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9823213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5-07-01
책 소개
목차
Ⅰ. 북한의 대내정세 불안 _019
1. 장성택의 처형과 신년사 논조
1) 장성택의 즉흥적 처형 _021
2) 신년사에 반영된 논조 _033
3) 향후 북한정세 전망과 과제 _043
4) 우리의 기도 _048
2. 북한의 인권, 이대론 안돼
1) 기본적 인권마저 박탈하는 집단 수용 _051
2) 북한의 '우리식'인권 _054
3) 탈북자 강제 북송과 국제사회의 반응 _057
4) 한국의 입장과 정책 방향 _066
5) 우리의 기도 _070
3. 김정은 국제형사재판소에 정말서나?
1) 남북 고위급회담 전제조건이 된 삐라와 북한 인권 _073
2)북한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고조 _076
3) 북한의 인권 상황 _084
4) 북한에서 인권이란? '우리식'인권 _088
5) 인류의 보편적 가치, 북한인권 더 이상 외면 안돼 _091
6) 우리의 기도 _093
Ⅱ. 악화되는 북한의 대외관계 _095
1. 북 . 일 스톡홀름 합의, 무엇이 문제인가?
1) 북 . 일 '스톡홀름 빅딜'배경과 의미 _097
2) 북한과 일본의 기본전략 _102
3) 2002년 북 . 일 정상회담의 교훈 _108
4) 전망과 과제 _113
5) 우리의 기도 _117
2. 한 . 중 정상회담과 불편해진 북 . 중 관계
1)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 배경 _121
2) 한 . 중 정상회담 합의 요지 _124
3) 시진핑의 지속적 애정표현과 숨겨진 의도 _126
4) 한 . 중 정상 회담과 남북한 관계 _130
5) 앞으로의 과제, 한 . 미 . 일 협력과 한.중 공조 균형 잡아야 _139
6) 우리의 기도 _142
Ⅲ. 꽉 막힌 남북관계 _144
1. 최근 북한의 대남 평화공세, 무엇을 겨냥하나
1) 2014 신년사에 나타난 대남 평화공세 _146
2) '중대 제안'과 '4대 오해론'평화공세 _148
3) '이산가족 상봉'전격 수용과 고위급회담 제의 _151
4) 북한, 무엇을 겨냥하나? _157
5) 북한의 변화를 적극 끌어내야 _165
6) 아직도 북한에 억류된 하나님의 사람들 _167
7) 우리의 기도 _168
2. 북 '중대제안', 결국 '도발'로
1) 연초 집중적 평화공세 _172
2) 북한의 핵위협과 미사일 발사 _176
3) 통일, 대북제의와 북한 반응 _184
4) 남북상생, 통일의 길로 _189
5) 우리의 기도 _193
3. 요즈음 북한 왜 이러나? - 북한의 대남 강온 전략 분석
1) 지속적인 무력도발 _196
2) 남남갈등 유도와 대남 강경 비난 _201
3) 최근 북한의 대남 유화정책 _209
4) 바람직한 우리의 대응 _216
5) 우리의기도 _219
4. 북한 실세 3인방 깜짝 방남, 무슨 일인가
1) 북한실세 인척방문 배경 _223
2) 북한실세 깜짝 방남 _226
3) 남북 고위급접촉 재개 합의 _229
4) 왜 전격 방남했나? _232
5) 남북관계 과제의 전망, 소모적 남남갈등 없어야 _238
6) 북한 최고위급 인사들의 남한방문의미 _241
7) 우리의 기도 _245
Ⅵ. 통일을 통한 북한 복음화 _248
1. 한국교회의 북한선교, 이대로 좋은가
1) 한국교회의 소극적 북한선교 전략 _250
2)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선교전략 _260
3) '아래로부터'북한변화 유도 _270
4) 주저할 시간이 없다 _274
5) 우리의 기도 _276
2. 이제는 통일을 준비할 때
1) 통일의 의미 _279
2) 남북한, 통일 노력보다 체제유지 급급 _283
3) 민족통일을 위한 새로운 전략 _287
4) 통일을 위한 준비, 빠를수록 좋다 _289
5) 통일을 위한 기독교인의 역할 _296
6) 우리의 기도 _300
저자소개
책속에서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1주일 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통일이 가능하다고 대답한 사람은 25%에 지나지 않았다. 미국을 제외한 영국. 프랑스. 소련 등은 모두 독일의 통일을 반대했다. 프랑스 미테랑 대통령은"독일이 통일 된다면 유럽에서 제3차 대전이 일어날 것이다"라고 했고,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은"내가 독일 통일을 허용하면 당장 쿠데타가 일어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독일의 통일은'우연히'시작됐다.
동독의 공보담당 관리가 실수로"지금부터 누구나 자유여행을 할 수 있다"라고 발표하자,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인 기자들은 재빨리 기사를 썼고, 뉴스를 목격한 동독 주민들은 국경초소로 몰려들었다. 동독의 국경 경비대는 상부의 지침을 받지 못한 채 국경의 바리게이트를 열어주었고, 마침내 서독의 콜 총리가 이를 받아들여 독일의 통일은 역사적 필연이 되었다.
-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