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느 할아버지의 평범한 이야기

어느 할아버지의 평범한 이야기

박정기 (지은이)
지혜의가람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느 할아버지의 평범한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느 할아버지의 평범한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97860098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18-03-22

책 소개

할아버지가 손주들에게 들려주는 인생이야기. 아이들이 자라면서 겪게 될 효도와 우애, 학문과 사랑, 그리고 사회생활을 자상하게 일러주는 수신서. 옛 것을 상고하면서 매몰되어가는 우리 전통성을 지키려는 자의 노력이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목차

머리말 … 7

제1장 사람의 근본을 생각한다
1. 인생을 찬미하라 … 15
2. 인생이란 무엇인가 … 19
3. 효도 … 24
4. 부부 … 30
5. 우애 … 33

제2장 마음을 닦는다
1. 강자(强者)만이 살아남는다 … 41
2. 미덕(美德)과 악덕(惡德) … 43
3. 신앙을 가져라 … 46

제3장 학문을 익힌다
1. 학문의 길 … 53
2. 책을 싣고 다니는 당나귀 … 57
3. 스승을 모신다 … 62
4. 하루의 아침은 한 번뿐이다 … 64
5. 단 한 권의 책만 읽은 사람을 경계한다 … 68
6. 입학시험에 성공하려면 … 69

제4장 몸을 단련한다
1. 건강이 제일이다 … 79
2. 화가 날 때는 … 83
3. 심신을 단련한다 … 85
4. 좋은 습관을 기른다 … 86

제5장 사회에 봉사한다
1. GNP의 허실 … 91
● 할아버지 세대의 실수 … 93
2. 무엇 때문에 일을 하는가 … 95
● 이상과 현실 … 95
● 직업 … 99
3. 나는 30분 먼저 출근한다 … 101
4. 누가 월계관을 씌워 주는가 … 109
● 신념과 용기 … 109
● 비방은 묵살하라 … 110
● 실패는 스승이다 … 113
● 실수 … 114
5. 마음가짐과 몸가짐 … 115
● 매너와 화술 … 117
● 칭찬 … 120
● 유머 … 122
● 말로 상대를 꺽지 말라 … 123
● 매너는 기상(氣像)이다 … 123
6. 일솜씨를 키워라 … 124
● 시간활용 … 124
● 일은 바로 해치운다 … 128
● 정리 정돈 … 132
7. 발표력 … 133
8. 윗사람 노릇은 어렵다 … 136
● 상(賞)과 벌(罰) … 138
● 뚝심 … 142
9. 나의 친구는 누구인가 … 145

제6장 사랑과 결혼
1. 남자와 여자 … 157
2. 소설은 끝나고 역사가 시작되었다 … 159
● 배우자 … 159
● 천당은 어디인가 … 162
3. 신혼의 위기관리 … 165
● 칼로 물 베기 … 167
4. 천국으로 가는 계단 … 169

제7장 아이들 교육
1. 사람의 질(質)과 가정교육 … 175
● 태교(胎敎) … 177
● 유아시절 … 180
● 소년시절 … 183
2. 아버지의 고집 … 187
3. 사춘기 … 189
4. 사랑과 모범 … 195

제8장 예절
1. 예(禮)는 정(情)이지 … 201
2. 가정에서의 예절 … 204
● 조상경배(祖上敬拜) … 204
● 친인척의 호칭 … 208
3. 사회예절 … 209
4. 고전을 통해 본 예절 … 213
● 전인교육(全人敎育) … 214
● 식사예절 … 217
● 몸가짐 … 219
● 말의 예절 … 222
● 윗사람과 스승에 대한 예절 … 223

제9장 가정경제
1.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말자 … 231
2. 돈이란 … 234
3. 분수를 아는 사람 … 235
4. 고기 낚는 법부터 배워야 … 238

제10장 인생을 즐겁게 살자
1. 건강이 역시 제일이다 … 243
2. 취미와 기호품 … 246
3. 술은 악마의 사자인가? … 251
4. 지적(知的) 생활 … 257
5. 아름다움의 추구 … 258
6. 이 물건이 어찌 또 왔는고 … 263
● 물소리 … 268
7. 이 말[馬]을 날게 할 수 있는가 … 270
8. 일기일회(一期一會) … 273

