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항 (지은이)
정보 더보기
忠南 牙山 出生
서울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文學博士
德成女子大學校 助敎授, 成均館大學校 敎授, 國語學會·韓國語文敎育硏究會 會長, (社)韓國語文會 理事長 歷任
2018년 현재 成均館大學校 名譽敎授
자랑스러운 서울인상, 韋菴學術賞, 世宗文化賞, 東崇學術賞, 제10회 용재상,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저서로는 『國語學史』(1990, 보성문화사), 『鷄林類事 高麗方言 硏究』(1990, 성균관대학교출판부), 『朝鮮館譯語 硏究』(1995, 성균관대학교출판부), 『訓民正音硏究』(1987/수정증보 2003,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의 운서』(2000, 태학사), 『韓國의 譯學』(2000, 서울대학교출판부), 『韓漢音韻史 硏究』(2003, 태학사), 『오늘날의 국어생활』(2007, 박이정), 『國語學散稿』(2007, 월인), 『增補補遺篇 韓漢音韻史硏究(2017, 월인)』 등이 있다.
펼치기
김슬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훈민정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종국어문화원 원장, 한국외대 객원 교수, 한글학회 이사,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전문위원, 한글닷컴 한글 연구소 소장으로 일하며 한글과 훈민정음을 알리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 작업을 비롯해 『한글학』 등 우리 말과 글에 관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 집필했다. 세종문화상 대통령상과 외솔상, 연인문인상, 대한민국 한류대상 등을 받았다. 2018년도에는 방탄소년단과 함께 한글 으뜸 지킴이로 뽑혔다.
펼치기
간송미술문화재단 ()
정보 더보기
2000년대 들어서 문화 예술에 대한 대중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전통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으로 확산되었다. 이런 흐름의 중심에 간송미술관이 있었다. 그러나 1938년에 건축된 간송미술관 건물과 시설에 부담을 주기 시작했고, 정기전시 기간 중 관람객들의 큰 불편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최근의 변화로 인해 40여 년간 이어져 온 한국민족미술연구소/간송미술관의 연구활동과 일반공개 전시회가 변화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는 판단 아래 오랜 기간의 고민과 준비기간을 거쳐 2013년 8월에 「간송미술문화재단」(이사장 전성우)이 출범하였다.
간송과 간송미술관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호응에 부응하기 위함만 아니라, 간송의 염원이었던 민족문화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그 토대를 다지기 위함이다. 이에 재단은 비영리 공익법인으로서 간송 소장품의 보존과 연구, 전시와 아울러 미술 문화 전반의 발전을 위한 적극적 후원을 설립 취지로 하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