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223
· 쪽수 : 362쪽
· 출판일 : 2014-09-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추천사 /10
1장. 어렵지 않아요! 누구나 할 수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 / 18
(1) 교육과정이 도대체 무엇이란 말이냐? / 18
(2) 교육과정 재구성을 왜 하는데 / 30
2장. 교육과정 재구성 어떻게 하는데? / 40
(1) 교과 통합 수업 사례 / 40
(2) 범교과 주제 학습 사례 / 118
(3) 교과 체험 학습의 날 사례 / 160
(4) 프로젝트 수업 사례 / 201
(5) 독서와 연계한 수업 사례 / 244
3장. 자, 그럼 나도 우리 학교의 교육과정을 만들어 볼까? / 285
(1) 학교교육과정 만들기의 과정 / 285
(2) 학교교육과정 만들기의 실제 / 292
(3) 교과 교육과정 만들기 / 296
4장. 교육과정을 완성하는 평가 / 319
(1) 교육과정과 평가 / 319
(2) 평가 혁신의 바람 속으로 / 321
(3) 교육과정 재구성에 따른 평가의 다양한 사례들 / 327
(4) 교육과정 재구성 운영 결과 분석 / 343
(5)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 조사(학생/교사/학부모) / 351
(6) 교육과정 재구성과 평가의 변화 이후 / 357
(7) 교육과정 평가, 다시 수업 속으로 / 359
(8) 모두가 행복한 학교를 위하여 / 361
책속에서
도대체 교육과정이 뭐란 말인가? 교과서만 잘 가르치면 잘하는 수업아닌가? 도대체 국가는 왜 교육과정을 자꾸 바꾸면서 학교 현장에 혼란만 초래하는가? 한마디로 국가가 시도하는 교육과정 개정이 교실에선 전혀 먹히지 않는 상황이 몇 십 년 동안 대부분의 교실에서 펼쳐지고 있었다. 이런 생각은 우리가 교사로 20년 동안이나 가르치면서도 ‘교과서가 교육과정’이라는 생각으로 수업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어진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데 역사 시간에 실사구시, 이용후생, 실학, 부국강병, 중상학파 등의 용어를 역사적 맥락을 찾기도 전에 기본 한자 풀이부터 설명하다 보면 학생들은 저만큼 멀리 달아나고, 자신은 수업 속에서 혼자 열변을 토하고 있다고, 한문과에서 그 용어들을 먼저 설명해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래서 우리는 교과 통합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한문과에서 실학을 비롯한 용어를 수업하면, 이어서 역사과에서 조선 후기와 실학, 그리고 국어과에서 ‘북학의’를 가르치기로 했다. 우리가 이런 논의를 하자 미술과, 과학과, 수학과 교사들이 함께했고, 교과 통합 프로젝트인 ‘실학의 시대를 만나다’가 만들어졌다.
이듬해 교과통합 프로젝트로 ‘북학의’ 수업을 진행하자 지난해에 가르치다 힘들었던 단원이 술술 풀리면서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고 ‘북학의’를 거뜬하게 이해하면서 우리나라 근대화의 시작이 ‘실학’이라는 논의까지 수업에서 나왔다.
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 작업은 교사들의 긴밀한 협력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통합 교육과정 수업에 참여하는 각 교과 교사는, 이전까지 교과별로 분리된 교육과정에 따라 개별적으로 수업을 해왔기 때문에, 여러 교과들의 교육과정이 통합되어 재구성된 교육과정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과마다 단원에 따라 어떤 주제, 성취 기준, 텍스트가 제시되는지 상세하게 알아야 한다. 그래야 각 교과의 단원에서 요구하는 성취 기준에 도달하면서도 그 교과들이 융합되어 공유된 큰 주제를 형성하는 교육과정을 협력해서 기획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