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목민심서

목민심서

(쉽게 풀어쓴 한권으로 읽는 역사이야기)

정약용 (지은이)
일문서적
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목민심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목민심서 (쉽게 풀어쓴 한권으로 읽는 역사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96906612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12-05-25

책 소개

<목민심서>는 48권 16책으로 구성된 필사본이다. 다산 정약용이 전라도 강진에서 귀양살이를 하다가 해배 되된 1818년 순조 18에 완성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역사서 자 집 등에서 치민과 관련된 자료를 뽑아 수록했다.

목차

1. 부임육조
제 1조 제배 관직을 제수 받다 22
제 2조 치장 부임길의 행장 25
제 3조 사조 조정에의 하직인사 27
제 4조 계행 부임행차 임지로 여행길 32
제 5조 상관 수령의 자리에 취임 36
제 6조 이사 정사에 임함 39

2. 율기 육조
제 1조 칙궁 몸가짐을 단정히 함 46
제 2조 청심 마음을 깨끗이 함 55
제 3조 제가 집안을 다스림 68
제 4조 병객 손님을 사절함 77
제 5조 절용 절약해서 씀 82
제 6조 낙시 즐거운 마음으로 베풂 89

3. 봉공육조
제 1조 선화 임금의 은덕을 백성들에게 베풂 96
제 2조 수법 법을 준수함 103
제 3조 예제 예로써 사람들을 대함 107
제 4조 문보 공문서의 작성 및 처리 117
제 5조 공납 공물의 공평한 수납 126
제 6조 요역 출장 근무 132

4. 애민육조
제 1조 양로 노인을 잘 봉양함 140
제 2조 자유 어린이를 사랑함 145
제 3조 진궁 가난한 자를 구제함 149
제 4조 애상 상을 입은 사람들을 애도함 152
제 5조 관질 병든 사람들을 관대히 배려함 157
제 6조 구재 재난당한 사람들을 구제함 165

5. 이전육조
제 1조 속리 아전을 단속함 168
제 2조 어중 대중을 통솔함 181
제 3조 용인 사람을 잘 골라 씀 185
제 4조 거현 어진 사람을 천거함 191
제 5조 찰물 물정을 살핌 196
제 6조 고공을 아전들의 공적을 평가함 203

6. 호전육조
제 1조 전정 농지의 행정 208
제 2조 세법 조세의 부과 및 징수 216
제 3조 곡부 환곡의 관리 232
제 4조 호적 호수와 인구의 기록 250
제 5조 평부 부역을 고르게 함 259
제 6조 권농 농사를 권장함 276

7. 예전육조
제 1조 제사 제사수령이 주관해야 할 제례의식 284
제 2조 빈객 공적인 손님에 대한 접대 290
제 3조 교민 백성을 가르침 298
제 4조 흥학 학문과 교육의 부흥 304
제 5조 변등 등급을 구별함 309
제 6조 과에 학업을 권장함 313

8. 병전육조
제 1조 첨정 장정을 군적에 실음 318
제 2조 연졸 군사훈련 325
제 3조 수병 병기 관리 331
제 4조 권무 무예를 권장함 334
제 5조 응변 변란에 대비함 337
제 6조 어구 적의 침략을 막음 343

9. 형전육조
제 1조 청송 송사를 다룸 350
제 2조 단옥 옥사를 판단함 356
제 3조 신형 형벌을 삼가 377
제 4조 휼수 옥에 갇힌 죄수를 보살핌 384
제 5조 금포 세력 있는 자들의 횡포를 막음 392
제 6조 제해 백성들의 각종 피해를 제거함 100

10. 공전육조
제 1조 산림 조림 정책 414
제 2조 천택 수리 시설 관리 422
제 3조 선해 청사를 수리함 429
제 4조 수성 병란에 대비하여 성곽을 수리함 433
제 5조 도로 교통을 위한 도로 행정 437
제 6조 장작 여러 가지 도구와 용기의 제작 440

11. 진황육조
제 1조 비자 물자를 비축함 446
제 2조 권분 백성들에게 서로 나누어 베풀기를 권함 453
제 3조 규모 구제를 합리적으로 함 462
제 4조 설시 진장의 성치 및 진휼의 시행 467
제 5조 보력 흉년에 백성들의 양식에 보탬이 되는 여러 가지 방안 모색 474
제 6조 준사 진황 정책의 끝마무리 479

12. 해관육조
제 1조 체대 수령의 교체 484
제 2조 귀장 체임되어 돌아가는 수령의 행장 488
제 3조 원류 백성들이 수령의 유임을 청원함 492
제 4조 걸유 백성들이 수령의 죄를 용서를 비는 것 497
제 5조 은졸 수령이 재임 중 사망하는 경우 499
제 6조 유애 수령이 백성들의 애모 속에 죽거나 떠나가 502

저자소개

정약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말기의 실학자. 정조 때의 문신이며, 정치가이자 철학자, 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사암·탁옹·태수·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다산(茶山), 당호는 여유(與猶)이며, 천주교 교명은 요안,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1776년 정조 즉위 호조좌랑에 임명된 아버지를 따라 상경, 이듬해 이익의 유고를 얻어 보고 그 학문에 감동받았다. 1783년 회시에 합격, 경의진사가 되었고, 178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를 거쳐 검열이 되었으나, 가톨릭 교인이라 하여 탄핵을 받고 해미에 유배되었다. 10일 만에 풀려나와 지평으로 등용되고 1792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서양식 축성법을 기초로 한 성제(城制)와 기중가설(起重架說)을 지어 올려 축조 중인 수원성 수축에 기여하였다.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연천현감 서용보를 파직시키는 등 크게 활약하였고, 1799년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다시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 신유교난 때 장기에 유배, 뒤에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이배되었다. 다산 기슭에 있는 윤박의 산정을 중심으로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학문에 몰두, 정치기구의 전면적 개혁과 지방행정의 쇄신, 농민의 토지균점과 노동력에 의거한 수확의 공평한 분배, 노비제의 폐기 등을 주장하였다. 저서로 『목민심서』 『경세유표』 『정다산전서』 『아방강역고』 『마과회통』 『자찬묘지명』 『맹자요의』 『논어고금주』 『춘추고징』 『역학제언』 『상서지원록』 『주역심전』 『사례가식』 『상례사전』 『악서고존』 『상서고훈』 『매씨서평』 『모시강의』 『삼미자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