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384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5-12-01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 6
추천사 · 10
1장. 학교 효과와 혁신학교 · 17
1. ‘학교 효과’를 탐색하는 방법 · 19
2. 혁신학교의 교육적 목표 · 20
3. 아래로부터 총체적 변화를 추구하는 혁신학교 · 23
4. 혁신학교 효과를 통한 교육 가능성 탐색 · 26
2장. 미래 세대를 위한 핵심 역량을 기르는 학교 · 31
1. 미래 세대를 위한 핵심 역량 · 32
2. 창의성·지성: 도구를 상호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 37
3. 공감·소통·협력: 이질적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 · 51
4. 인성·시민성: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능력 · 62
3장. 협력을 통해 배움이 단단해지는 학교 · 71
1. 학생들이 서로 배우는 공동체 · 72
2. 교사들이 서로 배우는 공동체 · 79
3. 학부모들이 서로 배우는 공동체 · 87
4. 평가를 위한 협력과 피드백 · 92
4장. 교사 전문성 강화에 기여하는 학교 · 99
1. 실천적으로 통합되는 교사 전문성 · 101
2.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주인이 되는 교사 · 105
3. 자기 성찰을 담는 교육과정 운영 평가 · 109
4. 교사 연수,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는 교사 · 116
5. 교사 학습공동체 · 121
5장. 특색 있는 교육과정으로 즐거운 학교 · 129
1. 학생 발달을 고려한 학년 교육과정 · 130
2. 깊이 있는 정서 체험 · 144
3. 문화예술 교육 · 151
4. 생태 감성 교육 · 116
5. 인권·평화 교육: 인권 교육, 평화샘, 진단 활동 등 · 163
6장. 민주적 협의와 자치로 깊어지는 학교 · 171
1. 혁신학교 제1 과제, 학교운영 혁신 · 172
2. 학생, 학부모, 교사 3주체 생활협약 · 175
3.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 · 183
4. 이야기꽃이 피는 회의 문화, 교사 다모임 · 189
5. 학생 자치와 학부모 자치로 열매 맺기 · 196
6. 학교운영위원회 제자리 찾기 · 210
7. 민주적 리더십, 민주 공동체의 뿌리 · 214
7장. 수업, 가르침과 배움이 중심이 되는 학교 · 221
1. 업무 정상화, 학교 혁신의 첫걸음 · 223
2. 업무 정상화를 위한 업무 경감 · 228
3. 협력 교사제 · 232
4. 교육 활동을 위한 예산 사용 · 236
5. 수업에만 집중할 수 있어 ‘매우 만족’ 100% · 241
8장. 지역사회와 협력으로 넓어지는 학교 · 245
1. 마을에서 살고 있는 아이들 · 249
2. 한 아이를 위해서 온 마을이 · 254
3. 지역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 · 260
4. 작은 학교가 마을에 가져온 생기 · 271
9장. 학생도 학부모도 교사도 만족하는 학교 · 277
1. 학생 만족도 · 279
2. 학부모 만족도 · 285
3. 교원 만족도 · 290
4. 더 좋은 사회, 행복한 공동체를 찾아가는 혁신학교 · 294
참고문헌 · 300
저자소개
책속에서
혁신학교는 문서상에 존재하는 교육과 현실에서 실현되는 교육 간의 격차를 줄이고,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여 법으로 정해 놓은, 국민적으로 합의되고 약속된 것을 실현하자는 것이다. 혁신학교는 공교육의 틀 안에서 학교교육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모든 학교 구성원이 혁신의 주체가 되어 하나의 공동체로 참여하며, 참여하는 교사가 자율성과 책무성을 갖고 학교 혁신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여 학교 조직과 학교문화, 수업 등의 혁신을 통해서 학교교육을 교육의 본질에 맞게 변화시켜 나가는 것을 지향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나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 역량은 ‘개인적인 수준’으로 제한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OECD가 핵심 역량을 개인과 사회 모두를 위해 기능할 수 있는 역량으로 강조했던 것과 대비된다. OECD가 논하는 핵심 역량이 태생적인 한계가 있음에도 우리 사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보다는 진일보하게 보이는 것은, 단순히 이론적이거나 방법론적인 문제 때문이 아니다. OECD가 핵심 역량에서 개인적인 수준뿐 아니라 사회적 수준에서도 중요하고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핵심 역량 역시 인권, 민주적 가치, 지속 가능한 개발과 같이 보편적으로 인정된 목표가 규범적 준거가 되고, 사회의 공통적인 비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한 학년 혹은 한 학급을 국가로 설정하고 선거를 통해 대통령과 국회의원을 선출하고, 헌법을 만들고, 헌법에 따라 대통령이 국회의 청문회를 거쳐 국무위원을 임명하는 절차를 모의로 실행해 보는 것이다. 학급이나 학년의 규칙을 정하는 데 국회의원이 된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학교에 휴대전화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맞는가, 휴대전화를 교사가 걷는 것은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지는 않는가, 그렇다고 휴대전화를 수업 시간에 켜 두거나 사용하는 것은 다른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토론을 거쳐서 꼭 필요한 규칙을 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급이나 학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사법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