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0516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17-11-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 여는 글
1장 혁신학교의 출현과 성장
혁신학교의 발단・전개・특징•송순재
이미 시작한 본보기 미래학교, ‘혁신학교’•손동빈
2장 민주적 학교와 행정의 유기체적 전환
행정 중심에서 교육 중심의 학교로•강민정
민주적 리더십이 살아 있는 학교•강민정
공동체 생활협약 이야기•윤우현
학부모와 함께 하는 교육•이희숙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혁신학교•강민정
3장 삶을 위한 교육과정
학생과 교사가 주인이 되는 교육과정의 혁신•이부영
삶의 교육과정 함께 만들기•김정안
4장 함께 만드는 수업과 평가
서로 배우고 성장하는 수업•강민정
전문가학습공동체•강민정
살아 있는 협동학습•이상우
학생이 중심 되는 프로젝트 수업•이수미
성장과 발달 중심의 평가•손유미
5장 독서・연극・노작 수업
교육혁신과 독서•백화현
교육연극으로, 삶에 대화를 건네는 수업•구민정
몸과 마음을 살리는 노작교육•이부영
6장 스승을 찾아서
성래운 교육론 짚어 보기•이주영
이오덕 교육론 짚어 보기•이주영
7장 혁신학교를 위한 또 다른 상상력
헬레네랑에슐레•송순재
덴마크 자유교육 개방성, 유연성, 다양성에 대하여•송순재
온전한 성장을 돕는 발도르프 교육•최미숙
공교육의 생명철학적 전환: 프레네 교육•김세희
프레네 교육의 혁신 사례•김세희
배움의 공동체•엄미경
저자소개
책속에서
‘혁신학교’는 2009년 이후 등장한 교육감들의 정책으로 구현되기 시작했다. 즉 2009년 경기도 교육감 보궐 선거 이후, 학교혁신을 위해 전국 시.도 교육청 정책으로 제시된 학교를 일컫는다. 이 혁신학교는 어느 날 갑자기 한두 사람의 아이디어를 통해 나온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학교교육개혁운동의 역사적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연구학교뿐만 아니라, 열린학교운동, 대안학교운동, 참교육실천운동, 작은학교운동 등 숱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축적된 학교개혁의 경험들이 서로 짝을 맞추어 완성해 가는 퍼즐 같은 실천운동이다. 따라서 혁신학교는 특정한 이론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틀거리를 통해 실천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정책이다. -<이미 시작한 본보기 미래학교, ‘혁신학교’>에서
실제로 생활협약을 하면서 학교문화가 많이 바뀌었다. 학생들은 5년 동안 생활협약을 만들고 운영하면서 ‘학생 중심의 학교’, ‘민주주의 학교’라는 표현을 하기 시작했고, 이제는 생활협약을 한다는 것 자체가 큰 자랑거리이자 자부심의 바탕이 되고 있다. 국사봉중학교를 다닌다는 이유만으로 자기비하를 일삼던 몇 년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자존감이 높아졌고, 학교생활이 뿌듯하고 즐겁다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학생들의 자치활동의 내용도 행사 운영이나 대의원회의 등에 머물렀던 과거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양적, 질적으로 심화, 확대되었다. 일상적으로 생활협약을 운영해 나가는 과정 하나하나가 모두 자치활동이기 때문이다 -<공동체 생활협약 이야기>에서
학교는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지역은 복지라는 관점에서 상호 협력적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학교 안이든 밖이든 ‘지역에서 제일 좋은 것은 아이들에게!’라는 구호가 모든 이들의 마음에 공유되면 아이들의 행복뿐 아니라 미래 사회의 행복도 동시에 만들어질 수 있다. 존중받는 아이들이 다른 사람을 존중할 줄 알게 되고, 상호 존중이 살아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다. 우리나라만큼 아이들 교육에 대한 열의와 투자를 많이 하는 나라가 없다. 다만 그것들이 철저하게 개별화되고 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문제다. 교육에 대한 열정과 지원을 내 아이라는 울타리가 아니라 우리 아이들 전체를 위해 쏟으면 학교와 지역이 동시에 살아난다.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혁신학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