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산의 문장 수업

다산의 문장 수업

(다산 평생의 내공으로 삶의 질서를 만드는 하루 한 문장 필사)

정약용 (지은이), 한정호 (엮은이)
구텐베르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산의 문장 수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산의 문장 수업 (다산 평생의 내공으로 삶의 질서를 만드는 하루 한 문장 필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99438422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5-10-27

책 소개

조선 시대의 위대한 실천가이자 자기경영자였던 다산 정약용의 사고법과 삶의 원칙을 담은 명문장 필사집이다. 다산은 공부를 책상에 앉아 지식을 쌓는 행위에 한정 짓지 않았다. 그는 공부란 현실을 바꾸는 것이어야 한다고 굳게 믿었다. 18년간의 혹독한 유배 기간에도 좌절을 딛고 500여 권의 방대한 저술을 남길 수 있었던 힘은, 앎을 삶으로 증명해내는 실천의 학문에서 나왔다.

목차

서문 … 006
이 책을 활용하는 방법 … 010

제1부 학이치용(學以致用) — 배우고 묻고 적용하다 … 014
제2부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입각해 진리를 구하다 … 056
제3부 반구제기(反求諸己) — 스스로 성찰하여 허물을 발견하다 … 098
제4부 지행겸진(知行兼進) — 몸소 실행해 큰 뜻을 이루다 … 140
제5부 정심성의(正心誠意) — 삶의 원칙을 공고히 하다 … 184
제6부 경세설제(經世設制) — 세상을 경영할 제도를 설계하다 … 224

기록과 절차로 사실을 다져 현실을 고치는 다산의 사상 … 266

저자소개

정약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말기의 실학자. 정조 때의 문신이며, 정치가이자 철학자, 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사암·탁옹·태수·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다산(茶山), 당호는 여유(與猶)이며, 천주교 교명은 요안,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1776년 정조 즉위 호조좌랑에 임명된 아버지를 따라 상경, 이듬해 이익의 유고를 얻어 보고 그 학문에 감동받았다. 1783년 회시에 합격, 경의진사가 되었고, 178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를 거쳐 검열이 되었으나, 가톨릭 교인이라 하여 탄핵을 받고 해미에 유배되었다. 10일 만에 풀려나와 지평으로 등용되고 1792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서양식 축성법을 기초로 한 성제(城制)와 기중가설(起重架說)을 지어 올려 축조 중인 수원성 수축에 기여하였다.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연천현감 서용보를 파직시키는 등 크게 활약하였고, 1799년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다시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 신유교난 때 장기에 유배, 뒤에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이배되었다. 다산 기슭에 있는 윤박의 산정을 중심으로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학문에 몰두, 정치기구의 전면적 개혁과 지방행정의 쇄신, 농민의 토지균점과 노동력에 의거한 수확의 공평한 분배, 노비제의 폐기 등을 주장하였다. 저서로 『목민심서』 『경세유표』 『정다산전서』 『아방강역고』 『마과회통』 『자찬묘지명』 『맹자요의』 『논어고금주』 『춘추고징』 『역학제언』 『상서지원록』 『주역심전』 『사례가식』 『상례사전』 『악서고존』 『상서고훈』 『매씨서평』 『모시강의』 『삼미자집』 등이 있다.
펼치기
한정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경전과 문집, 서간, 일기 등 다양한 고전을 자연스러운 현대 한국어로 옮기는 작업을 해왔다. 원전의 핵심을 훼손하지 않는 정확성, 과도한 각주에 의존하지 않는 가독성, 일관된 용어 사용을 번역의 원칙으로 삼는다. 여러 판본을 대조하고 표점과 주석을 꼼꼼히 정비하며 번역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엮고 옮긴 책으로 『다산의 문장 수업』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다산 정약용은 공부의 목적이 현실을 고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논어고금주』에서 배우고 때에 맞게 익히는 것(學而時習)을 삶의 질서를 세우는 실천의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개선을 위한 절차로 옮겨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산에게 공부란 배운 것을 몸으로 옮기는 것이며, 실천적인 제도와 실행으로 드러나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 「서문」 중에서


배움은 문헌에 의거해 증거를 대는 것이고,
생각은 내 마음에서 깊이 따져 보는 것이다.
‘망’이란 남에게 속는 것이고, ‘태’란 위태로움이다.
근본과 말단을 따지지 않고 옛 책을 믿으면 거짓에 속을 수 있고,
옛사람의 법을 상고하지 않고 제 생각만 믿으면 그 앎이 위태롭다.
배움과 사유는 어느 한쪽도 폐기하거나 치우쳐서는 안 된다.

學, 謂徵之於載籍。 思, 謂研之於自心。 罔, 受欺也. 殆,危也。 不究本末而輕信古書, 則或墮於誣罔。 不稽古先而輕信自心, 則所知者危殆。 二者不可偏廢也。

여유당전서 제2집 제7권,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위정(爲政)」
- 제1부 「학이치용(學以致用)」 배우고 묻고 적용하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