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452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16-08-02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6
추천사 10
1부 초등 평가 혁신의 기초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 한희정 18
1.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란? 19
2.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 목적 28
3.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이해 35
4.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의 조건 49
어린이의 성장과 협력 수업 김해경 62
1. 어린이의 발달 특성과 초등교육 64
2. 어린이의 성장을 돕는 수업 72
진단평가에서 진단활동으로, 다시 교육 활동으로 최혜영 94
1. 왜 ‘진단활동’인가? 95
2. 진단활동에 대한 이해와 오해 99
3. 학년군별 진단활동 107
4. 진단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115
2부 초등 평가 혁신의 실제
초등학생 어린이의 발달을 돕는 평가 오정희 130
1. 초등학교 1학년 발달 특성과 우리 교육 133
2. 우리말 우리글 교육 142
3. 학부모는 평가의 협력자 148
4. 평가 통지 158
평가를 넘어 아이들의 삶으로 손유미 170
1. 평가로부터 시작된 이야기 171
2. 그 흔한 평가의 내용과 방법 173
3. 평가, 성장의 발판이 되다 189
4. 평가로부터 삶을 보다 209
교과 전담 수업으로 학생 발달 지원하기 홍순희 212
1. 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한 실과 수업과 평가 214
2. 학년과 협력한 수업 240
3. 학생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가정-학교 소통 방법 252
3부 초등 평가 혁신의 실제
교육부 · 교육청 평가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신은희 258
1. 교육부의 문제점 260
2. 교육청의 문제 275
3. 진단평가, 시스템의 부재와 책무 사이 283
4. 성장을 돕는 교육부와 교육청의 지원 287
초등 평가 혁신의 과정과 실제 이선애 292
1. 평가, 허물을 알다 293
2. 평가, 허물을 벗기 위한 노력 1년째 296
3. 평가, 허물을 벗기 위한 노력 2년째 304
4. 마치며 312
평가, 이런 것이 궁금해요 31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발달적 교육관은 학교교육의 주목적이 학습자의 잠재성과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데 있다고 본다. 학교의 중심 과제는 모든 학생이 성장하여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잠재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다. 발달적 교육관은 교육을 통한 인간의 변화와 발달 가능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과 개인의 노력에 따라 학교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를 거의 모든 학습자가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있다.
학생들을 줄 세우기 위한 평가가 아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다. 평가의 객관성이라는 명분하에 교사를 옭죄고 있는 신뢰도, 변별도, 이원목적분류표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평가한다는 것은 정상분포를 가정하고 있지 않다. 100% 도달할 수도 있고, 100%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비정상분포를 가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많은 교사가 ‘객관성’이라는 자기 검열 속에서 상위 30%, 중위 50%, 하위 20% 같은 정상분포를 가정하고 평가 결과를 기록한다. 평가의 객관성이라는 것은 성취기준에 도달하지도 못했는데 교사의 ‘사심’이 개입되어 도달했다고 평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지, 어떤 절대적인 객관성을 입증하라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학생 한 명 한 명에 대한 평가이지 학생들을 서로 비교하기 위한 평가가 아니라는 점이다.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는 ‘형식적 틀’로 강제되고 있는 ‘객관성’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수업 혁신이 나아갈 방향은 대체로 학생의 발달을 위해 수업 과정에서 근접발달영역을 창출하고, 차시 수업에서 단원, 주제별 긴 호흡으로 가는 수업, 학생들의 토론, 참여, 배움이 가능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되는 수업, 체험-탐구-표현을 담는 수업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