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96515371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17-03-0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I.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1.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개념의 형성사
2. 세 명의 대가들: 마르크스, 베버, 슘페터
3. 다른 이론들과 개념 정의
II. 상업자본주의
1. 초기 단초들
2. 중국과 아랍
3. 유럽: 역동적인 후발 주자
4. 1500년대의 중간 성과
III. 팽창
1. 사업과 폭력: 식민화와 세계무역
2. 주식회사와 금융자본주의
3. 플랜테이션 경제와 노예제
4. 농업 자본주의, 광산, 원산업화
5. 자본주의, 문화, 계몽주의, 이 맥락 속의 애덤 스미스
IV. 자본주의 시대
1. 산업화와 지구화: 1800년 이후와 윤곽
2. 소유자 자본주의에서 경영자 자본주의로
3. 금융화
4. 변화하는 임노동
5. 시장과 국가
V. 전망
주
참고문헌
인명색인
책속에서
“자본주의”라는 말은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개념이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이 이 개념을 기피한다. 자본주의라는 개념이 너무나 논쟁적이라고 여겨지는 이유는 이 개념이 비판을 위해 생겨났고, “자본주의”라는 말로 지칭되는 사회현상에 대한 부정과 비난이 수십 년이나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폭력과 억압의 결과로 피와 오물을 뚝뚝 흘리며 세상에 태어났다. 이것은 역사적으로는 절반의 진실에 불과하지만, 자본주의의 성장과 식민주의 사이의 관계를 고려할 때 적절한 통찰이다.
계몽주의 시기의 낙관적 진보주의가 지속되기 어려웠던 만큼이나, 자본주의를 문명적 사명의 핵심으로 바라보는 해석 역시 존속하기 어려웠다. 18세기의 전 산업 자본주의의 토양에서 생겨난 이 해석은 산업 자본주의가 성장함에 따라 유효성을 상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