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37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5-11-02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 4
프롤로그 · 11
1장. 교육과정-수업-평가 패러다임의 혁신 · 21
1.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사회학적 이해 · 27
2.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유형 · 41
3. 학교 질서와 학생들의 참여 양상 · 45
4. 학생의 성장을 위한 교육과정-수업-평가 · 51
5. 세 학교 이야기 · 67
2장. 교육과정으로 드러나는 교육의 실제성 · 71
1. 주제-탐구-표현으로 이어지는 교과별 교육과정 · 74
2. 교과의 경계를 넘어선 통합 · 88
3. 교육과정과 학생들 삶의 통합 · 106
4. 교육과정과 사회적 실천의 통합 · 123
5. 교육과정 구성에서 교사의 역할 · 138
6. 교육과정과 학생의 배움 · 147
3장. 수업을 통해 드러나는 구성원들의 관계 · 163
1. 수업의 시공간적 맥락 · 166
2. 수업,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 · 188
3. 수업 혁신을 위한 교사의 협력 · 226
4. 학습활동지의 매개적 역할 · 237
5. 수업에서 학생의 참여와 협력 · 250
4장. 평가를 통해 드러나는 교육의 역할 · 269
1. 평가의 사회학 · 272
2. 평가 유형에 따른 특징 · 283
3. 평가를 통한 학생의 성장과 발달 · 314
에필로그 · 331
참고문헌 · 345
본문 가운데
지은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학교교육에 대한 위기는 1990년대 후반부터 제기된 ‘교실 붕괴’ 담론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 당시 ‘교실붕괴’ 담론을 회상해 보면, 학생들이 더 이상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고 잠을 자거나, 교사들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모습을 공공연하게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는 기성 질서에 대한 학생들의 저항으로 해석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어찌 보면 수명을 다한 낡은 학교교육의 관행이 무너지고 있다는 것, 그래서 본격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도 있었다. 또한 민주화가 우리 사회의 각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였다.
분리가 사회의 불평등한 권력 구조를 재맥락화하는 코드라면, ‘통제’는 사회의 통제 구조가 일정한 틀(frame)에 따라 재맥락화되는 코드다. 통제는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이 일정한 틀에 따라 이루어지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교직원 회의 시간에 학교장이 맨 앞자리 가운데에 앉아 있고 교감이나 부장교사가 그 옆에 나란히 앉아 있는 것이 관례로 자리 잡은 학교가 있다면 이 학교의 문화에는 ‘학교장, 교감, 부장교사, 평교사’ 사이에 ‘강한 분리’가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회의 시간에 학교장이 일방적으로 지시 사항을 전달하고 교사들은 아무런 질문이나 문제제기를 하지 않은 채 그저 듣기만 하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다면, 이 학교의 교직원 회의 문화에는 ‘강한 통제’가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과정―수업―평가에서 약한 분리와 통제는 통합과 소통을 특징으로 하는 민주적 코드를 형성한다. 그 구체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에서 횡적 분리가 약하다는 것은 교과와 교과 사이에 유기적 연계성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교과 간 경계가 약하거나 사라지면서 주제나 가치 중심의 통합적 교육과정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 경우 중심 교과나 주변부 교과와 같은 구분은 사라지고 모든 교과가 그 가치를 동등하게 인정받게 되며,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전인적인 발달과 성장을 위한 배움이 보장받게 된다. 또한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졌던 생태, 인권, 노동, 평화와 같은 영역도 정규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