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421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6-05-04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4
추천사 10
1부 도구를 상호적으로 사용하기
1장. 언어, 상징, 텍스틀 상호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1. 빙고 놀이
2. 암호 풀이 놀이
3. 사전 놀이
4. 낱말이나 문장 가지고 놀기
5. 수업을 시작할 때 확 깨우는 놀이
2장. 지식과 정보를 상호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1. 말 잇기 놀이
2. 연상 놀이
3. 차이를 발견하는 놀이
4. 이어서 표현하는 놀이
5. 이야기가 스며들어간 이름 짓기
6. 음운의 특징을 이해하는 카드놀이
7. 퀴즈 놀이
2부 이절적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기
3장. 다른 사람과 관계를 잘 맺는 능력
1. 소개 놀이
2. 상황에 맞게 말하기
3. 서로 다른 ‘아’
4. 친구 알기 놀이
5. 장애 체험
4장. 협력할 수 있는 능력
1. 토론하기
2. 토의하기
3. 협의하기
5장.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1. 그림으로 하는 극놀이
2. 몸을 도구처럼 사용하는 극놀이
3. 몸 풀이 연극 놀이 몇 가지
4. 연극
5. 단편영화
3부 자율적으로 행동하기
6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1. 범인을 잡아라!
2. 개미왕국 건설을 막아라!
3. 눈치코치 숫자 세기
7장. 인생 계획과 개인적인 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능력
1. 인생 곡선 그리기
2. 가치관 경매
3. 마음 가게
4. 유서 쓰기
8장. 자신의 권리, 관심, 한계, 욕구를 옹호하고 주장하는 능력
1. 모서리 게임
2. 하얀 거짓말
책속에서
‘노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놀이’에 대한 오해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노는’ 행위 자체가 얼마나 교육적이며 생산적이고 창의적인가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놀이를 흥미유발 도구쯤만으로 여긴 채 ‘놀이 수업’을 시작하게 되면 놀이는 반대로 ‘일’이 돼 버린다. 더구나 매번 놀이를 주도하는 역할을 맡게 돼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즐겁지 않고 마음만 바쁘고 몸이 피로하면 놀이는 정말 일이 되는 것이다.
칭찬 빙고 놀이는 교사가 칭찬받을 어떤 학생의 이름을 먼저 부르면, 그 이름이 자신의 빙고판에 적혀 있는 학생들 중에서 그 학생을 칭찬할 수 있는 사람이 손을 들고 일어나 칭찬해야 한다. 이때 ‘그 친구가 쓰는 글씨가 예쁘다.’, ‘청소를 잘 한다.’, ‘일찍 등교한다.’, ‘수업 시간에 모르는 것을 물어보면 잘 가르쳐 준다.’ 등등 칭찬하는 이유는 어떤 것이든 상관없다. 다만 “○○가 저를 좋아해서요.”와 같은 개인적인 이유는 인정해 주지 않는다.
이렇게 남을 칭찬할 수 있는 사람이 손을 들고 일어나서 다른 사람의 이름을 부르며 빙고 칸을 연결하는 것이다. 자신의 빙고 칸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을 적극적으로 칭찬해야 하는데, 누군가를 칭찬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칭찬받는 사람도 칭찬하는 사람도 서로에게 관심과 사랑이 커지며, 칭찬받는 사람은 칭찬하는 사람의 관심에 고마움을 느낀다.
(1) ‘있고, 없고’ 놀이
진행자가 제시하는 두 단어 중 ‘있고, 없는’ 차이를 발견하는 놀이다. 진행자가 말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에는 있고 ○○에는 없어요.” 단어의 의미를 파악해 실제 있고 없는 개념을 찾아낼 수 있는 문제도 있고, 단어 속에 숨겨진 음절들이 지닌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는 문제도 있다. 후자는 말놀이나 재담과 관련이 있다. 집중력 있게 문제를 듣고 공통점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집중력과 분석력이 필요한 놀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답을 말하기보다는 진행자와 함께 문제를 만들어 내는 데 참여하면 창의력과 표현력까지 높일 수 있다.
■ 놀이 규칙
1. 진행자가 다음과 같은 두 부류의 문제를 제시한다.
― 단어에 실제 존재하는 것과 없는 것을 구별해 내는 문제: “비행기에는 있고 기차엔 없어요.”, “자동차에는 있고 오토바이에는 없어요.”, “유모차에는 있고 젖병에는 없어요.”, “바이킹에는 있고 자전거에는 없어요.”
(정답: 안전벨트)
― 단어에 들어가 있는 음절에서 공통점 찾아내는 문제: “삼계탕에는 있고 통닭에는 없어요.”, “사마귀에게는 있고 방아깨비에게는 없어요.”, “오징어에는 있고 문어에겐 없어요.”
(정답: 숫자와 동음인 음절이 들어가 있는 단어와 그렇지 않은 단어)
2. 참가자들은 진행자가 내는 문제를 차례로 들으면서 정답을 자연스럽게 외치면 된다.
3. 정답을 말하지 않고 진행자와 함께 문제를 만들어 제시하도록 하면 더욱 흥미진진해질 수 있다.
■ 유의 사항
문제를 잘 설명해야 참여자들이 혼란을 일으키지 않는다. 문제를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까지 아우르는 진행 방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