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과정 이론에서 실천으로의 여행

교육과정 이론에서 실천으로의 여행

(숙의적 교육과정의 부활)

Wesley Null (지은이), 강현석, 이원희, 유제순, 조인숙, 김필성, 정수경, 이지은, 윤지원, 경북대학교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옮긴이)
한국문화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600원 -10% 1280원 21,760원 >

책 이미지

교육과정 이론에서 실천으로의 여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과정 이론에서 실천으로의 여행 (숙의적 교육과정의 부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과정/교육평가
· ISBN : 978896817418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6-10-10

책 소개

Wesley Null이 2011년에 집필한 <Curriculum: From theory to practice>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본 저서에서 저자의 관심은 교육과정 이론을 실천으로 전환할 때 좋은 교육과정과 교수를 구성하는 절충점에 있다.

목차

역자 서문
머리말
저자 서문
감사의 말
독자에게 한 마디

서 론 교육과정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교육과정 대 교육
교육과정 질문
교육과정이 중요한 이유
자유해방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이 책의 논지와 구조
책의 개요
토론 문제

PART I. 교육과정 전통

제1장 모두를 위한 자유교양 교육과정으로 나아가기

자유교양 교육과정의 기원
기독교 시대와 자유교양 교육의 이념
민주주의 도래
보편적 자유교양 교육과정과 숙의
John Dewey와 민주적 교육
교육과정에서 Joseph Schwab의 도전
교육과정의 다섯 가지 공통요인
왜 공통요인의 언어인가?
공통요인 1: 교사
공통요인 2: 학습자
공통요인 3: 교과
공통요인 4: 맥락
공통요인 5: 교육과정 구성
교육과정 구성자를 위한 지도
수평축
수직축
교육과정 지도와 다섯 가지 교육과정의 전통
토론 문제

제2장 체제적 교육과정
낙오아동방지법과 체제적 교육과정
체제로서의 교육과정 기준
체제적 교육과정 전통의 배경
John Franklin Bobbitt
Werrett Wallace Charters
자유 시장 체제와 교육과정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체제적 교육과정과 공통요인
교사
학습자
교과
맥락
교육과정 구성
결론 : 체제적 교육과정의 장점과 단점
토론 문제

제3장 실존주의 교육과정
Alfie Kohn과 개인적 선택으로서의 교육과정
Maxine Greene과 실존주의 교육과정
Elliot Eisner와 예술적 실존주의
실존주의 교육과정의 배경
G, Stanley Hall과 발달적 교육과정
William Heard Kilpatrick과 프로젝트 기반 교육과정
실존주의 교육과정과 공통요인
교사
학습자
교과
맥락
교육과정 구성
결론: 실존주의 교육과정의 장점과 단점
토론 문제

제4장 급진적 교육과정
Michael Apple과 급진적 교육과정
공식적 지식
이데올로기와 교육과정
Paulo Freire와 급진적 교육과정
억압받는 자들의 교육
급진적 기독교 교육과정
급진적 교육과정의 배경
George Counts
과연 학교가 새로운 사회질서를 구축할 수 있을까?와 교육과정
Harold Rugg와 급진적 사회과 교육과정
급진적 교육과정과 공통요인
교사
학습자
교과
맥락
교육과정 구성
결론: 급진적 교육과정의 강점과 약점
토론 문제

제5장 실용적 교육과정
Ted Sizer와 실용적 교육과정
Horace Smith의 교육과정 타협
Sizer의 실용적인 체제
Harry K. Wong과 실용적 교육과정
실용적 교육과정의 배경
John Dewey 실용적 교육과정의 철학적 근거
1890년대의 Dewey
1916년의 Dewey
대공황 시대의 Dewey
Ralph Tyler와 실용적 교육과정
Tyler와 교육과정 숙의의 근원
실용적 교육과정과 공통요인
교사
학습자
교과
맥락
교육과정 구성
결론: 실용적 교육과정의 강점과 약점
토론 문제

