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5545711
· 쪽수 : 317쪽
· 출판일 : 2016-01-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창조적 수업을 이끄는 <질문이 있는 교실, 실천편> (교컴지기 대표, 서울교육연수원 연구관 함영기… 2
추천사 : ‘질문’과 ‘사랑’의 실천을 함께 나누려는 선생님들 (장곡중학교 수석교사 박현숙) … 4
저자 서문 : <질문이 있는 교실, 실천편>을 열면서 … 6
1. 거꾸로 교실로 수업의 말문을 열다 … 13
- 교실 : 모두가 탈출을 원하는 곳
- 절망 끝에서 찾은 답, 거꾸로 교실?
- 가장 단순한 수업변화의 실천
-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학습영상
- 교실에서의 ‘탈출’에서 ‘탈주’로
- ‘거꾸로 교실’과 관점의 변화
- 탈근대 시대의 학교, ‘수업노마드’로서의 교사의 탄생
- 다시 처음으로
- 수업노마드의 출현을 기대하며
2. 질문으로 자라나는 배움, 배움의 공동체 … 43
- 수업을 바꿀 용기
- 함께 바꾸면 더 쉽다
- 교사 중심 수업에서 학생 중심 수업으로
- 활동지에는 질문만 있다
- 한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모둠 활동 수업
- 배움은 질문으로부터 시작한다
- 질문하기∝연결짓기∝질문하기∝되돌리기
- 질문이 피어나는 교실 - 시 수업
- 질문으로 세상과 소통하기 - 교과통합 프로젝트
- 교실안에 있는 질문을 ‘나’의 삶 속으로 들여오기
- 협력과 배려의 교실에서 치유되는 아이들
- 질문을 통해 모두가 성장하는 교실
- 배움의 공동체 수업, 일반 교실에서도 가능 할까?
- 상상 그이상의 성장, 꿈은 아니다
3. 하브루타 토론교실 … 83
- 하브루타 토론교실
- 자물쇠가 채워진 입을 여는 열쇠로써 하브루타를 만나다
- 자유토론 기법과 정식 디베이트를 하브루타의 ‘토론과 논쟁을 통해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접목하다
- 하브루타 토론수업 절찬리 상연 중
- 강의식 교실을 질문이 있는 교실로 만들기 ‘하브루타 1차좌석 이동, 2차좌석 이동’
- 대한민국의 중2보다 힘이 센 하브루타
- 질문으로 알아보는 하브루타 토론수업의 궁금한 점
4. ‘팀플’ 앱 활용 질문이 있는 교실 수업의 새로운 가능성 … 119
- 엉뚱한 질문도 허용하라
- 질문이 사라진 교실, 어떻게 바꿀 것인가?
- 팀 기반학습에 기초한 ‘팀플(timple)’ 앱
- 팀 기반학습 관리 솔루션을 제시해주는 ‘팀플’ 앱
- ‘팀플’ 앱으로 토론에 자신감이 생기다
- ‘팀플’ 앱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 ‘팀플’ 앱 활용 수업단계
- ‘팀플’ 앱 따라하기
- ‘팀플’ 앱을 활용한 거꾸로 교실 수업
- ‘팀플’ 앱을 활용한 질문이 있는 교실 수업 만들기
5. 독해력과 질문 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별 질문 만들기 … 147
- 내인생의 질문들, 그리고 정답에서 질문으로
- 공감대화로 소통이 잘되는 교실 만들기
- ‘질문이 있는 교실’은 ‘학생의 자생적 질문이 활발한 교실’
- 단계별 질문 만들기란?
- 단계별 질문 만들기 연습하기
- 질문이 넘쳐나는 거꾸로 교실 수업
6. 책으로 수다떨고 질문으로 깊어지는 수업 … 177
- 물꼬방, 널 만난건 축복이야!
- “마이 멕여야지”
-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파나니
- 아이들이 직접 질문을 만들고 직접 답하다!
