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97724048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목차
서문 … 9
도입 … 15
이 책에 대하여 … 16
제1장 비전 설정의 힘
미래에 대한 두려움 극복하기 … 23
미래지향적 비전 만들기 … 24
지식기반 및 미래지향성 개발하기 … 24
바라는 미래의 비전 만들기 … 26
미래지향적 가공물 창출하기 … 36
결론 … 42
제2장 비전에서 미션으로
교육효과 확인하기 … 44
교육효과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기 … 47
교육효과 평가하기 … 47
IOI 프레임워크 만들기 … 51
결론 … 55
제3장 미션에서 실행으로
백워드 설계 … 58
교육과정 개발 … 58
교육정책 … 60
백워드 설계 템플릿 … 64
사례연구: 자기주도학습자 육성하기 … 69
1단계 … 69
2단계 … 71
3단계 … 73
시스템에 대한 시사점 … 74
모든 단계의 정렬 … 78
결론 … 79
제4장 미래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21세기 교육과정 매핑 … 82
교육과정 청사진 … 84
전이목표로서의 교육효과 … 85
포괄적인 이해 및 본질적 질문 … 89
초석과제 … 97
결론 … 98
제5장 미래학습을 위한 평가시스템
효과적인 평가의 원칙 … 102
목표 유형 … 106
수행영역과 수행지표 … 110
초교과적 교육효과 평가 … 114
초석과제 … 118
초석과제 맵 … 125
루브릭 … 131
결론 … 134
제6장 미래학습을 위한 수업
학습원리 … 136
최고의 학습 훈련 … 140
학급 수준 수업의 백워드 설계 … 143
습득 … 144
의미 만들기 … 145
전이 … 146
학습계획의 백워드 설계 … 149
마음습관 기르기 … 150
과학기술과 학습의 연계 … 154
학습을 개인화하기 … 159
오늘날의 학습자를 위한 인지도구 … 162
사고도구 … 163
학습에 대한 학습도구 … 166
결론 … 171
제7장 미래학습을 위한 통지시스템
통지표: 목적과 약속 … 175
성취 … 177
진전 … 179
학업습관 … 180
러닝보드 개념 … 181
테드의 러닝보드 … 185
수행 추적 … 187
프로젝트 기획과 관리 … 190
콘퍼런스 … 191
목표 설정 … 191
학생이 제공하는 증거 … 192
전인교육 … 194
교사와 학부모 데이터 수집 … 195
어떤 하루 … 196
결론 … 199
부록
부록 A 미래지향적 사고도구와 프로세스 자료 … 203
부록 B 21세기 역량의 수행지표 예시 … 205
협업 … 206
의사소통 … 208
창의적 사고 … 211
비판적 사고 … 215
문제해결 … 218
자기주도학습 … 223
부록 C 평가원칙 예시 … 227
목적의식 … 227
잘된 설계 … 229
학습 중심 … 231
참고자료 … 233
도표와 표 목록 … 238
찾아보기 … 240
저자소개
책속에서
21세기라는 현실의 도전에 대처하고 이를 활용하는 미래교육을 제공해야 할 때이다. 그러나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21세기에 살고 있지만, 교육기관은 19세기 또는 20세기에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 과거의 사고관점이 21세기까지 우리를 따라왔다. 그것은 우리의 교육관을 형성하고 우리의 행동을 규정하는 집요한 힘으로 계속 작용하고 있다. (……) 새로운 교육은 인간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발견?왜 배우는지, 어떻게 배우는지, 어디서 배우는지?으로 시작해야 한다. 그것은 오늘날 우리가 가진 자원, 세계적으로 연결된 사회에서 활용될 수 있는 모든 학습기회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새로운 결과, 즉 21세기에 대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두를 위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는 사람들도 고려해야 한다.
저자들은 21세기 학습을 위한 교육을 재설계하기 위해 학교가 따라 할 수 있는 설계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이 프로세스는 학교가 전략적인 움직임에 참여하도록 안내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21세기에 요구되는 새로운 유형의 교육으로 이끌어준다. 비전에서 미션으로, 그리고 미션에서 구체적 실천에 이르기까지, 저자들은 풍부한 증거, 입증된 전략, 실용적인 도구들로 학교를 재설계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 이것이 좋은 청사진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광범위한 실제 전략과 행동 그 이상의 것이기 때문이다. 제안된 전략과 행동 이면에는 탄탄한 연구 기반이 있고, 이러한 전략과 행동이 달성해줄 야심찬 목표가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저자들이 멀고 추상적이고 웅대한 야망과, 현재의 즉각적이고 작은 단계 사이에 다리를 놓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완전히 새로운 교육의 설계라는 어려운 과업을 달성 가능한 것으로 만들고 있다.
이 책은 가장 중요한 질문을 고찰한다. 즉, 요구되는 교육변화를 어떻게 하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방식으로 결정하고 시행할 수 있을까? 우리는 프로세스에 초점을 두고 기여하고자 한다. (……) 이 책은 7개의 장으로 구성되었고 각 장은 길잡이 질문으로 시작된다. 처음 3개의 장에서는 비전에서 미션, 미션에서 실행으로 옮겨가는 방법, 그리고 우리가 책 전반에 걸쳐 사용하는 두 가지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소개한다. 하나는 ‘투입(Input)-산출(Output)-교육효과(Impact)라는 IOI이고, 나머지 하나는 ‘백워드 설계(backward design)’이다. 그다음 4개의 장에서는 종합적인 교육시스템의 핵심 요소 4가지, 즉 교육과정(curriculum), 평가(assessment), 수업지도(instruction), 성적통지(reporting)에 대해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