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조직관리
· ISBN : 9788996328032
· 쪽수 : 227쪽
· 출판일 : 2010-05-15
책 소개
목차
제1부 기초편
Chapter 1 : 오프닝 스토리
상사의 애매한 지시? … 15
Output 이미지를 확인한다 … 16
가설을 설정한다 … 17
Fact로 검증한다 … 18
한 시간 내에 업무가 끝나다 … 19
정밀한 자료를 얻기 위한 활동 … 20
회사를 뒤흔든 큰 실수 … 21
Chapter 2 : 업무력 3대 기본 사고
당신의 프레임워크를 알아보자 … 25
논리적, 전략적 프레임워크 … 26
프레임워크의 차이 … 27
3대 Style … 29
Output 지향 … 30
가설 지향 사고 … 32
가설이란 … 34
가설 사고의 이점 … 35
Fact 지향 … 36
Chapter 3 : 코칭, 협상, 갈등관리의 기초 문제해결
코칭의 기술은 문제해결 기법이다 … 41
협상의 기술은 문제해결 기법이다 … 45
갈등 관리의 기술은 문제해결 기법이다 … 46
문제해결의 능력은 Basic Skill이다 … 48
제2부 가설편
Chapter 1 : 가설 설정 절차
문제해결 프로세스 적용의 갈등 … 55
문제해결 프로세스별로 가설과 검증의 반복 … 56
새로운 일은 가설 설정이 중요하다 … 57
가설 설정 4단계 절차 … 58
1단계 : 과제를 선정한다 … 60
2단계 : Issue Tree 작성/핵심 Issue 압축 … 61
3단계 : 가설 검증 계획서 작성 … 63
4단계 : Blank Chart를 그린다 … 64
Chapter 2 : 과제 선정
과제 선정의 4가지 구성 요소 … 69
과제명 작성방법 … 71
과제의 현재 상태를 기술한다 … 72
전제조건을 파악한다 … 73
목표 이미지를 작성한다 … 74
Chapter 3 : 핵심 Issue 추출
핵심 Issue 추출 … 79
1단계 : Initial Question 작성 … 80
2단계 : Issue Tree 작성 … 81
3단계 : 중요하지 않은 Issue 제거 … 85
Chapter 4 : 가설 검증 계획서
가설 설정의 중요성 … 91
가설 설정 방법 … 93
가설 검증 계획서 작성 … 94
예) ‘경영 실적 보고’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 95
Chapter 5 : Blank Chart
Blank Chart 작성 … 103
Blank Chart의 유용성 … 104
Blank Chart 작성 방법 … 105
Chapter 6 : 가설 설정 종합 사례
사례 1) 복합기의 A/S 만족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 111
사례 2) 상사의 의사결정이 지연되는 이유는 … 116
제3부 : 검증편
Chapter 1 : 가설 검증 방법
상품기획팀에서 일어난 일 … 129
가설 검증 방법 … 130
가설 검증 시 유의사항 … 132
Chapter 2 : 실험, 현장 관찰
지역선정이 중요하다 … 137
현실과 동일한 상황에서 실험·관찰한다 … 138
피실험자가 알 수 없도록 한다 … 139
Chapter 3 : 설문조사
설문지 작성 Process … 143
설문 항목 결정 … 144
개별 문항 작성 … 145
항목 배열 결정 … 149
설문지 Form 결정 … 150
예) 00기구 영업기반 미비 … 152
Chapter 4 : 인터뷰
인터뷰란? … 163
업무 과정상의 인터뷰 활용 … 164
인터뷰 3단계 절차 … 166
인터뷰하는 목적 … 167
인터뷰 후보 선정 … 168
인터뷰 시작 … 169
인터뷰 진행 … 170
질문하는 방법 … 171
인터뷰 마무리 … 172
인터뷰 결과 요약 … 173
사례 1) 물류 전략방안 수립 … 174
사례 2) 조합 절단 수가 많은 이유는 … 176
사례 3) 전자어음 등록률이 낮은 이유는 … 179
