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 평가 혁신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 평가 혁신

한희정, 신은희, 김해경, 손유미, 오정희, 이선애, 최혜영, 홍순희 (지은이)
맘에드림
15,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950원 -10% 2,500원
770원
15,680원 >
13,950원 -10% 0원
0원
13,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 평가 혁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 평가 혁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452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16-08-02

책 소개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혁신학교에서 지난 5~6년 동안 초등학생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를 실천해온 현장 교사들이 지혜와 경험을 모아 담았다. 저자들은 공교육은 가르침과 배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들의 잠재적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에 목표를 둔다.

목차

여는 글 6
추천사 10

1부 초등 평가 혁신의 기초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 한희정 18
1.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란? 19
2.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 목적 28
3.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이해 35
4.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의 조건 49

어린이의 성장과 협력 수업 김해경 62
1. 어린이의 발달 특성과 초등교육 64
2. 어린이의 성장을 돕는 수업 72

진단평가에서 진단활동으로, 다시 교육 활동으로 최혜영 94
1. 왜 ‘진단활동’인가? 95
2. 진단활동에 대한 이해와 오해 99
3. 학년군별 진단활동 107
4. 진단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115

2부 초등 평가 혁신의 실제

초등학생 어린이의 발달을 돕는 평가 오정희 130
1. 초등학교 1학년 발달 특성과 우리 교육 133
2. 우리말 우리글 교육 142
3. 학부모는 평가의 협력자 148
4. 평가 통지 158

평가를 넘어 아이들의 삶으로 손유미 170
1. 평가로부터 시작된 이야기 171
2. 그 흔한 평가의 내용과 방법 173
3. 평가, 성장의 발판이 되다 189
4. 평가로부터 삶을 보다 209

교과 전담 수업으로 학생 발달 지원하기 홍순희 212
1. 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한 실과 수업과 평가 214
2. 학년과 협력한 수업 240
3. 학생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가정-학교 소통 방법 252

3부 초등 평가 혁신의 실제

교육부 · 교육청 평가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신은희 258
1. 교육부의 문제점 260
2. 교육청의 문제 275
3. 진단평가, 시스템의 부재와 책무 사이 283
4. 성장을 돕는 교육부와 교육청의 지원 287

초등 평가 혁신의 과정과 실제 이선애 292
1. 평가, 허물을 알다 293
2. 평가, 허물을 벗기 위한 노력 1년째 296
3. 평가, 허물을 벗기 위한 노력 2년째 304
4. 마치며 312

