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724314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4-04-2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저자 서문
들어가며
1장 부족교실 만들기
[이론 속으로]
부족의 기원에 대한 이해 | 부족교실 | 소속감 | 스토리텔링 | 사회적 뇌 |
애착기반 교수법 | 아동기 부정적 경험 | 긍정적 관계
[실행 속으로]
팀 깃발 만들기 | 긍정적인 인사와 하루 마무리 | 사회적 스킬 가르치기 |
유머와 게임 | 숙박 체험 및 야외 활동
2장 마음챙김
[이론 속으로]
서구사회에서 마음챙김의 기원 | 마음챙김이란 | 자동조종과 마음의 방황 |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
| 투쟁-도피 반응 | 불안, 우울, 그리고 마음챙김 | 아동 및 청소년 대상 마음챙김 연구
[실행 속으로]
교실에서 마음챙김 실천하기 | 마음챙김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 |
명상 지도 | 마음챙김 명상법
3장 긍정적 경험에 집중하기
[이론 속으로]
부정적 편향성 |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 | 긍정적 감정 | 감정다양성 |
뇌 회로를 재연결하기 | 세 가지 좋은 일 | 감사하기 | 과거와 미래를 음미하기
[실행 속으로]
좋았던 일 말하기 | 감정탐정 되어보기 | 감사편지 쓰기 | 명상 즐기기 | 축복 세어보기 | 마음의 시간여행
4장 신경가소성, 유연하고 탄력적인 뇌
[이론 속으로]
신경가소성 | 뇌는 컴퓨터와 다르다 | 학습과학 | 신경 다윈론 |
뇌에 관한 기본적인 몇 가지 사실 | 행복 호르몬 | 뇌 건강
[실행 속으로]
신경과학에 대한 기초 수업 | 브레인 목표 설정하기 | 인출 연습 | 뇌 점토모형 만들기 |
뇌 건강 관리하기 | 행복 호르몬 포스터
5장 도전지대
[이론 속으로]
도전지대 | 스트레스, 그리고 도전지대 | 도전지대의 고군분투 | 성장형 사고관점 |
신경가소성에 관해 가르치기 | 과정에 대해 칭찬하기 | 미로 속의 쥐 실험
[실행 속으로]
도전지대 게시판 | 맞춤형 피드백 제공하기 | 아름다운 실수 | 공황지대 벗어나기 |
실패에서 배우기 | 펭귄처럼 해보자 | 유큐브드
6장 몰입과 강점
[이론 속으로]
몰입이란 무엇인가 | 몰입의 이점 | 몰입하기 힘든 수업 환경 | 강점이란 무엇인가 | 강점을 찾아내는 교실
[실행 속으로]
몰입 경험에 대해 말하기 | 개별화 지도 | 의미 있는 학습 만들기 | 몰입을 높여주는 활동 | 강점 찾기 활동
7장 친절은 멋지다
[이론 속으로]
친절이라는 유전적 설계 | 친절의 이점 | 긍정의 선순환 | 친절한 품성
[실행 속으로]
친절을 베푸는 멋진 일주일 | 학교 밖으로 확장된 친절 베풀기 | 선한 행동 나눔판 | 기금 모금 행사 | 친절 명상
8장 디지털 웰빙
[이론 속으로]
디지털 원주민 | 디지털 기기와 신체건강 | 소셜 미디어와 정신건강 |
사이버폭력과 사회적 비교 | 온라인 활동의 긍정적인 측면
[실행 속으로]
온라인 안전 | 디지털 디톡스 | 디지털 시민의식 | 온라인 문제 발생 시 대처법 |
가정에서의 건강한 디지털 습관 | 온라인 활동에 대해 마음챙김하기
9장 생각이 현실을 만든다
[이론 속으로]
낙관주의 | 설명 양식 | ABC 모델 | 관점바꾸기 | 점화
[실행 속으로]
오늘의 한 마디 | 낙관주의 설명 양식 형성하기 | 마음소리 골목 | 음악
10장 운동은 즐거워
[이론 속으로]
운동 부족 문제 | 부모의 영향 | 약이 되는 운동 | 적정 운동량
[실행 속으로]
날마다 1마일 | 조금 덜 앉아있기, 조금 더 움직이기 | 학부모 및 보호자의 참여 |
힌두 스쿼트 | 고누들(GoNoodle) | 요가 | 댄스
11장 자연 속의 치유
[이론 속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자연 | 자연과의 단절, 그리고 기후 불안증 | 삼림욕 |
스트레스, 수면, 면역체계 | 인지, 학습, 행동 | 행복
[실행 속으로]
야외 학습 | 밖에 나가 놀기 | 학교에 녹지 조성하기 | 교실에서 식물 기르기 | 야외 미술 수업 | 자연욕 | 학교 농장
12장 교사의 웰빙
[이론 속으로]
교사의 웰빙 챙기기 | 교사의 웰빙이 왜 중요한가 | 충분히 좋은 교사 | 완벽주의라는 장벽 | 오랜 습관에서 벗어나기
[실행 속으로]
교사 자신의 삶에도 적용하기 | 작은 변화를 꾸준히 이어가기 | 단순화하기 | 유연 근무 | 에너지 충전 활동 찾기 |
과부하 상태에서 벗어나기 | 유머 | 중요한 것에 집중하기 | 용감해지기
참고 도서 및 사이트
참고 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어쩌면 행복은 일종의 스킬이라고 볼 수 있다. 연습하고, 숙련하고, 다듬어나가야 할 스킬 말이다. 달라이 라마(Dalai Lama)는 말한다. “행복은 이미 정해진 것이 아닙니다. 당신의 행동에서 비롯됩니다.” 그러니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스킬로 독서, 글쓰기, 수학 외에 행복을 위한 스킬을 추가해봄직하다. 이 책은 이러한 스킬을 더 자세히 살펴보고, 아이들에게 어떻게 이를 가르쳐야 할지 안내한다.
우리 모두가 행복을 원하고, 행복해지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했다면, 이제 학교는 아이들에게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스킬을 가르쳐야 마땅하다. 이것이야말로 바로 교육의 목적이어야 하지 않을까. 아이의 행복은 학업 성적 이상의 더 크고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도 있다.
결국 아이들을 어떻게 양육하느냐가 아이들에게 명시적으로 무엇을 가르치느냐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리학 교수 앨리슨 고프닉(Alison Gopnik)은 ‘아이들은 실제로 양육자가 의식적으로 보여주는 행동에서보다 그들의 무의식적인 사소한 행동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운다.’라고 말한다(Gopnik, 2016, p.90). 부족교실을 만들 때 명심할 점은 아이들에게 그들이 본받을 만한 좋은 예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부족의 분위기가 아이들의 뇌 발달과 웰빙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도 새겨두어야 한다. 부족의 지도자로서 교사들은 부족원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