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96487340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6-05-05
책 소개
목차
제 1부 동학의 혁명사상
제 1장 수운(水雲) 최제우의 동학사상과 샤먼적 요소
제 2장 해월(海月) 최시형의 동학사상과 유물론 무신론적 요소
[가] 해월(海月)의 존재론
[나] 해월에 있어 한울(天)과 인간 -해월의 무신론사상-
[다] 해월의 사회혁명사상
[라] 해월의 인간혁명사상 -혁명에 있어서의 도덕성 문제-
[마] 해월의 동학사상에서의 종교적 개념들의 문제
[바] 향아설위(向我設位)와 자존(自尊)
제 2부 농민혁명전쟁과 동학
제 1장 동학농민혁명전 이전의 조선사회
[가] 조선봉건사회의 위기
[나] 최하층민으로서의 농민의 분화
[다] 19세기 조선봉건사회의 모순구조
[라] 다양한 농민봉기 상황
[마] 1811년 평안도의 농민전쟁
[바] 홍경래의 반정부 농민전쟁
[사] 1862년의 농민항쟁
제 2장 제국주의세력의 아시아침략과 조선
[가] 제너럴셔먼호 사건
[나] 조불(朝佛) 전쟁
[다] 조미(朝美) 전쟁
제 3장 동학농민혁명전쟁 직전의 국내외정세
[가] 1876년에서 1884년까지의 국내외 정세
[나] 제국주의 열강에 의한 개항과 몰락하는 농민계급
[다] 1882년의 군인봉기
제 4장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전쟁
[가] 농민혁명전쟁의 단서
[나]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전쟁의 전개과정
1) 보은과 금구집회
2) 고부의 농민봉기
3) 제1차 농민봉기
4) 전주 화약(和約)과 집강소
5) 제2차 동학농민혁명전쟁
제 3부 서양의 사회혁명사상
제1 장 하나님에 대한 포이어바흐와 해월사상의 차이
제2 장 맑스주의 유물론적 혁명사상
결 어 우리 민족사에서의 동학사상의 의미
저자소개
책속에서
해월의 인내천 사상은 그 근본이 무신론적 혁명사상이다. 이 때문에 필연적으로 해월의 동학사상이 인민해방사상으로서 조선인민들의 반봉건 반제 투쟁이었던 농민혁명전쟁을 향도할 수 있었다.
혁명은 원한이나 증오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 혁명은 오직 인간(비록 적이라 할지라도)에 대한 사랑에 의해서 주도될 때야만 성공할 수 있다. 사랑이야말로 인간에 대한 육성(育成)이고, 긍정이며, 원한과 증오는 파괴와 부정(否定)일뿐이기 때문이다.
적어도 혁명의 지도이념과 지도자 집단은 고결한 사랑으로 육성된 사람들이어야 한다. 혁명을 성사시키더라도 그 주도자들이 원한이나 증오에 포로가 되어 있으면, 그들이 이끄는 혁명은 필경 비참한 무위(無爲)로 끝나고 말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인내천 정신을 토대로 한 동학혁명사상은 우리 민족사에서 영원한 사회혁명의 지도이념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