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문 공부와 번역 이야기

한문 공부와 번역 이야기

성백효 (지은이)
고반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600원
18,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문 공부와 번역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문 공부와 번역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97169672
· 쪽수 : 379쪽
· 출판일 : 2025-06-17

책 소개

저자는 어려서 가정에서 한문을 배우기 시작하여 평생 한문학을 공부하고, 한문 고전 번역과 후학을 가르치고 있다. 서당에서 스승들께 배우고,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배우고 가르쳤던 그동안 경험을 통해 한문 고전 번역의 실제를 들려 준다.

목차

머리말

제1부_ 한문 고전 번역 그리고 한문 공부와 교육

1. 한문 고전 번역의 어려움
한문 고전 번역이 안고 있는 문제들
원의(原義)의 정확한 파악
허자(虛字)의 처리
한자(漢字)의 분명한 자훈(字訓)
주석 처리의 어려움
어느 주석을 따를 것인가
방언(方言)에 대한 논란

2. 잘못된 한문 해석과 작문(作文)
잘못된 토씨 활용
《어수신화(禦睡新話)》에 나오는 17자 시(詩)의 특징
기발한 ‘쉬운 한문 문장 만들기’
초서(草書) 해독의 오류

3. 한문 고전을 번역하려면 출전(出典)을 알아야 한다

4. 경서(經書) 번역의 실제와 문제점 ː사서(四書)를 중심으로
경서(經書)를 번역하게 된 동기
한문(漢文) 번역의 특수성(特殊性)
사서집주(四書集註)의 오류(誤謬)와 이설(異說)
언해(諺解)의 보급과 파생된 문제점
선배(先輩) 동학(同學)들의 비평에 대하여

5. 기초 한문 교재
지능개발 위주의 기초 교재
수신(修身) 위주의 기초 교재

6. 한문 공부에 필요한 언해(諺解)와 현토(懸吐)
사서삼경의 언해(諺解)와 현토(懸吐)
언해가 한문 공부에 미친 영향과 이에 따른 부작용
우리 선유(先儒)들의 한문과 국어에 대한 인식
관본 언해의 권위

7. 한문 공부를 어떻게 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대답
본인이 한문을 공부한 과정
한문은 외워야 한다
8. 우리 선현(先賢)이 주장한 독서법
<독서의 순서[讀書次第]>

제2부_ 예를 알아야 한다

1. 예(禮)란 무엇인가

2. 예의 근본을 알아야 한다
예는 시의(時宜)에 맞게 변통하여야 한다
예는 마음속에서 우러나야 한다
예는 전통과 풍습을 중시한다

3. 제례(祭禮)
제례(祭禮)의 기본
가가례(家家禮)의 잘못된 인식
기제(忌祭)를 모시는 날짜
기제를 모시는 대수(代數)
단설(單設)과 합설(合設)

4. 기제(忌祭)
제수(祭需)의 준비
제청(祭廳)의 설치
모사(茅沙) 만들기
지방(紙榜)과 축문(祝文) 쓰기

5. 제수의 진설(陳設)과 제사의 절차
제수(祭需)의 진설(陳設)
제사(祭祀)의 절차
신주(神主) 모셔오기
제례(祭禮)의 원리

6. 묘제(墓祭)와 차례(茶禮)
묘제(墓祭)의 절차
차례(茶禮)의 절차

7. 조문(弔問)
조문의 올바른 예절
장례(葬禮) 후 조객(弔客)에 대한 인사

8. 호칭(呼稱)
친족의 호칭 문제
호칭은 관계의 표현

제3부_ 한문 고전 번역의 주변 이야기
1. <서명(西銘)>의 리일분수(理一分殊)에 대하여
2. 신상후(申相厚) 박사의 <논어특강(論語特講)> 강의 영상을 보고
3. 공자(孔子)의 지천명(知天命)에 대한 주자(朱子)의 해석 ː성인(聖人)과 현인(賢人)의 인격은 과연 같은가
4. 신역(新譯) 《서경집전(書經集傳)》 번역을 마치고 ː해동경사연구소의 번역 역정을 회고함
5. 민족문화추진회 시절의 여러 선생에 대한 소감
6. 순수한 유학자(儒學者)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 ː일단화기(一團和氣) 춘풍(春風)의 강석(講席)
7. 갑진년(2024) 팔순(八旬) 기념 중국 곡부 여행기

저자소개

성백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5월 22일 충남(忠南) 예산(禮山) 출생. 아명(兒名)이자 자는 동영(東英), 호는 한송(寒松), 본관은 창녕(昌寧).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 수학.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 사사.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 수료,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실 전문위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사전편찬원,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군사연구소) 책임편찬원. 국방부 공로상 수상, 민족문화추진회 고전번역상 수상.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교수,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자 양성과정 강사,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및 사범대학 국사교육과 한문 지도(약 15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문화재 전문위원, 서울시청 쓴소리단 위원.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 현)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유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고문, 김해 월봉서원 원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