제6장 숙의적 교육과정
William A. Reid와 숙의적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대한 생각??
교육과정과 자유교양 교육에 대한 Reid의 견해
Ian Westbury와 숙의적 교육과정
자유교양 교육에 대한 Westbury의 입장
교양, 교수법, 교육과정에 대한 Westbury의 입장
숙의적 교육과정의 배경
Joseph Schwab의 교육과정에 대한 도전
Schwab 그리고 숙의
Richard McKeon: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수사학과 인본주의
수사(학)와 전근대적인 교육과정에서 McKeon
이론과 실천의 관계와 숙의에 대한 McKeon의 입장
숙의적 교육과정과 공통요인
교사
학습자
교과
맥락
교육과정 구성
결론 : 숙의적 교육과정의 강점과 약점
토론 문제

PART II. 이론에서 실천으로

제7장 우리는 주 교육과정 기준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

교육과정 기준의 아이디어
Jesse Parker: 고등학교 역사 교사
Parker의 문제를 해결하기
Kathy Waterman: 사회과 부장
Waterman의 문제를 해결하기
Michell Ochoa: 5학년 교사
Ochoa의 문제를 해결하기
토론 문제

제8장 우리는 대학에서 어떻게 중핵 교육과정을 다시 제도화할 수 있을까?
Northern State University
Martin Fitzgerald 박사
Fitzgerald 학장이 직면한 문제 해결
교수 지원의 결여
교육과 연구의 균형성 결여
한정된 재원
Smithville College
Elizabeth Rankin 총장
Rankin 총장의 문제 해결법
다양성의 문제(관심사)
적절한 교육과정 주장
“왜 보다 많은 종교가 필요한가”에 대한 비판
토론 문제

제9장 더 나은 교사교육 교육과정을 만들어내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
Western State University
John Mason 학장
WSU: 맥락
Jenice Longfellow 총장
Ronnie Lopez 박사
Barry Barnett 교무처장
Michael Leadbetter 학장
Mason 학장의 문제 해결하기
Freedom Hill College
Martin Westland 총장
Eugene Barker 학장
조교수, Theresa Moore 박사
Westland 총장의 문제 해결방안
Theresa Moore 박사의 문제 해결방안
토론 문제

제10장 모든 교육과정 전문가들에게 호소함 : 가치와 숙의 교육과정의 미래
전근대적 전환과 교육과정 숙의
가치와 교육과정 구성
John Amos Comenius와 모두를 위한 자유해방 교육과정
토론 문제

부록
Notes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역자 소개

저자소개

Wesley Null (지은이)    정보 더보기
Baylor대학교의 교육대학과 명예대학의 부교수이다. 그는 교육대학에서 교육과정 이론과 교육사를, 명예대학에서는 위대한 텍스트를 가르치고 있다. 그는 또한 Baylor 명예대학의 부학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원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에서 교육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위스콘신 오클레어 대학에서 연구한 바 있다. 안동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대구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초등교육학회장, 한국교육과정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펼치기
김필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을 전공하였으며, 동대학원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방법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경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기획하였으며, 전주대학교에서는 교수학습 혁신 방안을 설계·운영했다. 이후 경북대 학교에서는 고등교육 혁신정책을, 현재 근무하고 있는 조선대학교에서 는 전공 및 교양 교육과정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질적 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아빠는 죽어도 학원은 죽지 않는다. 한국 최고의 학원 TOP 7, 비약물요법 전승양태 질적 연구: 한국 접골사 구술생애사 연구 등이 있고, 역서에는 브루너, 유아교육이론의 새 지평, 교육과정 탐구방법론, 교육과정 이론에서 실천으로의 여행: 숙의적 교육과정의 부활 등이 있다.
펼치기
조인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주 매쿼리대학교 영어교육학 석사, 경북대학교 교육학(교육과정)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더노크 교육연구소(예비사회적기업) 대표이사며, 경북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대구가톨릭 대학교에서 ‘교육과정’을 강의하고 있다. 『교육과정 이론에서 실천으로의 여행』, 『교육과정탐구방법론』,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내러티브탐구의 이해와 실천』, 『내러티브, 학교교육을 다시 디자인 하다』, 『영어로 말하는 영어수업 TEE』, 『어린이 영어지도사』,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등의 역서와 저서가 있다.
펼치기
이지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학사 멕시코 몬테레이대학교 수학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 박사 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강사
펼치기
정수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현 경북대학교 외래교수
펼치기
윤지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구교육대학교 석사 졸업 현 경북 봉화 도촌초 교사 현 경북대학교 박사과정
펼치기
경북대학교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윤복 경북대학교 교육과정 박사, 대전동명초등학교 교사 신경애 경북대학교 교육과정 박사, 경북대학교 외래교수 전호재 경북대학교 박사수료 정상원 경북대학교 박사수료, 초등학교 교사 송경화 경북대학교 박사수료, 초등학교 보건교사 배은미 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초등학교 교사 김태수 경북대학교 박사수료, 중학교 교사 김단영 경북대학교 박사과정 신혜원 경북대학교 석사과정
펼치기

