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8899776313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7-03-10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1장. 중국의 역사
• 개괄
1. 고대에서 근대
2. 청말 이후 현대사
2장. 중국 최고 지도자들의 리더십
• 개괄
1. 마오쩌둥
2. 덩샤오핑
3. 장쩌민
4. 후진타오
3장. 시진핑과 중국
• 개괄
1. 시진핑의 등장
2. 시진핑의 중국의 꿈
3. 시진핑의 일대일로
4. 시진핑의 리더십과 중국의 미래
5. 한중 우호와 동반자 정신
4장. 대륙의 리더 시진핑
• 개괄
1. 혁명군의 아들로 태어나다
2. 량자허에서 리더의 기본기를 익히다
3. 정딩현에서 기층 민중 리더가 되다
4. 샤먼, 닝더, 푸저우의 리더가 되다
5. 푸저우시의 리더가 되다
6. 푸젠성의 리더로 발돋움하다
7. 중국의 리더,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다
5장. 시진핑 리더십
• 개괄
1. 섬기는 리더십
2. 원칙의 리더십
3. 공평과 정의 리더십
4. 함께하는 리더
5. 환경의 리더십
6. 도덕적 리더십
7. 비전의 리더십
8. 긍정적 신념의 리더십
9. 국방안보의 리더십
10. 변혁의 리더십
11. 경제개발 리더십
12. 협치의 리더십
13. 창의적 리더십
14. 공동체 리더십
•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진핑의 리더십과 더불어 중국 지도자들의 리더십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시진핑의 리더십은 시진핑 개인의 리더십만은 아니다. 시진핑의 리더십은 멀게는 중국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가깝게는 중국공산당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이다. 중국의 정치 리더십이 주목받는 이유는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창조성과 실천성 때문이다. 번스가 지적했듯이 중국혁명의 리더십은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는 아주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2장_중국 최고 지도자들의 리더십’ 중에서>
2012년 11월 공식적으로 출범한 시진핑 정부는 ‘중국의 꿈’을 대대적으로 알리기 시작했다. 먼저 그동안 중국의 꿈이 무엇이었는지를 대략 살펴보자. 덩샤오핑 시대에는 우선 문화대혁명 때의 악몽을 극복하고 먹고사는 것부터 해결하는 게 목표였다. 그래서 개혁개방을 시작한 것이다. 장쩌민 시대에는 ‘아시아 강대국’이, 후진타오 시대에는 ‘세계 강대국’이 꿈이었다. 그렇다면 시진핑의 ‘꿈’의 실체는 무엇일까?
1953년 출생인 중국의 제5세대 지도자 시진핑이 ‘중국의 꿈’이라는 국가발전 비전을 처음 제시한 것은 총서기 취임(2012년 11월 제18차 당대회) 후 보름 만에 ‘부흥의 길’ 제하 전시회에서 행한 연설에서였다. 거기서 그는 “건국 100주년인 2049년에 국가 부강·민족 부흥·인민 행복에 주안을 둔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 가장 위대한 중국의 꿈”임을 천명했다. 이때부터 ‘중국의 꿈’은 시진핑의 개혁과 중국의 미래를 점칠 수 있는 핵심 키워드가 되었다.
<‘3장_시진핑과 중국’ 중에서>
시진핑 정부는 공산당 18차 당대회를 통해 향후 10년 동안 중국이 추진할 국가발전전략과 주요 방침을 결정했다. 시진핑 정부의 국가발전전략은 후진타오 정부의 전략을 계승, 발전한 것이다.
중국의 국가발전전략이 20년 동안 일관되게 추진된다는 점은 매우 높이 살 만하다. 이는 몇 가지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장기적인 정책의 수립과 집행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국가정책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급변하는 국내외 상황에 대처해 신속하고 융통성 있게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긴 안목에서 전 영역을 포괄하는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중국처럼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이행이 아직 끝나지 않은 나라는 이러한 장기계획이 필요하다. 현재 중국이 이렇게 하고 있다.
<‘3장_시진핑과 중국’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