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98309046
· 쪽수 : 808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황건적의 봉기
1. 시대적 배경
2. 태평도
3. 봉기와 실패
2. 동탁의 난
1. 환관과 외척의 마지막 투쟁
2. 동탁의 등장과 ‘동방’ 지역 군대의 봉기
3. 동탁의 피살과 관중의 파괴
3. 조조와 원소의 승부
1. 조조와 원소의 출신 배경
2. 천자를 끼고 제후를 호령하다
3. 조조의 둔전
4. 원소의 실기
4. 관도대전
1. 당시 사람들의 승패 예측
2. 관도대전의 서막
3. 관도대전
4. 조조의 하북 평정
5. 적벽대전: 천하삼분의 출현
1. 전쟁 전의 형세
2. 손권과 유비의 연합
3. 적벽대전과 형주의 분할
6. 조조의 관중 획득
7. 유비의 익주 획득
1. 유장의 인자함과 유약함
2. 유비의 촉 입성
3. 유비의 익주 탈취
8. 조조와 유비의 한중 쟁탈전
1. 장로의 정교합일 통치
2. 조조의 한중 점령
3. 유비의 한중 탈취
9. 손권과 조조의 회남 쟁탈전
10. 손권과 유비의 형주 쟁탈전
1. 반드시 쟁취해야 할 땅
2. 여몽의 형주 습격 작전
3. 이릉 전투
11. 삼국의 정립
12. 위의 사회와 정치
1. 자연경제
2. 둔전, 둔전객, 사가
3. 호족과 의부민
4. 관대한 정치와 가혹한 정치
13. 오의 사회와 정치
1. 강남의 개발
2. 병권의 세습화
3. 호족과 유력 가문
4. 정치적 비극
14. 제갈량의 촉한 통치와 남정북벌
1. 제갈량의 촉한 통치
2. 남중 정벌
3. 북벌
4. 촉한의 유학
15. 건안문학
1. 시대와 전통
2. 「위초중경처작」과 채문희의 「비분시」
3. 조조 부자
4. 건안칠자
16. 사마의의 정권 탈취
1. 사마의의 출신과 출세
2. 정변과 권력의 탈취
3. 사마씨 정권 탄생의 사회적 기초
17. 조씨와 사마씨의 유혈투쟁
1. 이풍·하후현의 피살과 조방의 폐위
2. 관구검의 회남 거병
3. 제갈탄의 회남 거병
4. 고귀향공의 피살
18. 현학의 흥기
1. 유학에서 현학으로
2. 하안과 왕필
3. 혜강과 완적
19. 촉한의 멸망
1. 촉한의 후반기
2. 종회·등애의 촉한 섬멸
20. 손오의 멸망
1. 잔인하고 포악한 손호
2. 오의 멸망과 서진의 삼국의 통일
맺음말
주
부록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펴낸이의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나의 논점과 분석은 매우 많다. 다른 사람의 주장을 인용하여 주석으로 밝힌 것을 제외하면, 이 책의 내용은 대체로 모두 나의 독창적인 주장이다. …… 내가 삼국의 역사를 연구하며 얻은 깨달음과 이해, 인식은 이 책에 거의 모두 들어가 있다. 나는 되도록 생생하고 알기 쉬운 문장을 추구했고, 문장의 가독성과 흡인력에 신경을 썼다. 그래서 독자들이 흥미를 갖고 읽을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였다. 〔머리말〕
『삼국지』의 결점은 너무 간략한 내용에 있다. 그래서 남조(南朝) 유송대(劉宋代)의 배송지(裴松之)는 송 문제(文帝)의 명을 받들어 『삼국지』에 주석을 달았다. 동진(東晉) 이후로 삼국시대사와 관련된 사료가 점점 증가했으므로, 배송지는 그런 사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했다. 그의 『삼국지』 ‘주석’은 실제로는 『삼국지』의 ‘보완’(補完)이었다. 배송지는 『삼국지』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이다. 『삼국지』를 읽을 때는 반드시 배송지의 주석을 함께 읽어야 한다. 〔머리말〕
통일제국이었던 동한의 와해와 분열 국면의 출현을 논의하려면, 황건적의 폭동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삼국연의』는 황건적의 폭동부터 이야기를 시작함으로써 나름대로 안목과 식견을 보여준다. 〔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