제4부 : 분석편
Chapter 1 : 분석
자동차를 분해하고 해석하여 보여주다 … 189
분석이란 나누고 읽고 그리는 것이다 … 190
Chapter 2 : 분석 1단계 - 나누기
분석 1단계 : 나누기 … 195
더하기 분해법 … 198
곱하기 분해법 … 199
순서 재배치 … 201
Chapter 3 : 분석 2단계 - 읽기
분석 2단계 : 읽기 … 205
데이터를 비교하여 의미를 부여한다 … 206
매출, 시장점유율, 시장규모 추이 … 207
생산성, 불량률, 가동률 추이 … 208
비용은 큰 것부터 절감을 검토 … 209
시계열 비용구조 비교 … 210
경쟁사와 비교 … 211
변동비와 고정비 비교 … 212
소비자 기호 비교 … 213
Chapter 4 : 분석 3단계 - 그리기
분석 3단계 : 그리기 … 217
2차원으로 그려라 … 218
도형으로 그려라 … 219
4가지 도형 … 220
그래프로 그려라 … 221
5가지 그래프 … 222
차이를 크게 한다 … 223
절단하여 보여준다 … 224
강조한다 … 225
저자소개
책속에서
가설을 설정한다
질문을 하면 팀장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상무님과 점심을 먹는데 우연히 여쭈어 보셔서….”
“대충 몇 억인지만 알면 돼. 시간은 오늘 중으로….”
이렇다면 업무 내용이나 범위가 그려진다. 당신은 자리에 돌아와서 생각한다. 3년 전에 품질기획팀에서 불량 코스트가 6억 원이라고 보고했다는 기억이 난다. 매년 10%씩 매출 성장을 하였으니 그에 따른 불량 코스트도 늘었을 것이다. 또한 고객이 품질에 민감하므로 불량률도 높아졌을 것이다. 그래서 현재는 8억 원 정도 되지 않을까 추정한다. 이 8억 원이라는 데이터가 가설이다. 즉, 일하기 전에 가설을 설정하는 가설 지향 사고를 하는 것이다.
Fact로 검증한다
가설을 만들었으니 이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 품질기획팀에 있는 입사동기인 정 과장에게 전화를 한다. 즉, 현장의 Fact로 검증한다. 간단한 사정을 이야기하고 물어본다. 확인 방법도 “우리 회사 불량 코스트가 얼마야?”라고 질문하는 것이 아니다.
“3년 전에 품질기획팀에서 불량 코스트가 대략 6억 원이라고 보고한 기억이 난다. 매년 10%씩 매출 성장을 하였고, 또한 고객이 품질에 민감하니까 아마도 대략 8억 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맞아?”
이렇듯 바로 가설로 질문한다. 맞으면 “그래, 대략 8억 원 맞아”라는 대답이 온다. 틀리면 “8억 원이 아니라 5억 원이야”라고 대답한다. 이때 당신은 추가로 물어볼 수 있다.
“왜 5억 원이야? 내가 추정한 데이터가 틀렸나?”
정 과장이 말한다.
“최근 공장에서 품질 향상 활동을 적극 전개해서 오히려 불량 코스트가 내려갔어.”
한 시간 내에 업무가 끝나다
이 데이터를 가지고 팀장에게 보고한다.
“팀장님, 품질기획팀에 확인한 결과 5억 원이랍니다. 3년 전에는 6억원이었지만 생산현장에서 품질 향상 노력이 성과를 나타나서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줄었다고 합니다.”
아마도 팀장은 흡족한 표정을 지을 것이다.
자, 한 시간 내에 지시한 업무가 끝났다. 만일 당신이 Output을 파악하지 않고 정밀한 자료를 수집하려고 한다면 얼마의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 팀장이 상무에게 보고하러 들어갔다가 몇 분 후에 나왔다. 팀장이 다시 지시한다.
“상무님께 보고를 드렸더니 정밀한 데이터를 요구하시네. 자세하게 분석하여 1주일 후에 보고하게.”
이제 공식적인 업무가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