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8317331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5-03-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04
1 ELS 100조 원 시대
일단, ELS가 뭘까? 017
관심 없다고? 당신의 보험사, 퇴직연금은 ELS만 산다 023
지긋지긋한 저금리가 문제다 028
왜 미국인과 유럽인은 ELS를 안 할까? 034
자본시장에 도움 안 되는 상품인 건 맞다 039
2 ELS는 정말 위험할까?
지수형 ELS는 금융위기 이후 한 번도 손실 본 적 없다 047
최근 10년 기록 보면 손실 확률은 3~10% 052
금융위기, 쉽게 오는 게 아니다 057
삼성전자도 조만간 ELS투자 시작할 것 063
2014년 사상 초유의 유가전쟁 067
3 꼭 풀어야할 ELS에 관한 잘못된 오해
일부러 주가를 떨어뜨려 낙인시킨다고? 075
증권사가 ELS로 흑자 내는 방식 080
지수 급락기 때 좋은 상품이 안 나오는 사연은? 086
원금보장형, 안전하지만 재미가 없다 090
분산투자? 차라리 ELS에 몰빵 쳐라 094
ELS는 중위험 상품? 100
ELS를 상장시킨다고? 103
4 거시경제 측면에서 ELS가 진짜 괜찮은 이유
미국 위기 이후 경제의 틀이 저성장으로 바뀌었다 109
중앙은행 주도의 장세라면 115
2015년, 세계 경제 전망은? 120
2015년, 한국 경제 전망은? 126
5 ELS, DLS에 자주 쓰이는 필수 기초자산 분석
코스피200 135
유로스톡스50 139
HSCEI 142
S&P500 145
닛케이255 148
금 152
은 157
WTI, 브렌트유 161
6 ELS 성공투자 원칙 _일반론
은행에서 ELS 전용 계좌를 만들어라 167
ELS의 모든 것, 올댓ELS 172
저낙인으로 접근하라 175
3년 보유할 생각을 해야 한다 178
원금보장형의 특징은? 181
자문형랩이나 ELS펀드도 있다 184
스텝업 ELS의 위험성 190
ELS에 따라오는 특판도 쏠쏠하네 194
7 ELS 성공투자 원칙 _특수론
고낙인만 한다 199
사모 상품을 노려라 203
조기상환에 특화된 상품도 좋다 207
고점 대비 10% 떨어졌을 때 매수하라 211
기관의 ELS투자법을 배워보자 216
8 낙인을 원천봉쇄하는 2가지 비법
레버리지 ETF를 활용하라 223
오히려 투자 규모를 늘려라 228
9 개인투자자가 직접 만드는 ELS!
필자가 직접 만들어본 ELS 경험담 235
10 저금리 시대, 알아두면 돈 버는 상품 10가지
맥쿼리인프라 243
BBB등급 채권 249
좋은 채권 고르는 법 255
롱숏펀드 261
분리과세하이일드펀드 268
소장펀드는 반드시 소장하라 273
전자단기사채 277
공모주투자 281
배당주투자 288
리츠 29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ELS를 가장 적극적으로 편입하는 곳은 어디일까? 답부터 얘기하자면 보험사다. 특히 IMF 이후 5~7%의 고정금리로 저축성보험 상품을 팔아치웠던 생명보험사들이 적극적으로 ELS를 편입하고 있다. 다른 상품으로는 도저히 수익을 낼 수 없었던 여파였다. 믿지 못하겠다면 지금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서 퇴직연금 수익률이나 변액보험 수익률을 검색해보라. 형편없는 수준이다.
-<관심 없다고? 당신의 보험사, 퇴직연금은 ELS만 산다> 중에서
ELS투자자들과 상담하다 보면 흔히 듣게 되는 이야기가 바로 “증권사가 일부러 낙인을 시킨다”다. 낙인 바로 위에 계속 머물게 되면 증권사가 지급해야 하는 이자가 많아지니 일부러 주가를 떨어뜨려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입힌다는 소리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고 누군가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이런 경우는 실제로는 거의 없다. 최소한 2015년 현재는 거의 발생할 수가 없는 일이다.
-<일부러 주가를 떨어뜨려 낙인시킨다고?> 중에서
만약 ELS에 3분의 1, 주식에 3분의 1, 채권에 3분의 1을 넣었다고 해보자. 코스피200이 반 토막 날 정도의 환경이 된다면 주식이나 채권은 멀쩡하겠는가? 어차피 손실을 볼 확률은 엇비슷하다. 차라리 ELS 하나만을 ‘제대로’ 하는 것이 낫다. 포인트는 그냥 하라는 게 아니라, 제대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분산투자? 차라리 ELS에 몰빵 쳐라> 중에서
증권사 계좌는 은행에서 만드는 게 낫다. ELS를 위한 계좌를 만들 때는 물론 직접 주식거래를 하고 싶을 때도 은행에서 계좌를 만드는 게 좋다. 일단 주식 직접투자는 은행에서 계좌를 만들면 수수료가 0.010~0.015% 선이다. 하지만 증권사 지점에서 만들면 대부분 0.4~0.5% 선이다.
-<은행에서 ELS 전용 계좌를 만들어라> 중에서