책속에서

PART I
교육과정 전통: Curriculum Traditions
제1장. 모두를 위한 자유교양 교육과정으로 나아가기

자유교양 교육과정(Liberal Curriculum)은 수세기 동안에 걸쳐 형성된 교육과정과 교수(teaching)에 대한 하나의 이념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잊힌 교양교육의 자유교양(liberal)이라는 용어는 현대 정치 또는 뜨거운 논란거리의 좌파 성향과 아무런 관계도 없다. 교양교육은 둘이상의 학문 분야에 걸쳐 접근하는 교육과정과 교수법으로 자유로운 마음(liberating minds)이라는 목표를 추구한다. 그래서 교양교육은 더욱 충분히 인간적이게 되고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고 시민에게 리더십을 함양해 준다고 간주한다. 교양교육은 주입식 교육을 반대한다. 자유롭게 교육된 시민은 단순히 다른 견해를 암송하지는 않는다. 그러한 성향은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숙의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자신의 관점을 조심스럽게 발전시키면서 논쟁과 설득력 있는 근거를 지지하는 것을 배운다.
교양교육은 세대와 지리적 경계를 가로질러 교양교육과정의 아이디어에 닿아있다. 최소한 기원전 4-5세기 동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 기원을 둔다. 이 관점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데 꼭 맞는 진정한 교육의 의미는 인간의 본성과 리더십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리더는 행복과 조화를 통한 사회공동체에 의해 만들어진다. 학생들에게 지식과 진실을 추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분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자유로운 사상가들 안으로 교양교육과정을 되돌려주어야 한다. 자유로운 마음이 된다는 것은 전통과 목적의 잘 구상된 관점 위에 우리의 판단의 기초를 둠과 동시에 자주적으로 사고하는데 우리의 마음을 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자유롭게 교육된 시민들은 그들의 판단이 추론에 기초한다는 것을 배운다. 그것 때문에 자신의 욕망과 열정에 굴복하고 다른 사람의 명령을 따르거나 한낱 물질적 풍요를 추구하는 것으로부터 거리를 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추론의 재능은 다른 창조물과 인간을 구분한다. 비이성적인 존재는 단순히 자극에 반작용한다. 그런 존재는 절대로 진정한 사고 또는 숙의에 관여하지 않는다. 인간이라는 존재는 교양교육과정을 습득하게 되면 생각하고 말하고 숙의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스스로 판단하고 추론하는 능력을 일깨우는 경험을 하지 못한 어떤 몇몇 사람들은 얕은 생각과 원초적인 반작용 상태에 머문다. 모든 인간은 추론의 재능을 타고 났기 때문에, 어떤 교양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은 말하고 설득하고 훈련하는 것 같은 다른 능력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이성적 사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민주주의 정부에서 교양교육은 모든 시민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교양교육의 이념으로 그 목적이 성취되기 어렵다. 교육과정에서 교양교육 이념을 근원으로 하는 교과에 대하여 우리가 충분한 태도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쟁점의 제언을 위해 Part I 교육과정: 이론에서 실천으로는 다른 방식으로 교육과정에 관한 질문에 답해주는 다섯 가지 전통에 초점을 맞춘다. 다음으로 Part II는 공통 교육과정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특정 사례를 소개한다. Part I에서 다섯 가지 전통을 설명하기 전에 첫 번째 단계는 교양교육과정의 독자적인 전망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 이론에 주목하는 것은 우리가 성취하고자 노력하는 이념을 이해하고, 또한 왜 이러한 이념을 실제 안에서 적용시켜왔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8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