부록
■ 읽어 둘 만한 책 … 277
■ 친인척 관계 … 281
■ 친족의 호칭 … 284

찾아보기 … 287

저자소개

박정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 대구 출생. 58년 대구공고 졸. 육사 14기. 68~69년 월남전 참전. 73년 윤필용 사건으로 중령 예편. 75~80년 정우개발(현 벽산건설) 중동본부장. 81~82년 정우개발 사장. 82~83년 한국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83~87년 한국전력공사 사장. 85~96년 대한육상경기연맹 회장. 81~2024 한미친선군민협의회 회장. 83~현재 한국육상진흥회 이사장. 91~2015 국제육상경기연맹 집행이사. 저자는 군과 체육계, 기업계 활동은 물론 10여 권의 비소설을 쓴 왕성한 작가다. 그의 일관된 소신은 자강불식(自疆不息, 끊임없는 노력). 월남전에서 화랑무공훈장, 산업 현장에서 금탑산업훈장, 체육 분야에서 체육훈장 청룡장 등 각 분야 최고의 훈장을 수훈한 것이나, 2015년 ‘자랑스러운 육사인상’, 2020년 ‘원자력대상’ 수상 등 저자가 거쳐 간 조직에서는 몇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의 경영 스타일과 리더십이 직원들 사이에 회자되고 있다. 저서로는 『어느 할아버지의 평범한 이야기』, 『어느 할아버지의 평범한 문명론-에너지와 문명』, 『어느 할아버지의 평범한 리더십』, 『남북전쟁- 새로운 자유의 탄생』, 『육상경기, 그 영웅들의 이야기』, 『에너토피아 이야기』, 『Wake Up Korea』, 『한국 선진문명을 향한 여정』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 인생을 찬미하라

‘한 나그네가 광야에서 사나운 짐승에게 쫓긴다. 맹수가 막 덮치기 직전에 나그네는 겨우 낡은 우물 하나를 발견한다. 허겁지겁 우물 속으로 넝쿨을 타고 내려간다.
한 길도 채 못 내려갔을 때 씨근거리는 맹수의 숨결을 머리 위로 듣는다. 숨을 몰아쉬며 겁에 질려 위를 쳐다본다. 짐승의 시뻘건 입 속으로 빨려드는 것 같은 공포가 덮쳐 온다. 짐승은 으르렁거릴 뿐, 감히 내려오지는 못한다. 그제야 나그네는 눈을 감으며 안도의 숨을 크게 내쉰다.
맹수에게서 좀 더 멀어지겠다고 넝쿨을 타고 조금씩 아래로 내려간다.
바닥이 가까워지면서 무언가 아래에 꿈틀거리는 게 있는 것을 느낀다. 주의깊게 자세히 살핀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큰 뱀이 우물 바닥에서 위를 쳐다보며 꿈틀거리고 있지 않은가?
가슴이 서늘해진 나그네, 내려가길 멈추고 그 자리에 선다.
위를 쳐다보니 짐승이 아직도 큰 입을 벌리고 있다. 바닥에도 역시 큰 뱀이 번들거리는 눈으로 쳐다보고 있다. 정말 오도가도 못하는 딱한 처지가 되었다.
아연해진 나그네, 흐트러진 생각을 바로 잡는다고 눈을 감으며 크게 숨을 들이쉰다. 그리고 넝쿨을 잡은 손에 힘을 준다. 넝쿨마저 놓쳐서는 큰일이다. 공포와 절망의 시간이 잠시 흐른다.
어디선가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눈을 떠 쳐다보니, 아! 돌 틈에서 나온 쥐새끼 한 마리가 자기가 매달려 있는 넝쿨을 갉아먹고 있지 않은가? 하늘이 캄캄해진다.
이제 모든 것이 끝장이구나. 눈을 다시 감으면서 입을 굳게 다문다. 세상의 마지막이란 이런 것인가? 끝없는 심연 속으로 빠져드는 절망감.
이때 문득 입술에 와 닿는 게 있다. 살그머니 입술을 핥아본다. 달콤하다. 눈을 떠 보니 넝쿨 잎에 묻은 꿀이다.
나그네는 짐승도, 독사도, 쥐새끼도 잠시 잊은 채 넝쿨 잎의 꿀을 핥아먹는다. 이것이 인생이다.’

우리가 잘 아는 톨스토이의 《인생론》에 나오는 불교 설화이다. 아무려면 우리 인생이 짐승에 쫓기는 우물 속 인생일까? 북구(北歐)의 우울한 슬라브적 인생론이다. 인생 앞길에 어찌 사나운 짐승과 독사뿐이겠느냐? 광야에는 개울도 있고, 양지바른 언덕도 있다. 노루가 뛰노는 푸른 들과 빛나는 태양도 있다.

희랍신화에 보면 제우스가 여자를 최초로 만들었는데 이름을 판도라라고 하였다.
판도라란 모든 선물을 받은 여인이라는 뜻이다. 이 최초의 여자를 만들 때 많은 신들이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어느 신은 아름다움을, 또 어느 신은 음악을….
판도라는 우리 인간에게 불을 훔쳐다 준 프로메테우스의 동생 에피메테우스에게 시집을 간다.
에피메테우스는 오래 전부터 상자 한 개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속에는 인간의 불행을 포함하여 온갖 것들이 꽉 차 있었다.
호기심 많은 판도라는 어느 날 열지 말라는 상자 뚜껑을 열었다. 그러자 인간의 모든 질병과 원한, 복수, 질투 등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와 세상에 퍼지게 된 것이다.
놀란 판도라 재빨리 뚜껑을 닫았으나 이미 속의 것은 다 빠져 나가고 마지막으로 ‘희망’만이 상자 속에 남았다.
이렇게 해서 인간은 온갖 고통과 함께 살아가야 하지만, 마지막으로 희망만은 잘 간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절망하지 않는 것이다. 희망을 잃지 않는 것이다.
비록 ‘광야의 우물 속 인생’일지라도 나그네에게는 하나님이 있고 믿음이 있지 않느냐?
온 세상이 고통으로 가득 찼다고 하지만 희망은 언제나 있다.
우리가 할 일은 희망과 더불어 저 위대한 신을 찬양하는 것이다.