평가, 이런 것이 궁금해요 318

저자소개

한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주교육대학교를 졸업한 후 1999년 교단에 발을 디뎠다. 날것의 교실 경험에서 느낀 이상과 현실의 간격, 그 간격을 줄여 보겠다는 거친 꿈을 따라 살고 있다. 초기 경력의 대부분은 영어 교과 전담교사였지만 1학년 아이들의 매력에 빠져 후기 경력의 대부분은 1학년 담임교사로 채웠다. 어느 학년보다 가소성이 큰 1학년 ‘교실살이’의 진정한 맛을 담고 싶어 『초등학교 1학년 열두 달 이야기』를 썼고, 1학년 쓰기 교육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학년 교실 이야기는 『비고츠키 아동학과 글쓰기 교육』, 『느린 학습자와 함께하는 국어 수업』 집필로도 이어졌다. 현재는 내부형 교장 공모제를 통해 교장이 되어 일하고 있지만 1~2학년 아이들과 신체 활동을 하는 시간이 가장 즐겁다. 몸의 고됨이 주는 즐거움은 ‘자발적’일 때 살아난다. 교문 맞이 아침 인사를 할 때 아이들이 찾아와 “오늘 교장 선생님이랑 몸 놀이 하죠?”라고 인사할 때 존재의 이유를 찾은 것처럼 기쁘다. 비고츠키 연구회와 비고츠키 선집 번역 작업에 꾸준히 참여하며, 실천교육교사모임 교사들과 공부 모임을 함께하고 있다. 여기저기에 글도 쓰고 책도 쓰면서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으려고 노력 중이다.
펼치기
신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3년도에 초등 교사로 발령을 받았다. 전교조 교사로서 참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며 초등교육과정연구모임 선생님들과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교육과정 연구를 했다. 2019년 9월부터는 충북교육정책연구소에서 학교현장을 지원하는 교육연구사로 첫발을 디뎠다. 공저로는 『교과서를 믿지 마라』, 『행복한 혁신학교 만들기』, 『일제고사를 넘어서』, 『초등교육을 재구성하라』,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평가혁신』이 있다.
펼치기
김해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서울언주초등학교 교사 10년 전부터 〈초등교육과정연구모임〉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학습공동체의 힘이 개인의 그 어떤 것들을 얼마나 크게 변화시키는지 경험하고 있다. 인간의 협력성은 선의의 성장을 향해간다는 강력한 믿음으로, 오늘은 학교 밖의 다양한 차별과 차이 속에서 협력적인 삶을 살아보고 있는 중이다.
펼치기
손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양양 광정초등학교 교사. 교사가 된 지 벌써 14년째다. 그리고 세 번째 학교에서 지낸 지 8년이 되어 간다. 강원도형 혁신학교인 강원행복더하기학교에서 지낸 지는 5년째다. 그리고 교사로 거듭나기 시작한 것도 5년째다. 2003년에 신규 교사로 발령을 받고는 쭉 무조건 열심히 하는 교사로 살았고, 그래서 승진에 목숨을 건 교사로 따가운 오해도 많이 받았다. 그런데 강원행복더하기학교의 교사가 된 2012년부터는 행동에 앞서 고민을 하며 먼저 가치를 찾았고, 때로는 생각에 앞서 행동으로 옮기며 그것을 삶에서 풀어내려고 애쓰며 살고 있다. 그 과정에서 평가가 바뀌어야 수업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하고 평가를 다시 보기 시작했는데, 그 핵심에는 교육과정(수업과 평가)가 있음을 깨닫게 되어 교육과정을 바로 세워 실천해 오고 있다.
펼치기
오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상현초등학교 교사 학교는 경쟁이 아닌 협력 속에서 행복한 삶을 꿈꾸고 살아가는 교육 공동체이다. 늘 꿈꾸어왔던 교육을 혼자가 아닌 여럿이 함께 만들어가는 혁신학교에 근무하면서 무엇을 소중히 여기고 무엇을 가치 있게 여겨야 할지 고민하고, 교육과 평가에 대해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선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괴산명덕초등학교 교사 어릴 적부터 교사가 되는 게 꿈이었다. 좋은 교사, 완벽한 교사가 되고 싶은 내 욕심에 열정적으로 아이들을 가르쳤다. 하지만 교직 경력 16년이 지나고 알았다. 아이들을 향한 일방적인 나의 열정이 결코 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좋은 교사는 내가 판단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현재 충북에서 6학년 담임을 맡고 있다.
펼치기
최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위례별초등학교 교사 ‘평가는 곧 수업’이었다고 깨닫는 순간, 기존의 평가관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 무엇을 위해, 왜 하는지를 끊임없이 생각하다 보면 결국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답이 나온다고 생각하며 오늘도 자꾸 ‘왜 하는지?’를 고민하는 교사이다.
펼치기
홍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위례별초등학교 교사 〈초등교육과정연구모임〉에서 2007년부터 좋은 선배, 후배 교사와 교육에 대한 공부를 하고 있다. 학생평가가 수업을 통해 교사와 학생이 모두 성장한다는 것을 실천하고 있다. 교육의 주체자로 학부모와 함께하는 것을 실천하면서 평가를 통해 많은 교사들이 교육의 본질에 고민하길 바라는 마음이다. 학생평가를 고민하기 전에 수업에서 학생들을 중심으로 둔 수업,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펼치기

책속에서

발달적 교육관은 학교교육의 주목적이 학습자의 잠재성과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데 있다고 본다. 학교의 중심 과제는 모든 학생이 성장하여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잠재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다. 발달적 교육관은 교육을 통한 인간의 변화와 발달 가능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과 개인의 노력에 따라 학교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를 거의 모든 학습자가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있다.


학생들을 줄 세우기 위한 평가가 아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다. 평가의 객관성이라는 명분하에 교사를 옭죄고 있는 신뢰도, 변별도, 이원목적분류표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평가한다는 것은 정상분포를 가정하고 있지 않다. 100% 도달할 수도 있고, 100%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비정상분포를 가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많은 교사가 ‘객관성’이라는 자기 검열 속에서 상위 30%, 중위 50%, 하위 20% 같은 정상분포를 가정하고 평가 결과를 기록한다. 평가의 객관성이라는 것은 성취기준에 도달하지도 못했는데 교사의 ‘사심’이 개입되어 도달했다고 평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지, 어떤 절대적인 객관성을 입증하라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학생 한 명 한 명에 대한 평가이지 학생들을 서로 비교하기 위한 평가가 아니라는 점이다.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는 ‘형식적 틀’로 강제되고 있는 ‘객관성’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수업 혁신이 나아갈 방향은 대체로 학생의 발달을 위해 수업 과정에서 근접발달영역을 창출하고, 차시 수업에서 단원, 주제별 긴 호흡으로 가는 수업, 학생들의 토론, 참여, 배움이 가능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되는 수업, 체험-탐구-표현을 담는 수업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