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97186815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19-07-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강 탈코르셋 운동이란?
2강 외모 꾸미기는 왜 ‘꾸밈노동’인가?
3강 여성의 몸, 대상이 아닌 역량
4강 외모 꾸미기는 왜 개인적 ‘취향’으로 오인되는가?
5강 오해, 질문, 응답
부록: 코르셋의 간략한 역사 (윤김지영)
주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탈코르셋 운동에 가해지는 반동의 공격들에 대한 이론적 반격이자 탈코르셋 실천 운동의 정당성에 대한 철학적 기반과 언어를 제공하는 개념적 무기로써 사용되길 바라며 쓰였습니다. 모쪼록 이 책이 페미니즘 물결의 역사 속에 자리매김한 한국 여성들의 탈코르셋 운동이 이론적 지평에서도 유의미한 실천으로 기록되고 기억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고대합니다.”
“여성들이 화장품을 깨고 부수고 짓이기며 고이고이 길러왔던 머리칼을 반삭발로 미는 모습을 전시하는 것은 여성성 수행에 대한 ‘사보타주’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여성 자신의 몸이 항거의 시위 현장이 된 탈코르셋 운동은 남성에게도 여성에게도 불편한 정치적 실천임에 틀림없습니다. 바로 이 불편함이 가져다주는 의미와 효과를 우리는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민낯에 삭발을 하고 펑퍼짐한 바지를 입고 호전적으로 걷는 사람은 과연 여성이 아닌가라고 반문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여성의 아비투스를 이루는 도식들은 여성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성의 외형과 모습에 관한 특정한 재현체계와 식별코드들로 구성되어 있을 뿐임을 인식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