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범죄문제
· ISBN : 9788997454112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4-05-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1장 행복했던 가정이 어느 날 갑자기 무너졌다
경찰서에서 갑자기 걸려온 전화 한 통 15 / 믿기지 않는 남편의 고백 17 / 남편의 체포와 언론 보도 19 / 자택을 둘러싼 방송국 중계차 22 / 입을 다문 가해자 가족 24 / 뉴스가 무섭다 26 / 매스컴의 공세에 분노한 주민들 27 / 직장에서 대면한 기자 31 / 범인의 부인에게도 책임이 있는 것일까 33 / 변호사를 어떻게 구할까 35 / ‘살인자의 집’ 38/ '자식도 죽여버리자' 40 / 학교의 냉담한 반응 42 / 한밤중, 교정에서의 ‘이별’ 44 / 전학을 가도 불안은 사라지지 않는다 46 / 가해자 가족은 이렇게 고립된다 49 / 세상 모르고 지내는 교도소의 남편 51 / 가해자 가족의 대출 생활 55 / 아이 때문에 살아간다 57
2장 가해자 가족이 겪는 다양한 사례
여아유괴 연쇄살인사건 ①증언자 63 / 여아유괴 연쇄살인사건 ②체포 통지 65 / 여아유괴 연쇄살인사건 ③초췌해진 부친 68 / 여아유괴 연쇄살인사건 ④친척에게 끼치는 영향 71 / 여아 유괴 연쇄살인사건 ⑤부친의 자살 73 / 고베 연쇄 아동살상사건 _ 피해자의 이름도 모르는 가해자 부친 76 / 와카야마 독 카레 사건 ①낙서 80 / 와카야마 독 카레 사건 ②방화 83 / 5천만 엔 갈취 사건 ①부친의 직장에서 85 / 5천만 엔 갈취 사건 ②누이에 대한 공격 87 / 나가사키 남아유괴 살인사건 ①부모도 참형에 89 / 나가사키 남아유괴 살인사건② 파문의 확산 92 / 지하철 독가스 사건 ①이중의 고통 94 / 지하철 독가스 사건 ②넷째 딸의 고백 96 / 지하철 독가스 사건 ③매스컴에 의한 누명 99 / 야마나시 유아유괴 살인사건 102 / 나고야 여대생 납치살인사건 104 / 무죄가 밝혀져도 인생은 끝장난다 107 / 아키타 연쇄 아동살해사건 109 / 교통사고로 인한 비극 ①자살한 가해자 가족 112 / 교통사고로 인한 비극 ②오빠의 죄를 뒤집어 쓴 동생 114 / 교통사고로 인한 비극 ③시청에 쇄도한 비난 116 / 조류 인플루엔자 -농장 주인의 비극 118 / 가해자 가족에 대한 최초의 전국 조사 121 / 이중의 고통 ‘가족 내 살인’ 123
3장 사이버 세계에서 행해지는 폭력
고양이 학대사건 ①인터넷의 위협 129 / 고양이 학대사건 ②개인정보의 유출 131 / 고베 연쇄아동살상사건 - 사이버 폭력의 등장 133 / 영국인 여성 살해사건의 피고인 가족 136 / 가해자 가족의 복장에도 비난 쇄도 139 / 고서점 주인이 직면한 이상한 사회 141 / 2채널의 ‘신神’들 143 / 법무성 인권옹호국 데이터로 알 수 있는 것 146 / 블로그 등 사적 공간에서 행해지는 공격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 148
4장 가해자 가족을 둘러싼 사회
책임을 회피하는 부모들 155 / 대부분은 부모에게 책임이 있다 157 / 비난과 공감의 경계 159 / 자녀가 가해자가 되기 전에 보내는 신호 ① 161 / 자녀가 가해자가 되기 전에 보내는 신호 ② 163 / 자녀가 가해자가 되기 전에 보내는 신호 ③ 166 /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168 / 자녀가 가해자가 되기 전에 보내는 신호 ④ 171 / ‘세상’의 공포 173 / 일본 사회에 잠재된 보이지 않는 손, '무라샤카이' 176 / 피해자도 공격당한다 179 / 불안한 범죄 사회 181 / 가해자 가족을 취재한 기자의 고뇌 184 / 위험한 발상, 보도규제론 186 / 억울한 죄일지라도 가족은 괴롭다 189
5장 가해자 가족에게 필요한 것들
영국의 가해자 가족 지원 조직 195 / 가해자 자녀들과 마주하다 197 / 가해자의 자녀들이 함께 만나는 오스트레일리아 199 / 미국의 가해자 가족 ①놀라운 사실 202 / 미국의 가해자 가족 ②수감자에게 ‘가족’의 의미를 알려준다 204 / 일본의 가해자 가족 ①NPO 설립 206 / 일본의 가해자 가족 ②출발점은 피해자 지원 209 /일본의 가해자 가족 ③ 원의 어려움 211 / 갱생론과 복지론 213 / 범죄와 사회적 유대이론 215 / 피해자 지원으로 본 가해자 가족 217
맺는말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