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96822875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4-04-25
책 소개
목차
1장 │ 우리는 언제든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자기긍정-타인긍정의 의미
왜 우리는 자기부정-타인부정 상태가 될까?
무기력한 어린 시절
의존적으로 살지 않겠다는 결정
교류분석이란 무엇인가?
우리 안에 존재하는 3가지 성격
어린 시절의 기억은 뇌에 기록된다
감정은 사람마다 다르다
교류분석의 목표
2장 │ 너는 OK가 될 수 있다
어떻게 부모에게 OK가 될 수 있을까?
하지 마라는 부모의 메시지
하라는 부모의 메시지
상충되는 이중 메시지
우리는 완전히 결정된 존재가 아니다
부모의 P-A-C
부모가 아이들에게 주는 메시지
행복한 성취자
불행한 성취자
3장 │ 내적인 대화
교류 다이어그램
차단 교류
좋은 남자와 착한 아가씨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
늘 “네”라고 말하는 사람
좋은 말을 해야 해!
내가 착하면 OK가 될 거야
그럼 나쁜 사람이 되어야 할까?
변화는 가능하다
4장 │ 감정추적을 통한 감정 다루기
감정추적의 7단계
부모자아의 메시지 발견하기
5장 │ 혼란에서 벗어나기
혼란에 대한 탐색
내면세계의 혼란과 외부세계의 혼란
대부분의 혼란은 과부하에서 온다
혼란을 다루는 비효율적 방법
혼란을 다루는 효율적인 방법
6장 │ 어른자아의 보호와 부모자아의 보호
사람들과 분리시키는 부모자아의 보호
어루만짐을 주는 어른자아의 보호
계약은 또다른 보호장치이다
7장 │ 부모자아를 멈추는 12가지 방법
부모자아를 멈추는 12가지 방법
8장 │ 어루만짐
안전지대
어루만짐은 사람들로부터 온다
어루만짐은 과거에서 온다
어루만짐은 늘 새롭게 공급되어야 한다
어루만짐은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어루만짐을 준다는 것
어루만짐의 형태
9장 │ 우리는 무엇을 원하는가?
원하는 것은 구체적이어야 실현된다
우리의 어떤 부분이 원하고 있나?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선택
선택에 따른 결과
원하는 것이 상충될 때
아이자아가 원래 원하는 것은?
10장 │ 변화를 위한 요구
원하는 것이 첫 번째다
긍정은 힘이 세다
눈에 보이는 보상이 중요하다
습관의 힘
변화의 뇌 생리학
새로운 시냅스 연결을 만들 수 있다
에너지는 새로운 습관 경로를 만든다
변화는 사람들로부터 온다
새로운 내면 모델을 만들어라
우리는 조금씩 변화한다
변화하면 얻는 것도 있지만 잃는 것도 있다
변화의 진전을 기록하라
대안도 필요하다
주변에 도움을 청하라
11장 │ 사람들과 관계 맺기
한 사람만 원하면 외로워진다
원하되 필요로 삼지는 마라
다양한 어루만짐의 원천을 가져라
함께 즐거움을 나누어라
다른 사람의 부모자아를 알아차려라
자신에게 문제는 없는가?
화내지 마라
계약을 지킨다
우리는 자신만 통제할 수 있다
삼각형 구도에서 벗어나라
멈추고 생각하라
관계 유지에는 갈등 해결이 요구된다
낚싯바늘에 걸려들지 않기
12장 │ 타인의 부모자아에서 벗어나기
어떻게 타인의 부모자아에 걸려들까?
비판적 부모자아
양육적 부모자아
부모자아에 대한 3가지 관찰
타인의 부모자아를 축소시키는 방법
13장 │ 인생이라는 시간을 관리하기
심장을 보고 배워라
시간을 낭비시키는 것들
시간을 잘 관리하는 방법
14장 │ 아이를 어떻게 기를 것인가?
좋은 부모가 되는 방법
알아차리기
수용
정직
직선적인 말
일관성
희망
반복
전통
15장 아는 것과 시도하는 것
고독
감사
상상
과거 경험의 보존
신념
준비
솟아오름
주석
색인
기대감
아이자아에게 휴식을 주는 규칙들
가치를 표현하는 행동들
명랑함
유머
기대들
함께 있기
가족계획
시간
주석
색인
리뷰
책속에서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은 어린 시절의 결정을 증명하고 다시 반복하는 과정들의 되풀이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가 이런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기억을 새롭게 해야 한다.
‘자기긍정-타인긍정’의 태도는 감정보다는 의식적인 생각, 신념, 행동 결정에 기반한다. 그것은 어린 시절의 가정을 거부하고 더 이상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아이로 살지 않겠다는 결정이다.
부모자아가 현재 우리 삶 안으로 들어와 가장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방식 중 하나가 ‘내적 대화’로서, 우리가 아장아장 걸을 때 들었던 칭찬, 경고, 비난과 벌하는 소리를 듣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