혜준아, 효정아,
너희는 대지의 다정한 속삭임을 들어 본 적이 있느냐? 따듯한 봄날 들에 나가 보라. 응달에는 아직 흰 눈이 쌓여 있지만, 멀리는 아지랑이 피어오르고, 온 세상은 생명의 환희를 노래한다. 성급한 들꽃은 잔설 곁에서 꽃을 피운다. 눈 녹은 물은 계곡 사이로 소리 내어 흐른다.
비 오는 여름날, 스카이웨이에 가 보아라.
팔각정에서 삼각산을 돌아본다. 눈앞의 자욱한 안개 속에 희뿌연 장막이 걷히면서 회색의 공간에 문득 우뚝한 산봉우리가 솟아오른다. 안개가 강물처럼 흐르면서 산허리가 우람한 몸집을 뽐내고, 뒤에 섰던 산봉우리도 교태를 자랑한다. 산허리와 봉우리가 숨바꼭질하듯 저마다 아름다움을 겨눌 때 샘이 난 안개가 온 세상을 다시 덮는다. 이윽고 지친 안개가 조용히 물러가면서 멀고 가까운 산봉우리들이 다투어 내 앞으로 다가온다. 마침내 흐르는 안개가 산허리를 잡고 춤을 추기 시작한다. 덩달아 이웃한 모든 산까지 합세하여 너울거린다.
아! 어찌 저 아름다움을 그림에 비유한단 말인가!

효성아, 혜연아,
가을 단풍은 또 어떻더냐?
그 흔한 고속도로를 어디든 달려 보아라. 황금색 들이 너울거리며 이웃한 단풍과 푸른 솔밭에 손짓한다. 황금색 들판이 붉게 물든 단풍에 취하여 풍성한 수확을 마음껏 노래한다.
자동차가 달리고, 나도 움직이니, 멀리 불타는 단풍이 성큼 눈앞으로 다가온다. 황금색 들이 수줍은 듯 물러서면, 그 자리를 오직 푸르른 소나무가 제 세상처럼 뽐낸다. 저 오묘한 빛살의 명암(明暗)과 아름다운 색조는 신이 우리에게 내린 천상의 선물이다.

눈이 내린다. 함박눈이 소리 없이 내린다. 황금 들판에도, 불탔던 단풍 위로, 자태를 뽐내던 산봉우리에도 눈이 쌓인다. 온 누리는 순백색의 설국으로 변하면서 제각기 뽐내던 삼라만상은 백설 앞에 다소곳이 순종한다. 눈은 온 천지를 다 차지했어도 군림하지 않는다. 오로지 침묵으로, 오로지 순백색의 고운 자태로 승복시킨다. 백설은 제 목소리가 없다. 산같이 쌓여도 소리가 없는 게 눈이다. 완벽한 정숙과 침묵이 거기 있다.

바람이 분다. 가지마다 듬뿍 쌓였던 눈이 연기처럼 흩날린다. 눈덩이도 떨어진다. 마침내 무거운 침묵이 깨어진다. 바람 소리일까. 눈 소리일까?
이윽고 바람이 자면서 세상은 다시 태고의 정적으로 빠져든다. 물소리는 소리가 아니듯, 눈의 침묵은 침묵이 아니다. 비길 데 없는 태고의 침묵에서 할아버지는 우렁찬 천사의 합창을 듣는다.
대지를 찬미하라. 수십억이 살다 간, 또 살아 갈 우리의 어머니이다. 태양을 찬양하라. 뭇 생명의 아버지이니라.


2. 인생이란 무엇인가?

혜준아, 효정아,
사람은 아는 게 너무 많다. 그래서 질문도 많다. 그 중 고약한 질문 하나가 ‘인생이란 무엇인가?’ 라는 게 아닌가 싶다. 수천 년을 두고 수많은 사람들이 따지고 들었지만 아직은 시원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마치 ‘망치로 돌을 칠 때 나는 소리가 망치 소리인가, 돌의 소리인가?’ 와 같은 질문이요, 또 소리는 울렸으되 그 소리가 망치 소리인지 돌 소리인지 분간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래서 공자(孔子) 같은 위대한 스승도 인생이 무엇인지 모르는데 내 어찌 죽음을 알리요” 라고 고백했던 게 아니겠느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