- 잠을 자지 않는 능력
- 교사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질문으로 알아보는 ‘책 읽고 대화하기’
- 질문이 있는 교실에서 행복한 교사로 살아가기
7. 질문하고, 토의하고, 설명하며 힘을 키우는 읽기 수업 … 227
- 물고기를 잡아 줄 것인가? 잡는 능력을 길러줄 것이가?
- 어떤 글로 가르칠까?
- 어떻게 하면 스스로 읽게 할 수 있을까?
- ‘능동적 글 읽기’의 첫번째 열쇠 - 요약하기
- ‘능동적 글 읽기’의 두번째 열쇠 - 설명하기
- 설명하기 수업의 방법
- 설명하기 수업의 실제
- ‘질문하기’ 수업의 방법
- 생각질문 토의 수업 장면
- 생각질문, 어떻게 만들까?
- 모둠의 생각질문을 전체 학생들과 나누는 방법
- 학생이 배움의 주인이 된다면
8. ‘질문이 있는 교실’을 위한 교육과정 및 평가 … 273
- 과서 진도는 언제 나가? 시험은 어떻게 봐?
- 교육과정 재구성 - 교과서대로 가르치는 관행 벗어나기
- 교육과정 재구성 - 살려야 할 것, 버려야 할 것, 채워야 할 것 정하기
-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 순서조정, 생략 및 추가
- 평가 계획 세우기
- 평가를 바꿔야 수업이 바뀐다
- 수업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 등급하가 낮고,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평가
- 정답의 개방성이 보장되는 평가
- 질문이 있는 교실, 질문이 있는 평가
9. 질문이 있는 교실, 실천편을 기획하며 … 307
저자소개
책속에서
‘거꾸로교실’은 이러한 근대적 교육의 패러다임을 해체하고 자기의미화를 통해 복원하는 실천이다. 탈근대적인 자기의미화의 과정은 결코 개념의 전달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을 통한 자기 개념의 정립을 통해 진행되는 과정이며 이것은 ‘교사’와 ‘학생’ 모두 ‘노마드’로서 생각의 경계를 허물어낼 때 시작이 된다. 처음에는 어렵다고 느껴질 수도 있지만 그동안 교사 스스로 한 번도 걸어가지 않았던 길이다. 이제까지 교사는 국가의 지시에 따라 학생을 훈육하는 중간관리자로서의 역할에만 충실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거의 패러다임을 고수한다면 변화된 사회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은 그것을 더이상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고 학교와 교사를 거부해 버릴 것이다. 교사도 학생도 스스로의 길을 만들어가야 하는 새로운 시대가 되었다. 그래서 이제 교실은 ‘탈출’해야만 하는 장소가 아니라 ‘탈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해야 할 것이다.
- <심대현, 1장 거꾸로 교실로 수업의 말문을 열다> 중에서
학교를 옮기고 나서 초반에는 그저 나의 수업 방법을 바꾸기가 두려웠고, 수업 준비를 하는 데에 급급했었다. 그런데, 나의 준비에 비해 아이들의 활동 모습과 성장 속도는 언제나 ‘상상 그 이상’이었다. 이런 보람이 따라오니 활동지를 만들기 위해 야근을 하는 시간이 전혀 스트레스로 다가오지 않았다. 무의미한 잡무에 시간을 모두 허비하고, 부실한 수업을 하고 교실을 나올 때 들었던 자괴감도 이제는 저 먼 과거의 일이 되어버렸다. 다른 교과의 수업을 보면서도 늘 배우는 점이 있고, 학생들에게서도 배우는 점이 있다. 교사들에게도 배움이 일상화되어 있다 보니 우리 학교에서는 공개 수업할 교사를 정할 때 서로 하겠다고 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한다. 보통 학교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수업을 공개하면 내가 성장한다’는 믿음이 있기에 가능하다.
- <강양희, 2장 질문을 통해 배우는 배움의 공동체> 중에서
‘하브루타’는 두 사람이 짝을 지어서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는 활동으로, 유대인들의 전통적인 교육 방법을 일컫는다. 하브루타는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뇌를 격동시켜 창의성을 계발하고,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효과적이다.
- <최선순, 3장 하브루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