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97125395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4-01-29
책 소개
목차
INTRO 영양학의 관점에서 본 병의 원인
“아무거나 다 드셔도 됩니다.”라고 말하는 무책임한 의사
서양 의학의 한계
당뇨병 환자의 급증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양배추를 먹고 천식이 나은 이유는?
Part 01 효소의 비밀, 여기까지 밝혀졌다!
3대 영양소의 역할
몸은 영양소만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100조 개의 체내 세포가 필요로 하는 효소
효소의 역할
효소가 혈액형을 바꾼다?
효소의 내용물
효소의 종류
하나의 효소는 1가지 일만 한다
효소의 수명
효소는 일정량만 만들어진다
흰머리가 나는 이유와 효소와의 관계
인간의 효소 저장량은 몇 년분일까?
효소를 보조하는 비타민과 미네랄
노벨상 수상으로 오해를 받은 효소 영양학
효소 연구가 50년이나 늦어진 이유
Part 02 효소는 우리 몸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가?
소화 효소와 대사 효소
어떤 음식을 먹든 소화 효소의 도움이 필요하다
풀만 먹는 소가 근육을 만들 수 있는 이유
고기만 먹는 사자는 비타민C를 어떻게 보충할까?
소화 효소를 낭비하면 일어나는 위험한 현상
효소를 소모시키는 식생활
모든 생존 활동에 관여하는 대사 효소
효소가 없으면 에너지 회로도 작동하지 않는다
효소가 없으면 활성산소도 제거하지 못한다
술에 약한 이유
폭음, 폭식을 해도 아무렇지도 않은 사람이 갖고 있는 효소
건강검진의 감마(γ)-GTP도 효소였다!
독가스 사린과 효소의 활동
대사량이 많을수록 수명이 짧아진다
Part 03 가열식이 효소를 감소시킨다!
죠몬인은 어떻게 오래 살 수 있었을까?
동물원의 사망률을 낮춘 먹이
동물 실험에서 나타난 효소의 힘
미국, 아프리카, 북극권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
장수촌의 식사와 단명촌의 식사
50℃ 세척과 냉동도 효소를 이용한 방법이다!
동물이 날것만 먹는 이유
인간에게도 위가 2개 있다?
췌장이 비대해지고 뇌가 작아진 인간
구운 생선에 무를 곁들이는 과학적인 이유
훌륭한 식재료인 과일의 힘
암과 효소의 관련성
인간을 건강하게 만드는 식품의 조건
병 치료에 사용되어 온 ‘효소식’
생식과 가열식은 6 : 4의 비율로
효소 영양학 관점에서 본 일식의 효능
Part 04 병의 근본 원인은 장과 장 속 세균에 있었다!
‘제2의 뇌’ 장의 역할
필자가 항암제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모든 병은 소화불량에서 시작된다
장 누수 증후군
장 속에서 일어나는 4가지 현상
질소 잔류물과 2차 담즙산이 하나가 될 경우
장 속 세균의 효소는 체외 효소다!
간 기능과 유사한 장내 세균의 활동
암과 식이섬유의 관계
건강의 열쇠를 쥐고 있는 ‘단쇄 지방산’
21세기에 밝혀진 단쇄 지방산의 활동
당질 제한 다이어트의 위험한 함정
독일인 의사가 감탄했던 일본식 식사
장은 인체의 ‘바깥쪽’에 있다?
위장약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최근 소장암이 증가하는 이유
몸이 차가우면 암에 걸리기 쉽다
소장에 있는 ‘장관 면역’을 활성화시킨다
대변을 보면 면역력을 판단할 수 있다
Part 05 효소를 감소시키는 식사가 건강을 해친다!
비만인 사람의 수명이 짧은 이유
인간을 노화시키는 3가지 원인
식물성뿐만 아니라 동물성 식품도 필요한 이유
아침식사는 가볍게 하는 편이 좋다
왜 먹고 바로 자면 몸에 안 좋을까?
설탕이 유발하는 비만보다 무서운 ‘해악’
무시무시한 트랜스 지방산
기름의 질이 건강을 좌우한다
분말 형태의 식품은 먹어서는 안 된다
채소와 과일의 씨앗은 먹으면 안 된다
현미는 먹지 말아야 한다?
현미의 독을 제거하는 방법
약은 효소의 활동을 저해한다
Part 06 효소를 간단히 섭취하는 방법
병에 걸렸을 때는 굶는 것이 좋다
소식과 장수의 관계
하루 두 끼 식생활로 건강해진다
똑똑한 효소 섭취법① 주스
똑똑한 효소 섭취법② 강판에 간다
똑똑한 효소 섭취법③ 발효식품
똑똑한 효소 섭취법④ 꼭꼭 씹으며 천천히 먹는다
똑똑한 효소 섭취법⑤ 좋은 물을 마신다
수면의 2가지 역할
Part 07 초보자를 위한 효소 단식법
반단식이 몸에 좋은 이유
반단식과 케톤체
반단식의 효능
반단식의 주의점
효소 단식에 관해
반나절 단식 코스
하루 단식 코스
이틀 반 단식 코스
부록: 나의 ‘효소력’ 측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