전공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연기 교육을 하고 있다. 그가 일반인에게 연기 교육을 하는 이유는 “연기 훈련이 일상에서도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이끌어내는 매우 유용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이 책을 집필한 이유이기도 하다.
수상
•2010년 창작팩토리 올해의 최우수희곡 〈내일은 챔피온〉
•2005년 동아연극상 작품상·연출상 〈세자매〉
•1996년 동서희곡문학 신인작가상 〈강택구〉
주요 작품
극작으로 〈강택구〉, 〈내일은 챔피온〉, 〈아무나 모이는 라이딩클럽〉, 〈의리적 구투〉, 〈결혼전야〉 등이 있으며 연출작으로 〈안똔체홉4대장막전〉, 〈안똔체홉숨겨진4대장막전〉, 〈아마데우스〉, 뮤지컬 〈난타〉, 〈락햄릿〉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